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Analysis of Sexual Abuse Recogniz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성폭력에 대한 초등학생의 인식 내용분석

Article information

J Korean Acad Soc Nurs Educ. 2013;19(4):518-530
Kang, Kyung-Ah Department of Nursing, Sahmyook University 1, Okchun-dong, Chunchon, Kwangwon-do 200-702, Korea Tel: 82-2-3399-1585 Fax: 82-2-3399-2734 E-mail: kangka@syu.ac.kr
Received 2013 July 25; Revised 2013 September 27; Accepted 2013 October 15.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to develop sexual abuse prevention educational program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Method: Ninety three third, fourth, fifth, and six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interviewed for content analysis on sexual abuse. Results: The content recogniz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about sexual abuse was as follows: 1) The concepts of sexual abuse were ‘compulsory contact’, ‘harassment’, ‘school violence’, ‘pornography’, ‘unpleasant sexual behavior’ ‘crime’, and ‘don't know’. 2) The causes of sexual abuse were ‘intolerance of impulse’, ‘play’, ‘bullying’, ‘financial needs’, ‘home education and the environment’, ‘negligence of the victim’, and ‘don't know’. 3) The methods how to prevent and deal with sexual abuse were ‘sexual education’, ‘avoidance of danger’, ‘protection’, ‘self-assertion’, ‘treat with kindness’, ‘strengthening of penalties’, ‘asking for help and notification’, ‘report’, ‘treatment and counselling’, ‘escaping’, and ‘don't know’ 4) Educational needs for prevention of sexual abuse were ‘more detailed sexual abuse prevention education’, ‘how to recognize sexual abuse’, ‘how to protect oneself’,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actical education’, and ‘none’.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based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cognition of sexual abuse, a sexual abuse prevention educational program and content should be organized.

서 론

연구의 필요성

최근 우리 사회에서 아동을 대상으로 한 성폭력 발생률은 계속적으로 증가하여 아동 성폭력 문제가 사회적으로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2012)에 따르면 성폭력에 의한 13세 미만의 아동 피해자는 전체의 10% 내외를 차지하고 있는데, 가족이나 친족 내 성폭력이 증가되고 있고, 가해자의 연령 또한 점차 어려지고 있는 추세이다(Yoon, 2010). 그러나 전국 성폭력 실태조사 결과 우리나라의 성폭력 피해 신고율이 7.1%에 불과함을 감안해 볼 때(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2012), 보고되지 않는 아동 성폭력 피해는 훨씬 더 많을 것으로 추측된다.

성폭력이란 자의가 아닌 강제적으로 타의에 의한 불쾌한 성적 행위에 대한 요구로, 강간부터 추행, 음란전화, 음란통신, 매춘, 포르노, 성적인 농담․접촉․시선 등을 포괄한다(Lee, 2000). 그 중, 성폭력은 신체접촉이 가장 명백한 행위로 인정되는데, 성 관련 범죄는 매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아동 성폭력은 0-13세까지의 모든 연령에서 나타나며, 성추행에서부터 강간에 이르기까지 여러 유형의 성폭력이 다양한 장소에서 발생하고 있다. 또한 빠른 신체적 성숙으로 사춘기의 시작이 종래의 13∼14세에서 10∼11세로 낮아지고 있으며, 초등학교 5-6학년에 이미 생리적 변화가 일어나고 이에 따라 성 태도의 진화시기가 청소년기에서 점차로 초등학교 4학년 아동에까지 내려오고 있어,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체계적인 성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Yang, 2008). 성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어린 아동기의 성폭력에 대한 피해는 청소년기와 성인기까지 그 후유증과 상처가 지속되어 신체적 건강은 물론 인간의 존엄성과 인격 전체를 파괴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Hanson, Saunders, Kilpatrick, Resnick, Crouch, & Duncan, 2001; Shin, 2011), 그 중요성과 심각성을 알 수 있다.(Lee, Lee, Bae, & Kim, 2003). 이에 대해 Lee 등(2003)은 아동은 자기방어 능력이 없어 신체적으로나 사회적으로 약한 피해자 집단이 되기 쉬울 뿐만 아니라 아직 자아가 완전히 형성되지 않은 존재여서 피해 후유증은 더욱 더 크게 나타난다고 하였다. 아동기에 발생한 성폭력으로 인한 여러 가지 폐해들이 보고되고 있는데 이는 아동의 성장과 지적, 정서적, 사회적, 성적 발달에 장애가 되고(Genuis, 1992), 더 나아가 가족의 해체, 청소년 비행, 자살, 타살 등과 같은 범죄로 연결되기도 하며(Arrowood, 1992), 성인이 되고 난 후까지 후유증을 앓는 등 개인에 대한 육체적, 정신적 피해와 가족적 위기, 만성적 피해증상을 갖게 한다(Dickinson, 1991; Gioro, 1991; Shin, 2011).

