J Korean Acad Soc Nurs Educ Search

CLOSE


J Korean Acad Soc Nurs Educ > Volume 20(3); 2014 > Article
An, Hwang, and Chu: The Experiences of Nursing Student on Alcoholism Care

Abstract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experiences of student nurses during their clinical practice periods in an alcoholic ward. Methods: A descriptive phenomenological study design was employed.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and audio-taped. Colaizzi's method of data analysis was applied to inductively determine themes and formulated meanings. Data saturation was achieved and methodological rigor was established. Results: Four themes were identified and these themes included anxiety of nursing practice in unfamiliar setting, sympathy with patients, learning about the inpatient alcoholics care, and self-reflection. Conclusion: Nursing students had positive and negative experiences in their clinical practice. The results of this study had important implications regarding clinical practice and research for nursing clinical education.

서 론

연구의 필요성

임상실습교육은 이론적인 지식을 실제상황에 적용하는 것으로, 간호교육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간호대학생은 임상실습교육을 통해 인간에 대한 이해와 총체적인 지식의 습득이 가능해지며, 간호인으로서 고유한 가치관을 형성하게 된다(Grenier & Dewis, 1995; Halstead, Rains, Boland, & May, 1996; Hwang, 2005). 그러나 한편으로 간호대학생은 낯선 임상실습교육에서 불안과 우울 등의 부정적인 정서를 느끼며, 대인관계의 어려움을 경험하게 된다(Park, 2001; Park, Kim, Kim, Kim, & Park, 2005; Park & Ha, 2003). 또한 이론과 현실 간의 괴리감과 두려움 등으로 적응에 어려움을 느끼고, 역할 모델이나 지지체계의 부재로 인해 임상실습교육 진행에 차질을 겪게 되기도 한다(Hyun & Seo, 2000). 선행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간호대학생은 임상실습교육에 대해 준비되지 않은 이질감으로 막막함을 느끼고(Shin, 1996), 환자에게 필요한 간호 등을 정확히 파악할 수 없어 자신의 역할에 모호함을 느끼는 것으로 보고되었다(Hyun & Seo, 2000; Hwang, 2005; Park & Ha, 2003). 또한 생소한 의료기구들과 낯선 임상상황에 긴장하면서, 환자에게 직접적인 도움을 줄 수 없음에 무력감을 경험하기도 하였다(Park, Hwang, & Choi, 2003).
이로 인해 임상실습교육의 부정적인 영향을 감소시키고 교육효과를 증진시킬 목적으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으며(Hwang, 2005; Park, et al., 2003; Park & Ha, 2003), 정신간호학 임상실습교육에서도 임상실습 경험 및 표준화 환자 활용 등에 관한 연구가 시도되고 있으나(Hyun & Seo, 2000; Park & Kweon, 2012), 알코올중독 환자 간호와 관련된 연구는 이루어져 있지 않다. 알코올중독 치료병동과 같은 폐쇄 병동은 외부에 노출되지 않아 간호대학생이 사전에 직접 경험할 기회가 적으며, 일반인에게 익숙하지 않은 임상환경으로 인해 실습 전에 실습환경을 이해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알콜중독자는 적대감-죄의식-자학적인 심리-음주의 악순환에서 헤어나기 어렵고, 때때로 죄책감과 문제해결능력의 상실 및 적대적인 행동 양상을 나타내므로(Chun, 1997), 알코올중독 환자 간호경험은 타 부서의 임상실습교육 경험과는 다른 의미를 갖게 된다. 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알코올 소비가 증가하면서 관련 사고와 건강상의 위해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으며(Joseph, Basu, Dandapani, & Krishnan, 2014; Lopez -Bushnell & Fassler, 2004), 알코올 문제를 가진 환자를 위한 간호는 간호사가 직면하는 중요한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Castledine, 2003). 이로 인해 향후 알코올중독 환자 간호에 참여하게 될 간호인력의 수도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나, 알코올중독에 대한 적절한 교육과 훈련의 부족으로 간호에 대한 준비가 미흡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Rassool & Rawaf, 2008; Weisner, Matzger, & Kaskutas, 2003). 이와 관련해 간호대학생에게 시행한 알코올 관련 교육이 알코올 관련 지식과 태도 및 중재수행 자신감을 향상시킨 것으로 나타났으며, 임상술기 능력의 발달 및 이론과 임상실무 간의 통합을 증진시킨 것으로 보고되었다(Rassool & Rawaf, 2008; Tratnack, O'Neill, & Graham, 2011). 그러므로 간호대학생이 임상실습교육 중에 알코올중독 환자 간호를 제공하는 일은 간호사로서의 능력과 자질함양을 위해 매우 유익한 실습경험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이에 본 연구는 경험의 의미를 밝히는 기술적 연구로써의 현상학적 접근을 통해 간호대학생의 알코올중독 환자간호 임상실습교육 경험을 그들의 관점에서 이해하고자 시도되었다. 이를 통해 간호대학생의 효율적인 알코올중독 관련 임상실습교육의 진행 및 임상실습 적응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임상실습교육 방안 마련에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이 경험하는 알코올중독 환자간호 실습의 의미 및 본질에 대하여 그들의 경험을 이해하고 심층적으로 탐구하여 기술하기 위함이다. 이를 통해 간호대학생의 요구와 능력을 반영한 임상실습교육 지침 마련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연구 설계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이 임상실습을 통해 경험한 알코올중독 환자간호 실습의 의미 및 본질을 파악하고자 Colaizzi (1978)가 제시한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이용한 질적 연구이다.

연구 참여자

본 연구의 참여자는 알코올중독 환자간호 실습을 경험한 서울 소재 일 대학교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2학년생으로, 정신간호학 실습으로서 알코올중독 환자간호 실습을 시행한 64명 중 10명이었다. 연구참여자의 연령은 평균 23.5세(21~27)였으며, 10명 모두 여학생이었다.

자료 수집 방법

자료수집 기간은 2013년 12월 17일부터 2014년 1월 13일이었다. 알코올중독 환자간호 실습을 경험한 2학년 간호학생 중 본 연구에 참여하기를 희망하는 연구참여자를 선정하기 위해 서울소재 일 대학교 간호학과 게시판에 포스터를 게시하여 연구참여자를 모집하였다. 포스터에는 연구의 목적, 기간, 자료수집 방법 등을 표기하였다. 참여의사의 자율성을 확보하기 위해 연구참여자의 교육에 참여하지 않은 연구자에 의해서 연구대상자를 모집하였으며, 사전에 포스터에 이를 공지하여 연구참여자가 이 사실을 숙지하고 연구참여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정신간호학 이론교육에서 정신간호과정, 물질관련 장애(알코올중독 등), 기분장애 등에 대한 교육을 받고 알코올 중독 환자간호 실습을 시행한 간호대학생들 중, 본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연구 참여에 자의적으로 동의한 자를 선정하였다.
연구참여자의 경험을 기술하기 위해서는 개방형 질문이 적절하므로(Speziale, Streubert, & Carpenter, 2011), 본 연구에서는 개방형 질문을 개발하여 연구참여자에게 질문하였다. 면담질문은 ‘귀하의 알코올중독 환자간호를 실습하면서 어떠한 경험을 하였는지 자유롭게 말씀해 주십시오’ 또는 ‘귀하가 알코올중독 환자간호를 실습하면서 무엇을 느꼈습니까?’이다. 면담은 참여자가 원하는 장소(대학교 내 세미나실 등)에서 1:1로 이루어졌으며, 약 1시간에서 1시간 30분 정도의 시간이 소요되었다. 면담을 하는 과정에서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간단한 메모를 하였고, 중요한 의미가 함축되었다고 생각된 부분에 대해서는 면담의 참여자에게 질문하여 그 의미를 파악하였다. 면담내용은 모두 녹음하였고, 녹음한 내용은 필사되었다. 자료수집과 분석은 동시에 이루어졌으며, 면담은 새로운 내용이 발견되지 않고 자료가 충분히 포화되었다고 판단되는 시점에서 종료되었다.

자료 분석 방법

자료분석은 Colaizzi (1978)가 제시한 단계에 따라서 분석하였으며, 구체적인 단계는 다음과 같다.
1단계에서는 연구자가 수집된 자료를 반복적으로 읽으면서 연구참여자가 경험하는 알코올중독 환자간호 실습의 본질과 주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2단계에서는 수집된 자료에서 연구참여자의 생생한 경험을 나타내는 구절이나 문장을 추출하였다. 3단계에서는 추출된 구절이나 문장에 담겨져 있는 의미를 확인하고(구성된 의미), 구성된 의미를 추상적인 진술로 기술하였다. 4단계에서는 구성된 의미를 모든 연구참여자에게 공통적으로 나타난 주제로 범주화하였다. 5단계에서는 확인된 현상과 관련하여 철저한 기술(exhaustive description)을 하였다. 6단계에서는 연구참여자들에게 연구자가 분석한 내용이 자신들이 표현하고자 한 경험의 본질이었는지 확인하였다. 또한 의미를 구성하고 주제를 도출하는 과정에서 연구진간에 합의가 이루어 질 때까지 검토하였다. 7단계에서 연구자는 확인한 현상의 본질을 기술하였다.

연구의 엄격성

과학적 엄격성(Rigor)은 연구과정 동안에 철저하게 지켜져야 한다. Guba와 Lincoln (1981)은 엄격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사실적 가치, 일관성, 중립성, 적용성과 같은 전략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실적 가치는 연구참여자에게 각각의 면담기록과 분석한 내용을 보여주어 분석한 내용이 연구참여자의 경험을 반영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과정을 통해 확보되었다.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알코올중독 환자간호 실습지도 및 질적연구 경력이 풍부한 연구자들이 면담과정이나 분석한 자료에 대해 상호검토 및 논의를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중립성을 유지하기 위해 연구자들은 간호대학생의 알코올중독 환자간호 실습경험에 대한 선입견이나 판단 없이 연구참여자의 경험을 있는 그대로 이해하고 관심 현상이 어떤 것인가를 탐색하기 위해서 객관적인 자세를 유지하도록 노력하였다. 본 연구는 폐쇄병동에서 알코올중독 환자간호 실습 후 간호대학생의 실습에 대한 의미 및 본질이므로, 적용성은 이 맥락에서의 학생들에게로 제한된다.

윤리적 고려

본 연구에서는 자료수집 전에 보건복지부 지정 공용기관생명윤리위원회로부터 연구 수행에 대한 승인을 받았다(No : P01-201307-SB-01-03). 본 연구는 연구대상자가 일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학생이므로 연구참여의 자율성 확보를 위해서 연구대상자 모집, 연구에 대한 설명과 동의 및 자료 수집을 연구대상자의 실습교육에 참여하지 않는 연구자가 모두 수행하였다. 연구자는 참여자 등록 전에 연구의 목적, 과정, 자료수집 및 비밀보장과 익명성에 대해 설명하였다. 면담내용은 녹음되며 수집된 자료는 연구 목적 이외에는 사용되지 않는다는 점과 면담 도중 참여자가 원하지 않을 경우 면담을 중지할 수 있음을 설명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언제든지 자유롭게 참여를 철회할 수 있는 권리를 설명하였고, 연구에 대한 자발적 참여를 확인하기 위해 연구참여 동의서를 서명으로 받았다.