아동 성폭력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아동 성폭력은 겉으로 잘 드러나지 않을 뿐 아니라, 성폭력 피해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부족으로 인해 은폐되거나 개입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특징이 있다(Kim, 2002; Yoon, 2010). 성폭력 사건이 언론에 보도될 때마다 각종 대책이 쏟아지고 학교에서 성교육 및 성폭력 예방교육을 실시하고 있지만 그 실효성은 적다. 또한 아동 성폭력 행위 자체의 노출이 용이하지 않고 피해자가 아동이라는 문제 때문에 연구방법이나 절차상의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학자들은 아동 성폭력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그 원인을 규명하고 예방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려는 노력과 함께 성폭력 예방교육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는데 인식을 같이 하고 있다(Kim, Lee, Kim, & Kang, 2012; Shin, 2011). 그러나 구체적인 방법과 교육자료의 부족으로 교육기관에서는 실제적이고 효율적인 성폭력 예방교육을 실시하는데 한계점이 있다.

최근 10년간의 성폭력 인식과 관련된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대부분 교사들을 대상으로 수행되었으며 아동들을 위한 성폭력 예방교육이 얼마나 실효성 있는지 확인되지 않았고, 또한 아동들이 성폭력과 관련된 정확한 이해를 하고 있는지도 조사되지 않았다(Yoon, 2008; Yoon, 2010). 또한 기존의 연구결과에서는 성폭력 예방교육을 받기 적당한 시기는 초등학교 4-6학년이라는 응답이 36.3%로 가장 높게 나타나 성폭력 예방을 위한 교육의 실시는 이 시기가 바람직하다고 제시되고 있다(Jang & Park, 2003).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3-6학년 아동들이 성폭력에 대해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 성폭력에 관한 인식을 광범위하게 파악하여 이를 기초로 추후 아동의 수준과 요구에 부합되는 성폭력 예방교육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중(3-4), 고(5-6)학년에 해당되는 3-6학년 학생들이 이해하고 있는 성폭력 인식정도를 면담을 통해 파악하고자 한다. 이에 따른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중, 고학년별 초등학생의 성폭력에 대한 개념, 원인, 예방 및 대처방법과 대상자들이 원하는 성폭력 예방교육에 대해 파악한다.

연구 방법

연구 설계

본 연구는 3-6학년에 재학중인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성폭력에 대한 내용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descriptive study)이다.

연구 대상

본 연구의 대상은 강원도와 경상북도에 소재하는 2개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3-6학년 학생 9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는 문헌에 의한 조사결과, 9세 이하의 아동은 성폭력에 대한 인지가 부족하다(Lee et al., 2003)는 것과 초등학교 1-2학년의 경우에는 아동과의 면담을 통해 연구 수행이 어렵다는 초등학교 교사들의 조언에 따른 것이었다. 본 연구의 경우, 면접 대상은 3, 4, 5, 6학년 학생을 중(3, 4)학년과 고(5, 6)학년으로 구분하였는데, 이는 실제로 학교현장에서 성교육을 실시함에 있어, 학년별로는 각 학년마다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대체적으로 3, 4학년을 비슷한 수준으로 5, 6학년을 비슷한 수준으로 구분하여 실시하고 있으므로 이에 따라 중, 고학년으로 구분한 것이다. 본 연구대상으로는 가정통신문을 통해 아동의 보호자인 부모가 참여를 수락하여 서명을 한 경우만을 실시하였다. 총 93명의 자료를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는데, 이는 신뢰도 95%, 오차한계 ±2.32%로 할 때 필요한 표본의 수에 해당되므로(Cochran, 1977) 적절하다고 판단된다.

자료 수집 방법

본 연구의 자료수집 기간은 2013년 6월 13일부터 7월 13일까지이었다. 자료수집 방법은 중소도시의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여 자료 수집할 수 있는 2개 초등학교를 소개받은 후 전화로 연구 목적을 설명하고 허락을 받았으며 기관장인 교장에게 서면으로 허락을 받았다. 그 후 가정통신문을 통해 아동의 보호자가 아동의 연구 참여에 대한 서명을 받은 경우로 연구 대상자를 제한하여 보건 교사의 동의를 받아 아동의 수업에 지장을 주지 않는 시간을 선택하여 연구자가 직접 대상 학교를 방문하였다. 연구 대상자에 대해서는 본 연구자가 직접 대상자에게 설문내용 및 목적에 대해 재차 설명하고 참여에 대한 의사를 허락받아 조사를 실시하였는데, 익명성을 포함하였다. 면담은 대상자 1인당 1회로 이루어졌는데, 학교의 정규 수업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기 위해 수업 시작 전,대상자가 편안하고 타인의 방해를 받지 않는 상담실에서 이루어졌다. 설문지는 개방형 질문으로 면담자가 아동과의 면담한 내용을 직접 기록하였다. 또한 대상자와의 면담이 끝난 후에는 성폭력과 관련되어 궁금한 사항에 대해서는 질문을 받고, 이에 대한 답변을 제공하였다. 대상자와의 면담에 소요된 시간은 평균 20-30분 정도이었다.

연구 대상자에 대한 윤리적 고려

본 연구는 연구자가 소속된 H대학교 연구윤리위원회의 심의를 거쳤다(HIRB-2013-028). 이를 위해 연구자는 연구 대상자가 초등학생인 미성년자임을 고려하여 이들의 보호자인 부모님에게 학교장의 허락 하에 보건교사의 도움을 받아 담임교사를 통해 연구에 대한 가정통신문을 발송하였다. 여기에는 연구자의 신분, 연구의 목적, 절차, 자료수집에 소요되는 시간과 익명성에 대한 보장과 면담내용은 연구목적 이외에는 사용하지 않을 것이며 자료수집 도중이라도 연구에 참여하기를 거부할 권리가 있음을 기술하고 자료수집방법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였는데, 연구 참여를 허락하는 경우, 서명을 받아 대상자의 권리를 보호하였다.

연구 질문

본 연구의 대상자에게 성폭력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연구자가 선행연구와 문헌을 참고로 하여 이들의 발달수준에 적합한 6개의 개방식 질문을 사용하였다. 이는“성폭력이란 무엇을 말하는 것입니까?”, “성폭력은 왜 일어날까요?”, “성폭력이 안 일어나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며 만약 성폭력을 당했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성폭력 예방을 위해 배우고 싶은 것은 무엇입니까?”이었다.

본 도구의 타당도는 3회에 걸쳐 아동간호학 교수 2인과 초등학교 보건 교사 3인을 통해 검증받았다.

자료 분석 방법

본 연구는 초등학교 중, 고학년 학생이 인식하는 성폭력에 대한 의미를 탐구하는 데 초점을 두었기 때문에 이러한 연구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내용분석 방법(Content analysis)을 사용하였다. 내용분석 방법이란 내용을 분석하는 자체가 목적으로, 내용을 기술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범주화하며 기록된 정보의 내용을 조사하기 위해 고안된 체계적, 객관적인 방법(Krippendorf, 2004)으로 정의되고 있다. 즉, 내용분석 방법은 인간의 상징적 기호로 표시된 의사소통 기록물의 내용적 특성을 분석하는 방법으로(Kim & Lee, 1986), 아동이 면담한 내용을 분석하는데 적합하다고 생각되어 본 연구방법으로 선택하게 되었다.

본 연구의 자료분석은 성폭력에 대해 대상자가 답변한 내용의 원자료를 기초로 이를 범주로 구분하였으며 구체적 분석과정은 다음과 같다.