연구 결과

본 면담자료를 분석한 결과 4개의 주제, 13개의 구성된 의미 및 86개의 의미있는 진술이 도출되었다(Table 1). 간호대학생의 알코올중독 환자간호 실습경험의 4가지 주제는 ‘낯선 상황에서의 실습이 두려움’, ‘환자와 교감함’, ‘알코올중독 환자의 간호를 배움’, ‘자신의 모습을 성찰함’이었다.
<Table 1>

Themes and Formulated Meanings

Themes Formulated meanings
Anxiety of nursing practice in unfamiliar setting Anxiety of an approach to patients
Anxiety of different nursing care setting
Sympathy with patients Compassion for patients
Empathy with inpatient alcoholics
Wish to help the patients stigmatized due to alcoholism
Confident interaction with patients
Changes in perception of alcoholism
Growing interest in alcohol drinking culture
Learning about the inpatient alcoholics care Discouragement of the patients without any will to recover
Awareness of nursing student's limited role
Experience of the inpatient alcoholics care in the clinical setting
Self-reflection Self-reflection on the attitude toward nursing practice
Self-reflection through patient observation

주제 1 : 낯선 상황에서의 실습이 두려움

‘낯선 상황에서의 실습이 두려움’에 포함된 의미는 ‘환자에게 다가가기가 두려움’, ‘실습환경의 다름이 두려움’ 이었다.

● 구성의미1. 환자에게 다가가기가 두려움

알코올중독에 대한 부정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던 연구참여자들은 알코올중독 환자간호를 실습하면서 환자들이 자신들에게 폭력을 가하거나 위해를 가할 수도 있다는 생각에서 무서워하였다. 또한 환자들의 지나친 관심에 당황스러워하면서 두려워하였고, 이에 환자들에게 다가가는 것을 주저하였다.
알코올 중독 환자들을 맞이하려니 너무 압박감도 심했고 환자들이 저희한테 관심을 많이 가지시니까 괜히 부담을 가지게 되고, 이 사람들을 봐야 된다 라는 그 자체만으로 되게 힘들었고, 이름 같은 명찰 달고 다니는데, 명찰 기억했다가 노트에다가 적으시는 분들도 계시고 무서운 거예요. 이 사람들이 평생 여기 있을 것도 아닌데 나와서 우리를 찾아오면 어떡하나 하는 걱정도 되고요. (참여자 4)

● 구성의미 2. 실습환경의 다름이 두려움

연구참여자들은 알코올중독 환자들이 입원한 폐쇄병동을 처음 실습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은 폐쇄병동에서 철문으로 출입을 통제하는 물리적인 환경과 폐쇄된 환경에서 환자들의 이동이 제한을 받는 상황에 당황해 하였다. 또한 연구참여자들 전원은 여학생으로 폐쇄된 남자 병동에 배치되어 실습을 하게 되면서 다수의 남자 환자들을 한꺼번에 만나야 하는 실습환경에 적응하는 것이 힘들었고, 두려웠다. 특히 연구참여자들은 실습시 학생들에게 그룹을 만들어 다니도록 하거나, 침대에 앉지 않도록 하라는 주의사항을 들으면서 실습 환경이 다른 부서와 다르다고 생각하였으며, 이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을 경험하였다.
실습 때 몰려다니지 말라는 말을 되게 많이 들어서 여기도 마찬가지겠지 하고 따로따로 다녔어요. 그랬더니 알코올 병동 특성상 남자분 밖에 없고 하니까 꼭 붙어다녀라 해서 같이 다녔는데 처음에 갈 때 되게 무서웠어요. (참여자 4)

주제 2 : 환자와 교감함

‘환자와 교감함’에 포함된 의미는 ‘환자의 모습이 안쓰러움’, ‘알코올중독 환자의 힘든 상황을 공감함’, ‘낙인찍힌 환자에게 도움이 되길 바람’, ‘자신감을 가지고 환자와 교류함’, ‘알코올중독에 대한 인식이 변화됨’, ‘음주문화에 대해 관심 가짐’이었다.

● 구성의미 1. 환자의 모습이 안쓰러움

연구참여자들은 알코올중독 환자가 치료를 위하여 입원하였을 때 나타나는 금단 증상을 보면서 놀라고 무서워하면서 충격을 받았다. 그러나 연구참여자들은 알코올중독 환자들이 입원 후에도 계속적으로 술에 대한 집착을 보이면서 말을 꾸미고 이를 감추려는 모습을 보면서 안쓰러움을 느끼고, 안타까워하였다.
그게 여기 병원에 들어온 것만으로도 되게 창피하고 이래서 자기를 좀 이렇게 방어하고 싶은 마음에 그렇게 저희한테 거짓말을 하시는 거예요. 그러고 나서 보니까 괜히 짠한 마음이 들어요. 안타까운 마음도 들고요. (참여자 4)