범주의 분석

연구자들은 내용분석 절차에 따라 수집된 자료에서 연구목적을 적절하게 반영하는 내용을 표시하고 그 내용을 반복해서 읽으면서 연구자 간에 내용의 검토와 의논을 통해 의미 있는 내용을 추출하였다. 분석의 단위는 구문과 문장으로 정하여, 면담 내의 진술문을 반복하여 읽는 과정에서 설정된 영역과 관련된 의미 있는 구문과 문장을 선정하여 같은 의미와 비슷한 표현을 같은 범주로 구분하였다. 각 범주는 각각의 질문에 대한 대상자의 원자료를 성폭력에 대한 문헌과 선행연구를 근거로 하여 분류하였으며 내용분석방법의 수량적 분석기법으로 제시되는 빈도수와 백분율로 분석하였다

선정된 180개 문장과 구분은 유사한 내용을 모아 범주화하였다. 범주화하는 과정에서 간호학과 교수 3인과 함께 범주에 관한 생각을 나누고, 같은 범주에 속하는 구문과 문장끼리 비교하고 새로운 범주를 창출하고 범주화하였다. 최종범주는 31개로 도출되었다.

자료의 코딩

관련 내용을 코딩하기 위해 사전조사를 통해 코딩 프레임을 개발하였다. 모든 문항에 대해서는 각 연구자들 간의 신뢰도가 90% 이상의 수준으로 일치할 때 까지 사전연습을 한 후에 실제의 코딩에 들어갔다. 코딩과정에서 모호하거나 문제가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책임연구자의 주관 하에 토의를 통해 의견을 좁혔는데, 그러한 원칙을 적용함에 있어서 기준은 코더들 간의 신뢰도 측정이었다.

신뢰도와 타당도

내용분석에서도 신뢰도를 평가하는 것은 필수사항으로서, 이는 내용을 범주화하는 데 대한 코더들 간의 일치도로, 본 연구에서는 연구자들 간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각 문항에 대한 질문지를 선택하여 일치도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실제 불일치를 보인 부분에 대해서는 표시해 두었다가 내용을 다시 확인하고 동의를 얻은 후에 분류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신뢰도는 내용분석방법에서 연구자들이 연구내용을 동일 주제로 집계하고 분석자들 간의 일치도를 측정하는 Holsti 방법(Krippendorf, 2004)에 의해 4인의 연구자가 계산하였는데, 6개의질문에 대해서 모두 신뢰도를 실시하였다(Holsti 방법= N1 + N2 + N3 + N4: 연구자가 코딩한 전체 수, M: 연구자 간의 일치한 코딩 수).

내용분석에서 Holsti 공식을 이용할 경우, 신뢰도 계수는 약 90%면 적당하다고 보는데(Kim & Yu, 2005), 본 연구에서의 신뢰도는 평균 98%로 높은 일치도를 보였다. 이는 5%의 표집오차를 고려할 때 93%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는 요구되는 기준 이상이다. 내용분석에서의 타당도가 의미를 지닐 수 있는 기준은 학계 동료들로부터 중요성이 가치를 인정받는 것으로, 본 연구에서는 분류된 범주화에 대한 타당도 검증을 간호학 교수 3인에 의해 이루어졌다.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N=93)

연구 결과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본 연구 대상자는 총 93명으로 대상자가 거주하는 지역은 강원도가 70명(75.2%), 경상북도가 23명(24.7%)이었다. 대상자의 성별은 여아가 47명(50.5%)으로, 남아 46명(49.5%)보다 약간 많았으며 학년은 5학년이 27명(29.0%)으로 가장 많았다. 가족형태는 핵가족이 76명(87.1%)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성폭력에 대한 지식의 출처로는 학교가 57명(65.6%)으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대중매체가 30명(49.4%), 가족이 6명(11.8%)으로 나타났다. 성폭력에 대한 교육은 받은 경험이 있는 경우가 76명(87.0%)으로 나타났으며 교육받은 경험이 없는 경우는 17명(13.0%)이라고 응답하였다. 성폭력 교육의 도움 정도에 대해서는 ‘보통이다’라고 한 경우가 45명(48.4%)으로 가장 많았으며 ‘도움이 되지 않았다’고 응답한 경우는 4명(4.3%)으로 확인되었다.