● 구성의미 2. 알코올중독 환자의 힘든 상황을 공감함

알코올중독 환자들이 강제로 폐쇄병동에 입원되어 생활하는 것에 대한 불만을 들으면서 연구참여자들은 환자들의 입장을 이해하려고 노력하였고, 강제입원을 선택할 수 밖에 없었던 가족들의 마음을 생각하였다. 그러면서 연구참여자들은 알코올중독환자들이 생각하는 가족에게 버려져서 갇혀있는 힘든 상황을 공감하였다.
어떤 분은 나 이혼해야 된다고 이렇게 얘기하시는 분들도 있고 당장 나가서 이혼할거라고. 그리고 이혼 이미 하신 분도 있고 어떻게 보면 환자분들만 아니라 가족분들도 상당히 힘들 수도 있는데 가족분들도 많이 힘드셨을 거예요 그래서 지치다보니까 입원시키고 나몰라라 하시는 경우도 많으실 것 같아요 (참여자 2)

● 구성의미 3. 도움이 되길 바람

한편으로 연구참여자들은 알코올중독 환자들과 만나면서 알코올중독 치료방법에 대해 고민하였고, 자신들이 제공하는 간호가 환자들의 알코올중독 치료에 도움이 되길 바라며, 환자들의 입원생활에도 도움이 되길 희망하였다.
제가 실습하는 동안 이분들 전체적인 병원 생활에서 아 그래도 그 학생 때문에 잠깐이나마 즐거웠었다 이렇게 생각해주면 너무 좋겠다 그런 생각이였거든요 그래서 조금이라도 제가 그분들을 간호해서 그분들 조금이라도 오히려 좋아지면 되게 뿌듯할 것 같아서요. (참여자 7)

● 구성의미 4. 자신감을 가지고 환자와 교류함

연구참여자들은 알코올중독 환자들과의 관계를 형성하는데 자신들이 배운 지식을 활용하면 잘 할 수 있을 거라고 자신을 다독였고, 자신감을 가지면서 실습이 편안해졌다. 이에 최선을 다해서 환자들의 대화상대가 되어 주려고 하면서 환자들과의 교류를 시작하였다.
이 사람들은 환자로 대해야겠다. 정신간호도 배우고 그래도 좀 그 사람들 애기도 좀 들어주고 공감하고 이러면 좀 편하겠다 이렇게 생각을 하니까 되게 편하더라고요. (참여자 4)

● 구성의미 5. 알코올중독에 대한 인식이 변화됨

연구참여자들은 알코올중독 환자들을 만나면서 폭력적이고 포악할 것이라는 선입견이 바뀌게 되었고, 알코올중독을 질병으로서 인지하게 되었다. 또한 입원 후 환자들의 상태가 호전되는 것을 보면서 알코올중독이 치료가 될 수 있을 것이라는 희망을 가지게 되었다.
알코올중독자 이러면 폭력적이라던지 사람이 되게 포악하고 물건 던지고 이러거나 사람한테 피해주는 사람 이렇게만 생각했었던 것 같아요. 많이 바뀐 것 같아요. 멀쩡하니 계시니까 또 그런 모습은 되게 보통 사람보다 더 친절하고 따뜻한 부분이 많은데 그 술이란 존재하나 때문에 사람이 되게 많이 변할 수 있구나 좀 이해를 하게 됐어요. (참여자 9)

● 구성의미 6. 음주문화에 대해 관심 가짐

알코올중독 환자간호를 실습하면서 연구참여자들은 음주에 대한 경각심을 가지게 되었고, 음주에 관대한 우리나라의 문화에 대해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게 되었으며, 금주가 얼마나 필요한 가를 절감하게 되었다.
의지력도 문제이긴 한데 저희 사회자체가 약간 술을 권하는 사회잖아요. 만약 그분들이 강한 의지를 가지더라도 계속 밖에 나가서 사회생활을 해야 되는데 어쩔 수 없는 상황에 놓일 때는 또 접할 수밖에 없잖아요. (참여자 7)

주제 3 : 알코올중독 환자의 간호를 배움

‘알코올중독 환자의 간호를 배움’에 포함된 의미는 ‘치료의지가 없는 환자에게 실망함’, ‘실습학생 역할의 한계를 깨달음’, ‘현장 간호를 경험함’이었다.

● 구성의미 1. 치료의지가 없는 환자에게 실망함

연구참여자들은 알코올중독 환자들이 퇴원 후 다시 술을 마시고자 하고, 알코올중독 치료에 대한 의지가 없음에 실망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은 실습기간 동안 환자들을 만나면서 환자들이 알코올중독을 질병으로 인식하지 않음이 이해가 안 되었고, 간호를 제공하는데 보람을 느끼지 못하였다.
알코올병동은 그냥 저희 얘기를 ‘항상 듣던 얘기다’ 약간 이런 식으로 ‘그래~’ 이렇게 하시는데 약간 한귀로 듣고 한 귀로 흘리시는 그런 느낌이 강하셨어요. 제가 분명히 어제 퇴원을 시켜드렸는데 그 다음날 왔더니 다시 입원해 계시고 이런걸 보니까 아 진짜 소용이 하나도 없구나 생각했어요. (참여자 9)

● 구성의미 2. 실습학생 역할의 한계를 깨달음

연구대상자들은 실습에서 알코올중독 환자간호를 담당하는 간호사와 같은 업무를 해야 한다는 부담감을 가지고 있으나, 한편으로 학생으로서의 할 수 있는 역할이 제한적이라고 생각하였다. 그러나 학생으로서의 자신의 역할이 무엇인지 모호하다고 생각하였으며, 환자들의 과도한 요구에 어떻게 대처해야하는지 방법을 몰라서 힘들어하면서 자신이 할 수 있는 역할의 한계를 깨달았다.
독방에 갇혀 있는 환자분들이 저희한테 막 문 좀 열어달라고 말씀을 하세요. 그런데 저희가 뭘 해드릴 수는 없는데 자꾸 그렇다고 해서 없는 사람 취급을 하기에는 계속 눈길이 가고 하니까 그래서 그런 것들을 받아들이고 하는 게 힘들었어요. (참여자 4)