초등학교 중, 고 학생의 성폭력에 대한 인식

초등학교 중, 고학년의 성폭력에 관한 면담자료를 성폭력의 개념, 성폭력의 원인, 성폭력 예방과 대처방법, 성폭력 예방을 위한 교육 요구로 분류하여 내용 분석한 결과 총 173개의 의미 있는 진술문과 31개의 범주로 도출 되었다. 구체적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대상자가 인식하는 성폭력의 개념

본 대상자가 인식하는 성폭력의 개념은 다음의 7개의 범주, 총 38개의 진술문이 도출되었는데, 중학년에서는 18개, 고학년에서는 20개의 진술문이 확인되었다. 분석된 범주는 「‘강제적 접촉」, 「괴롭힘」, 「학교폭력」, 「음란물」, 「불쾌한 성적행동」, 「범죄」, 「모름」으로 나타났다<Table 2>.

The Concept of Sexual Abuse Recognized by Subjects (N=93)

초등학교 중학년에서는 ‘남의 몸에 함부로 손을 대거나 만지는 것’, ‘남의 몸을 만지거나 소중한 부위를 만지는 것’ 으로 인식되는 경우가 59.0% (26명)로 가장 많았으며 이는 「강제적 접촉」으로 범주화하였다. 그 다음으로는 ‘친구를 따돌리고 돈을 뺏고, 심한 언어를 하는 것’, ‘친구에게 욕을 하거나 몸을 만지거나 때리는 행동’. ‘친구들에게 욕을 하며 싫어하는 행동을 하는 것’, ‘다른 사람이 싫어하는 행동을 하는 것’, ‘사람들이 친구들을 괴롭히는 것’, ‘힘이 센 아이들이 약한 아이들을 괴롭히는 것’은 31.8% (14명)로, 이는 「학교폭력」으로 범주화하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남의 몸에 상처를 주는 것’, ‘어떤 사람을 위협하는 것’. ‘강제로 사람을 괴롭히는 것’, ‘패고 죽이는 것’, ‘욕을 하는 것’, ‘자신의 쾌락을 위해 타인을 괴롭히는 것’은 15.9% (7명)로 「괴롭힘」으로 범주화하였다. ‘모르는 사람이 예고 없이 성교를 시도하는 것’, ‘성적으로 모욕감을 주거나 신체적으로 폭력을 가하는 행위’는 「불쾌한 성적 행동」으로 범주화하였다. ‘아동을 상대로 범죄를 저지르는 것’과 ‘잘 모르겠다’는 각각 6.8% (3명)로 나타나, 이를 「범 죄」와 「모름」으로 범주화하였다. 가장 적게 나타난 항목은 ‘음란물을 보는 것’, ‘보면 안 될 것을 보는 것’과 ‘상대방이 싫어하는 얘기를 하는 것’이 4.5% (2명)로 나타나 「음란물」로 범주화 하였다.

고학년의 경우에. 가장 많이 나타난 내용은 ‘사람이 사람을 괴롭히고 때리는 행동’, ‘어른들이 학생을 폭행하는 것’, ‘성별이 다른 사람이 신체를 때리는 것’, ‘당하는 사람을 두렵게 하는 것’이 55.0% (27명)로 확인되어 「괴롭힘」으로 범주화하였다. ‘하기 싫다는데 내 몸을 만지는 것’, ‘이유 없이 몸을 만지는 것’, ‘남자가 강제로 여자몸을 만지고’, ‘여자가 강제로 남자몸을 만지는 것’이 51.0% (25명)로 나타나 「강제적 접촉」으로 범주화 하였으며, ‘성적으로 모욕감을 주거나 신체적으로 폭력을 가하는 행위’, ‘다른 사람에게 성적으로 하는 성희롱, 성추행, 성폭행 등을 통틀어서’, ‘상대방이 싫어하는데 성적 행동을 하는 것’, ‘자신이 수치스러울 정도로 성의 주도권을 빼앗기는 것’이라고 진술한 16.3% (8명)에 대해서는 「불쾌한 성적행동」으로 범주화하였고 ‘절대 하면 안 되는 것’, ‘조심해야 하고 무서운 것’, ‘나쁘고 범죄다’, ‘만족을 느끼는 것’, ‘당하는 사람의 인생을 망치는 것’은 10.0% (5명)로 나타나 이를 「범죄」로 범주화 하였고 ‘모르겠다’라고 진술한 5.8% (3명)는 「모름」으로 범주화하였다. ‘친구를 때리고, 괴롭히고 따돌리는 것’은 「학교폭력」으로, ‘음란물을 보는 것’은 「음란물」로 범주화하였고 각각 4.0% (2명)로 나타났다.

● 대상자가 인식하는 성폭력의 원인

본 대상자가 인식하는 성폭력의 원인에 대해서는 7개의 범주, 총 44개의 진술문이 도출되었는데, 중학년에서는 19개, 고학년(5, 6학년)에서는 25개의 진술문이 확인되었다.

분석된 내용은 「충동조절이 안됨」, 「장난」, 「따돌림」, 「금전적 요구」, 「가정교육과 환경」, 「피해자의 부주의」, 「모름」으로 범주화 하였다<Table 3>.

The Cuses of Sexual Abuse Recognized by Subjects (N=93)

초등학교 중학년에서는 ‘잘 모르겠다’가 34.0% (15명)로 가장 많이 나타나 이를 「모름」으로 범주화하였다. 그 다음으로는 ‘호기심으로 스트레스로’, ‘다른 사람을 함부로 만지려고’, ‘기분이 나쁘면’, ‘예뻐서 가만 둘 수 없다’, ‘그냥 하고 싶어서’가 20.5% (9명)로 이를 「충동조절이 안됨」으로 범주화하였다. ‘처음에는 쉽게 생각하고, 장난으로 생각하다가 심해져서’ ‘외롭고 심심풀이로’, ‘재미로 하기 때문에’가 11.4% (5명)로 나타나 이를 「장난」으로 범주화하였다. ‘친구들이 먼저 놀리면 싸움이 벌어지고, 그 싸움이 원인이 되어 친구를 따돌리기 때문에’, ‘힘이 센 아이들이 약한 아이들을 괴롭히기 때문에’가 11.4% (5명)로 이는 「따돌림」으로 범주화하였으며 ‘부모님께 학대를 받는 것도 하나의 이유이고’, ‘태어났을 때 이상한 프로그램을 보거나 가정환경이 이상해서’, ‘폭력하는 사람들의 생각과 태도에 문제가 있어서’는 11.4% (5명)로, 「가정교육과 환경」으로 범주화하였다. ‘친구들이 한 친구를 맨날 괴롭히고 선생님이 안 계실 때 돈을 요구하며 때리기 때문에’, ‘몸을 뒤지다 보면 돈이 나오기 때문에’라고 응답한 경우는 6.8% (3명)으로 「금전적 요구」로 범주화하였다. 마지막으로 ‘혼자 다닐 때 차에 태워서 데려가므로’, ‘혼자 다니는 학생이 많아졌기 때문에’는 4.5% (2명)로, 「피해자의 부주의」로 범주화하였다.

고학년의 경우에서는 ‘스트레스가 쌓여서 괴롭히고 싶어지기 때문’, ‘자기조절을 못해서’, ‘누군가와 싸우고 싶을 때’, ‘나쁜 사람이 자신이 하고 싶은 것을 참지 못하고 억지로 하려고 하기 때문에’, ‘호기심에 해보고 싶은 마음에서’, ‘화를 참지 못하기 때문에’, ‘가해자가 기분을 좋게 하기 위해서’, ‘자신의 욕구를 채우기 위해서’, ‘성폭력 하는 사람들의 나쁜 마음 때문에’, ‘사춘기가 되면 남자들은 야한 사진, 키스하는 것을 보고 참지 못해서’, ‘성폭력 하는 사람이 외롭고 성적으로 욕구가 많아서’, ‘주로 남자들이 많이 저지르는데, 성적 충동을 잘 다루지 못하기 때문’, ‘그 사람이 밉기 때문에’, ‘정신병자가 가만히 못 있어서’라고 응답한 경우는 34.7% (17명)로 이는 「충동조절이 안됨」으로 범주화하였다. ‘잘 모르겠다’는 34.7% (17명)로 나타나, 이는 「모름」으로 범주화하였다. ‘제대로 교육을 받지 않아서’, ‘부모님들이 이상하기 때문에’, ‘어릴 때 음란물을 많이 봐서’, ‘어릴 적 성교육을 잘 못받아서’는 16.3% (8명)로, 이는 「가정교육과 환경」으로 범주화하였고 ‘밤 늦은 시간에 혼자 다니면 눈에 띄니까’, ‘짧은 옷을 입어서’, ‘너무 멋을 내고 다녀서’는 6.0.% (3명)로, 이는 「피해자의 부주의」로 범주화하였다. ‘까불다가’는 4.0% (2명)로, 이는 「장난」으로 범주화하였다. 마지막으로 ‘친구들이 괴롭혔기 때문에’는 「따돌림」으로, ‘성폭력을 하여 돈을 얻으려고’는 「금전적 요구」로 범주화하였으며 각각 2.0% (1명)로 나타났다.