● 구성의미 3. 현장 간호를 경험함

연구참여자들은 학습한 알코올중독 환자간호를 실제 임상에서 경험하면서 이론적인 내용이 실제로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배우게 되는 기회를 갖게 되었다. 또한 미래에 간호사로서 자신들이 제공하게 될 간호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게 되었다. 반면에, 연구참여자들은 다른 의료인이나 사회복지사가 알코올중독 환자치료를 위하여 상담이나 프로그램을 운영하는데 반하여 간호사는 주로 간호 위주의 돌봄만 제공하고 있음에 실망하기도 하였다. 이에 한편으로 알코올중독 환자를 위한 통합적인 간호의 부족함을 느끼게 되었다.
간호사 하면은 병원에서 주사 놓고 밤새 일하니깐 힘들고 일반적으로 그렇게 생각하잖아요. 근데 간호사가 그것 외에도 할 수 있는 게 정말 많구나 특히 많이 느꼈던 실습이었던 것 같아요. 한편으로는 환자분들이 정상으로 가고 있는 것이기 때문에 되게 뿌듯 뭔가 뿌듯하면서도 아 나중에 아 간호가 간호하면서 이런 것도 되게 뿌듯하겠다 이런 생각도 들었고요. (참여자 4)

주제 4 : 자신의 모습을 성찰함

‘자신의 모습을 성찰함’에 포함된 의미는 ‘실습태도를 성찰함’, ‘환자의 상황에서 자신의 문제를 엿봄’이었다.

● 구성의미 1. 실습태도를 성찰함

연구참여자들은 알코올중독 환자를 실습학생으로서의 태도로 대하지 못하고, 일반인처럼 알코올중독 환자를 대하려 했던 자신들의 태도를 후회하였고, 진심으로 환자를 대하는 것이 간호에 중요하다고 생각하였다.
그냥 저는 간호학생으로서 실습에 나왔다라고 생각을 하면 편했는데 그 전에는 그냥 그렇게 생각 안 하고 아 아저씨들 이상해 그냥 일반인 입장에서 그렇게 받아들이다보니까 너무 어려웠었던 것 같아요. (참여자 4)

● 구성의미 2. 환자의 상황에서 자신의 문제를 엿봄

알코올중독 환자들의 음주 습관이나 폭력적인 면을 살펴보면서 연구참여자들은 자신들의 부모님이나 조부모님의 폭력적이거나 음주 후 모습이 떠올라서 힘들어 하였다. 또한 알코올중독 환자들에게 도와줄 가족이 없었음이 자신들과도 비슷하다고 생각하면서 자신들의 가족 문제를 생각하게 되었다.
저희 아버지가 조금. 그러니까 막 폭력과 폭언을 되게 일삼으시고……. 그런데 환자분들을 보면 저희 아빠 보는 것 같아서 되게 그랬거든요. 아빠가 젊었을 때는 친할아버지 그런 거 정말 증오했데요. 그런데 자신도 그 길을 걷고 있는 거예요. 그래서 아 좀 그게 자기가 배우고 싶어서 배운 건 아니겠죠. (참여자 7)

철저한 기술 (Exhaustive Descriptions)

알코올중독 환자에 대한 부정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던 간호대학생은 알코올중독 환자간호를 실습하면서 환자들이 자신에게 위해를 가할까봐 다가가기에 두려움을 느낀다. 연구참여자들은 폐쇄병동이면서 남자환자들만이 입원하는 병동에서의 실습으로 적응을 어려워하고 두려움마저 느낀다.
그러나 알코올중독 환자간호를 실습하는 연구참여자들은 알코올중독 환자들의 금단증상과 술에 대한 집착, 가족에 대한 원망 등을 보면서 환자들이 안쓰럽고, 그들의 삶이 걱정된다. 연구참여자들은 환자들의 입장에서 생각해 보려고 노력하며, 환자들의 알코올중독 증상을 경험하면서 환자 가족의 마음을 이해하기도 하고 한편으로 환자들이 갇혀있는 힘든 상황을 공감하게도 된다. 연구참여자들은 자신들의 간호가 알코올중독 환자의 치료에 도움이 되길 바라며, 자신감을 가지고 환자들과의 교류를 시작한다. 연구참여자들은 알코올중독 환자간호 실습을 경험하면서 알코올중독이 질병이며, 치료될 수 있다고 생각하게 되고, 알코올중독의 예방과 관리를 위해서는 음주문화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여긴다.
연구참여자들은 실습을 하면서 알코올중독 환자들이 술에 대해 집착을 지속하고, 치료의지가 없음에 실망하며, 보람을 느끼지 못한다. 한편 연구참여자들은 일반병동과 다른 실습환경에서 자신들이 무엇을 해야 하는지 몰라서 힘들어 하며, 자신의 역할에 한계가 있음을 느낀다. 학습한 알코올중독 환자간호를 임상에서 경험하면서 실제적인 간호를 배우지만, 알코올중독 환자치료를 돕기 위한 간호의 부족함을 깨닫게 된다.
연구참여자들은 알코올중독 환자들의 문제를 보면서 자신이 가지고 있는 개인적인 문제를 다시 떠올리고 생각하게 되며, 실습기간 동안의 자신의 태도에 대해서도 성찰하는 시간을 갖는다.
알코올중독 환자간호를 실습하게 되면서 연구참여자들은 낯선 상황에 대면하게 되고, 두려움을 경험하지만, 환자들의 상황을 이해하려고 노력하며 교감하게 된다. 또한 연구참여자들은 실습 경험을 통하여 배움의 시간을 갖게 되고 환자들의 상황을 보면서 자신들의 모습을 성찰하는 시간을 갖게 된다.

논 의

본 연구는 알코올중독 환자간호를 실습한 간호대학생의 경험을 이해하고, 그 본질과 의미를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간호대학생의 알코올중독 환자간호 실습경험은 낯선 실습에 대한 두려움으로부터 시작되었다. 알코올중독에 대한 선입견은 환자에게 다가가는 것에 대해 부담감을 갖게 하였고, 자신들에 대한 많은 관심에 당황스러움과 두려움을 경험하였다. 또한, 폐쇄병동이라는 특수성과 함께 모든 환자가 남성인 실습환경에서도 두려움을 인지하였다. 이는 간호대학생과 의대생 중 알코올, 알코올중독 및 알코올중독자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를 가진 학생은 교육과정에서 이러한 상황에 대한 경험이나 접촉기회가 불충분했기 때문이라는 결과와 일치하였다(Kinney, Bergen, & Price, 1982; Vargas & Bittencourt, 2013).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이전에 알코올중독 환자를 대면하였던 경험이 거의 없으며 교육과정 중 처음 대하는 상황이었으므로, 이로 인해 부담감과 두려움 등 부정적인 정서를 경험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간호대학생이 방문간호 실습 시 장애인이나 노인 및 질병에 대한 선입견으로 인해 불안함과 당황스러움을 경험하였다는 결과와도 일맥상통하였다(Oh, 2003; Park, Lee, Min, & Park, 2004). 반면, 임상실습교육 시 새로운 경험에 대한 기대감과 설렘을 갖게 된다는 결과(Park et al., 2004)와는 차이를 보였는데, 이는 폐쇄병동 내에서 적대적일 것으로 예상되는 알코올중독 남성 환자만을 간호하는 부담감이 임상실습교육에 대한 기대감과 설레임을 압도했기 때문일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남성 환자만을 대상으로 한 임상실습교육은 흔하지 않은 경험이므로, 이러한 익숙하지 않은 환경 하에서 간호대학생은 더 많은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고려되었다. 이는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교육 경험에 대한 타 연구들에서 도출되지 않았던 경험이므로, 이에 대한 보다 많은 관심과 주의가 필요할 것이다. 기존 연구에서는 일반적인 특성 중 성별과 관련해 주로 남자 간호대학생이나 남자 간호사의 임상경험 등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으며, 여자 간호대학생이나 여자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오히려 부족한 실정이다. 간호대학생이 임상실습 중 경험하는 언어적 모욕에 대한 연구에서는 일부의 여자 간호대학생이 임상실습 중 환자로부터 성적인 언어적 모욕을 경험한 반면, 남자 간호대학생은 전혀 경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차이를 보였다(Fern & Meerabeau, 2008). 그러므로 향후 이러한 특수상황에서의 임상실습교육 계획 시, 실습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어려움에 대한 구체적인 오리엔테이션이나 환자 특성에 대한 가이드 등 실제적인 대안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 또한 여자 간호사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므로, 성별과 관련하여 여자 간호대학생이나 여자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경험적 연구가 활발히 진행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 간호대학생은 알코올중독 환자간호 실습을 통해 환자와의 교감을 경험하였다. 간호대학생은 환자의 모습을 안쓰럽게 여기며 그들의 상황을 이해하려고 노력하였고, 낙인찍힌 환자에게 도움이 되길 바라며 자신감을 가지고 환자와 교류하였다. 이는 의대생이 알코올중독 환자에 대한 임상실습교육 중 알코올중독 환자의 상황을 이해하고 환자를 다른 사람이 아닌 자신과 같이 (not the other) 인식하면서 강한 공감을 갖게 되었다는 결과와 일치하였다(Kinney et al., 1982). 또한 방문간호 실습 시 간호대학생이 처음에 느낀 당황함, 긴장 및 걱정을 넘어서서 노인대상자에게 연민을 느끼는 경험을 하였다는 결과와도 유사하였다(Park et al., 2004). 이에 대해 Stewart와 Richards (2000)도 알코올중독 환자 간호 시에는 환자에 대한 연민과 헌신이 필요하며, 환자의 상황을 이해하고 비판단적인 태도로 접근하는 일이 필요하다고 하여 유사한 견해를 보였다. 간호대학생은 자신이 할 수 있는 중재를 통해서 알코올중독 환자들과의 교류를 시도하였다. 이는 간호대학생이 알코올중독 환자와의 교감을 통해 알코올중독 환자의 상황을 이해하면서 도움이 되고 싶은 마음이 생기고, 이러한 변화가 자신의 능력을 최대한 활용하도록 한 것으로 고려된다. 기존 연구에서도 정신간호학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학생은 환자들에 대한 치료적 관계형성 능력의 향상을 나타냈다고 하여 유사한 견해를 보였다(Tratnack, O'Neill, & Graham, 2011). 특히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대부분 병식이 있는 알코올중독 환자들을 간호하면서 간호 중 환자들의 힘든 상황을 더욱 더 공감하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른 정신과 질환과 달리 알코올중독은 누구나 노출될 수 있는 상황이라는 점을 고려하면서, 평상시 깊이 생각하지 않았던 음주문화에 대해 고민하는 기회를 갖게 되었다. 이에 대해 Cund (2013)도 간호대학생은 알코올 관련 문제를 누구에게나 발생할 수 있는 문제로 고려하면서, 알코올 관련 문제를 규명하고 중재를 시행할 책임이 있는 것으로 인식한다고 하여 유사한 견해를 보였다.