● 대상자가 인식하는 성폭력의 예방과 대처방법

본 대상자가 인식하는 성폭력의 예방과 대처방법에 대해서는 11개의 범주, 총 60개의 진술문이 도출되었는데, 이는 중학년에서는 28개, 고학년에서 32개의 진술문이 확인되었다. 분석된 내용은 「성교육」, 「위험회피」, 「보호장치」, 「자기주장」, 「친절하게 대함」, 「처벌의 강화」, 「도움 요청과 알림」, 「신고」, 「치료와 상담」, 「도망감」, 「모름」으로 범주화 하였다<Table 4>.

The Method How to Prevent and Deal with Sexual Abuse Recognized by Subjects (N=93)

초등학교 중학년에서 확인된 가장 많은 진술문은 ‘밤에 나갈 때는 사람들이 많은 곳에 가거나 밝은 곳으로 간다’, ‘낯선 길은 다니지 않는다’, ‘사람이 없는 곳은 다니지 않는다’, ‘모르는 사람을 따라가지 않는다’는 50.0% (22명)로 「위험회피」라고 범주화하였다 그 다음으로는 ‘주위사람들에게 도움을 요청한다’, ‘학교에서 당했으면 선생님께 말하고, 집근처에서 당했으면 부모님께 말하고, 멀리 떨어진 곳에서 당하면 주변에 알리고 신고한다’, ‘도와달라고 소리친다’, ‘부모님과 선생님께 알린다’, ‘옷은 그대로 입고 현장 보존을 한 뒤 부모님께 바로 연락한다’, ‘병원에 가서 이상여부를 확인한다’, ‘제일먼저 선생님께 알린다’가 43.1% (19명)로 나타나 이를 「도움 요청 과 알림」으로 범주화 하였다. ‘성교육을 많이 받고 성폭력에 대한 생각을 없애야 한다’, ‘성폭력에 대한 예방 교육을 받아야 한다’, ‘성폭력에 관해 선생님이 안내장을 내주시면 부모님께 보여드리고 인터넷에 게시한다’는 15.9% (7명)로 나타나 이를 「성교육」으로 범주화하였으며 ‘친구를 때리지 않고 친절하게 대하며 늘 행복할 수 있도록 한다’, ‘학교 외에서 선생님이 와서 왕따를 당하는 친구와 함께 놀아준다’라고 진술한 경우는 13.6% (6명)로, 이를 「친절하게 대함」으로 범주화 하였다. ‘무리를 지어 여러 명이 함께 다닌다’, ‘친구와 같이 다닌다’는 18.2% (8명)로, 이는 「보호장치」로 범주화하였으며 ‘청소년상담센터에 전화한다’, ‘경찰에게 신고한다’, ‘경찰에 신고한 다음에 그 사람이 어떻게 나를 성폭력 했는지 자세히 설명한다’, ‘119에 신고한다’로 진술한 경우는 11.3% (5명)로, 「신고」로 범주화하였다. ‘잘 모르겠다’라고 응답한 경우는 11.3% (5명)로, 이는 「모름」으로 범주화하였다. ‘그 사람에게 “안돼요! 하지마세요! 만지지마세요! 싫어요!”라고 큰 소리로 말한다’, ‘사람들에게 하지 말라고 말린다’, ‘나쁜 사람이 여자를 데리러 가면 도망쳐야 한다’는 6.81% (3명)로, 「자기주장」으로 범주화 하였다. 마지막으로 ‘성폭력을 하다가 걸린 사람을 처벌한다’는 「처벌의 강화」로, ‘심리치료를 받는다’는 「치료와 상담」으로, ‘그냥 도망친다’는 「도망감」으로 범주화하였으며 모두 2.3% (1명)으로 나타났다.