간호대학생은 실습에 임하면서 알코올중독에 대한 인식이 점차 변화하게 되었고, 자신의 실습태도를 성찰하며 환자를 통해 내면의 문제를 들여다보는 경험을 하였다. 이는 간호대학생이 알코올중독 환자 임상실습교육 후 환자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이 증가하고, 알코올중독 전반에 대한 인식과 의견이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난 결과를 지지하였다(Vargas, 2013). 또한 의대생이 알코올중독 실습을 통해 알코올중독을 질환으로 인식하게 되면서 기계적인 절차 이상의 돌봄이 필요함을 인지한 것과도 일맥상통하였다(Kinney et al., 1982). 이에 대해 Cund (2013)와 Vargas (2013)도 알코올중독 환자에 대한 임상실습군이 비실습군에 비해 환자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와 인식 및 호의적인 감정을 갖게 되고, 적절한 술기 준비와 중재수행시의 편안함이 증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하여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또한 본 연구결과는 간호대학생이 임상실습교육을 개인적인 자아성장의 계기로 인식하면서, 가족의 소중함을 깨달으며 삶의 의미를 고찰했다는 결과(Oh, 2003; Park et al., 2004)를 뒷받침하였다. 이는 향후 알코올중독 환자를 간호함에 있어 환자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공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중요한 밑거름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간호대학생은 일반간호 제공 이외의 통합적인 접근의 부족을 경험하였고, 기존 연구에서도 불충분한 교육과 훈련 및 환자와의 접촉 기회 부족은 알코올중독 환자 간호 능력을 저하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Cund, 2013), 임상실습 뿐 아니라 봉사활동 등을 통해 다양한 분야에서 알코올중독 환자를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 중독 등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프로그램의 적용도 함께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한편 본 연구에서 간호대학생은 치료의지가 없는 알코올중독 환자의 안타까운 상황에 실망하였고, 간호지식을 적용하는 실제적인 간호의 기회를 가졌으며, 간호사라는 직업에 대해 긍정적인 이미지를 갖게 되었다. 또한 폐쇄병동 간호사가 알코올중독 환자에게 제공하는 간호의 부족함과 한계에 대해서 경험하였다. 알코올중독 환자 중 일부는 다른 질환자들과 달리 치유나 회복에 대한 의지가 약하며 적극적인 도움을 찾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Bien, Miller, & Tonigan, 1993), 이는 간호대학생에게 매우 생소한 경험이었다. 알코올중독에 대한 예방, 규명 및 치료의 모든 단계에서 간호의 역할이 점차 증대되고 있으므로(Murray & Li, 2007), 이러한 특징적인 경험은 향후 간호사로서 알코올중독 환자에 대한 간호의 계획과 적용 시 중요한 근거가 될 것이며, 다양한 접근방안의 필요성에 대한 토대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한편 간호대학생은 임상실습교육을 통해 간호를 배우게 되며, 특수한 환자를 포함한 다양한 대상자의 간호경험을 통해 간호사의 역할을 확인하는 기회를 갖게 됨을 보고하여(Andersson & Edberg, 2012), 본 연구결과와 일치하였다. 즉, 임상실습은 이론적 지식을 실무에 적용함으로써 지식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고 완전한 지식체가 형성되도록 지원해주며(Hwang, 2005), 이는 간호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러나 임상실습교육을 통해 실제적인 환자간호를 배우게 되지만, 인력 부족 등으로 간호의 한계를 경험한 연구결과와도 일부 유사하였다(Park et al., 2004).
알코올중독 임상실습 교육은 평소에 생각하지 못했던 중독 환자에 대해서 간접경험을 하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인간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전문직 간호사로 성장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알코올중독 실습경험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가 가능하게 되었으며, 이를 통해 간호대학생의 효율적인 정신간호학 임상실습교육을 위한 교육중재 개발에 기여하게 될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간호사는 병원내외 환경에서 이루어지는 알코올중독의 예방 및 치료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고, 알코올중독과 이로 인한 건강문제의 예후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Murray & Li, 2007), 알코올 중독 예방 및 치료, 환자 가족 간호 등에 대한 간호대학생의 인식은 향후 간호사로서의 역할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될 것으로 파악된다. 그러므로 향후 간호대학생의 알코올중독 이해 증진을 위한 적절한 교육이 제공되어야하며, 추후 관련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일개 대학의 임상실습 첫 학년인 2학년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연구 참여자들의 임상실습 경험이 다양하지 않고 알코올중독 환자간호 경험에 대한 개인적인 표현이 불충분할 수 있으므로 연구결과의 확대적용에 제한이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폐쇄적인 환경에서 간호대학생들의 실습경험 의미를 확인하고 심층적으로 탐구하므로서, 향후 간호대학생이 건전한 인식을 갖고 전문 간호인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알코올중독 임상실습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전문 지식체의 형성에 기여하는데 의의가 있다.

결 론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알코올중독 환자간호 실습교육 경험을 탐색한 현상학적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 참여자들은 처음 접하는 알코올중독 환자에 대한 선입견과 폐쇄적인 병동환경, 남성 환자들에 대한 부담감과 역할의 모호함으로부터 두려움을 경험하였으나, 점차 환자를 이해하고 간호가 필요한 존재로 받아들이며 교류하게 되었다. 또한 알코올중독 환자에게 이론적인 지식을 적용하는 경험을 통해 간호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를 갖게 되었고, 자신의 내면을 성찰하게 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임상실습교육을 위해 다음을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간호대학생이 알코올중독 임상실습교육에서 경험하는 두려움의 정도와 대처방안 등을 조사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간호대학생의 알코올중독 임상실습교육 적응을 증진시켜 줄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및 이에 대한 평가연구가 필요하다.

References

Andersson P. L. Edberg A-K. (2012Swedish nursing students' experience of aspects important for their learning process and their ability to handle the complexity of the nursing degree programNurse Education Today32(4453-457
crossref
Bien T. H. Miller W. R. Tonigan J. S. (1993Brief interventions for alcohol problems: a reviewAddiction88(3315-335
crossref
Castledine G. (2003Nurse should know how to tackle alcohol withdrawalBritish Journal of Nursing12(11644
crossref
Chun D. H. . (1997). A study on the patient's clinical and therapeutic characteristics related to alcohol-abstine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of Korea; Seoul.

Colaizzi P. F. . (1978). Psychological research as the phenomenologist views it. Psychological research as the phenomenologist views it, New York, NY: Oxford University Press.

Cund A. (2013Alcohol education revisited: exploring how much time we devote to alcohol education in the nursing curriculumNurse Education in Practice13(135-39
crossref
Ferns T. Meerabeau L. (2008Verbal abuse experienced by nursing studentsJournal of Advanced Nursing61(4436-444
crossref
Grenier F. J. Dewis M. E. . (1995). The baccalaureate degree as entry to practice: a Canadian model of educational collaboration toward the goal.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34(2):87-88.

Guba E. G. Lincoln Y. S. . (1981). Effective evaluation: improving the usefulness of evaluation results through responsive and naturalistic approaches: Jossey-Bass.

Halstead J. A. Rains J. W. Boland D. L. May D. L. . (1996). Reconceptualizing baccalaureate nursing education: outcomes and competencies for practice in the 21st century.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35(9):413-416.

Hyun M. S. Seo M. A. . (2000). Clinical practicum experiences of the nursing students' in psychiatric setting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9(1):44-53.

Hwang Y. Y. . (2005). A study on clinical practice experience of nursing students in the elderly unit.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Society of Nursing, 11(1):73-85.

Joseph J. Basu D. Dandapani M. Krishnan N. . (2014). Are nurse-conducted brief interventions (NCBIs) efficacious for hazardous or harmful alcohol use? a systematic review. International Nursing Review. Manuscript submitted for publication.

Kinney J. Bergen B. J. Price T. R. P. . (1982). A perspective on medical students' perceptions of alcoholics and alcoholism. Journal of Studies on Alcohol, 43(5):488-496.
crossref
Lopez-Bushnell K. Fassler C. (2004Nursing care of hospitalized medical patients with addictionsJournal of Addictions Nursing15(4177-182
crossref
Murray M. M. Li T-K. (2007Expanding the role of the generalist nurse in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alcohol use disordersJournal of Addictions Nursing18(4163-165
crossref
Oh J. J. . (2003). Nursing students' experiences on home visiting nursing service in public health cent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4(2):299-311.

Park K. S. K. S Y. Y. Choi E. H. . (2003). The study of the nursing student's lived experience of clinical practice at the intensive care unit.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15(3):373-382.

Park I. S. Kim C. S. Kim R. Kim Y. J. Park M. H. . (2005). Stress, anxiety and fatigue of nursing students in clinical practice.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Society of Nursing, 11(2):151-160.

Park J. M. Lee S. J. Min S. Y. Park S. K. . (2004). Nursing students' experiences in visiting care practi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5(2):323-331.

Park J. W. J. W N. S. . (2003). Nursing students' clinical experienc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12(1):27-35.

Park S. Y. Kweon Y. R. (2012The effect of using standardized patients in psychiatric nursing practical training for nursing college students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21(179-88
crossref
Rassool G. H. Rawaf S. (2008Predictors of educational outcomes of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in alcohol and drug educationNurse Education Today28(6691-701
crossref
Shin K. R. . (1996). A phenomenological perspective and discovery of meaning in nursing students' clinical experience.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8(1):156-168.

Speziale H. S. Streubert H. J. S. Carpenter D. R. . (2011). Qualitative research in nursing: Advancing the humanistic imperative: Wolters Kluwer Health.

Stewart K. B. Richards A. B. . (2000). Alcohol abuse. Nursing 2000, 30(2):57-59.

Tratnack S. A. O'Neill C. M. Graham P. (2011Immersion experience in undergraduate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The Journal of Nursing Education50(9532-535
crossref
Vargas D. Bittencourt M. N. (2013Alcohol and alcoholism: attitudes of nursing studentsRevista Brasileira de Enfermagem66(184-89
crossref
Vargas D. (2013The impact of clinical experience with alcoholics on brazilian nursing students' attitudes toward alcoholism and associated problemsJournal of Addictions Nursing24(3180-186
crossref
Weisner C. Matzger H. Kaskutas L. A. (2003How important is treatment? one-year outcomes of treated alcohol-dependent individualsAddiction98(7901-911
crossref


ABOUT
BROWSE ARTICLES
FOR CONTRIBUTORS
Editorial Office
Department of Nursing,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1 Chungdae-ro, Seowon-gu, Cheongju-si, Chungcheongbuk-do, 28644, Korea
Tel: +82-43-249-1712    E-mail: spark2020@chungbuk.ac.kr                

Copyright © 2024 by The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