고학년의 경우, 「위험회피」로 범주화한 진술문으로는 ‘골목길로 다니지 않는다’, ‘어둡고 사람이 없는 곳은 피한다’, ‘대처 방법에 대해 교육받고, 도망가고, 사람 많은 곳으로 다닌다’, ‘낯선 사람을 만나는 것을 피해야 한다’, ‘밤 늦게 돌아다니지 않고 늦기 전에 일찍 집에 간다’, ‘옷을 제대로 입고 사람들이 많은 곳으로 다닌다’, ‘자기가 먼저 조심한다’, ‘집에 일찍 들어간다’가 59.1% (29명)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는 ‘경찰에 신고한다’, ‘경찰에 신고하고, 그 상황에서 범인의 생김새를 기억했다가 말한다’, ‘씻지 말고 병원에 가서 검사를 받아야 한다’는 49.0% (24명)로, 「신고」로 범주화 하였다. ‘성폭력의 문제점에 대한 캠페인을 한다’, ‘성폭력 한 사람들을 철저히 교육시킨다’, ‘학교에서 대처 방법이나 예방법을 알려준다’, ‘자신을 보호하는 법을 알고, 대처법을 알아야 한다’는 「성교육」으로 범주화하였으며 36.7% (18명)로 나타났다. ‘부모님이나 선생님께 말씀드린다’, ‘부모님께 말씀드리고, 속옷은 빨지 말고 성폭력 당한 장소와 시간을 기억하며, 범인의 인상착의를 기억한다’, ‘도와달라고 한다’, ‘주위 사람들에게 알리고, 성폭력에 대해 재교육을 받는다’는 「도움 요청과 알림」으로 범주화하였으며 32.7% (16명)로 나타났다. ‘친구랑 같이 다닌다’, ‘좁은 골목에는 경찰이 있어야 한다’, ‘나라에서 성폭력이 일어나면 경보음 장치를 만든다’ ‘어두운 곳에 CCTV를 설치한다’는 「보호장치」로 범주화하였으며 10.2% (5명)로 나타났다. 그 외 ‘잘 모르겠다’ 8.16% (4명)에 대해서는「모름」으로 범주화하였고 ‘성폭력을 한 사람을 죽인다’, ‘성폭력에 대한 법을 강화한다’, ‘범인을 감옥에 평생동안 가둬놓는다’는 8.16% (4명)로, 「처벌의 강화」로 범주화였다. ‘부모님, 선생님보다는 보건선생님에게 말하고 심리 상담을 받는다’는 「치료와 상담」으로, ‘소리를 지르고 도망간다’는 「도망감」으로, ‘사람들에게 하지 말라고 말린다’는 「자기주장」으로 범주화하였으며 모두 4.1% (2명)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친구를 괴롭히지 말고, 따돌림 당하는 친구를 도와주어야 한다’라고 진술한 경우는 2.4% (1명)로 「친절하게 대함」으로 범주화하였다.

● 대상자가 인식하는 성폭력 예방을 위한 교육 요구

본 대상자가 인식하는 성폭력 예방을 위한 교육 요구는 6개의 범주, 총 31개의 진술문으로 도출되었는데, 중학년(3. 4학년)에서는 15개, 고학년(5, 6학년)에서는 16개의 진술문이 확인되었다. 분석된 내용은 「자세한 성폭력 예방교육」, 「성폭력 인식방법」, 「자신의 보호방법」, 「인간관계」, 「실제적인 교육」, 「없음」으로 범주화 하였다<Table 5>.

Educational Needs for the Prevention of Sexual Abuse by Subjects (N=93)

초등학교 중학년에서 교육요구로 확인된 진술문으로는 ‘성폭력은 주로 어디서 일어나는지’, ‘성폭력을 당하지 않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더 자세히 알고 싶다’, ‘성폭력의 대처법과 성폭력으로부터 안전하게 놀 수 있는 곳에 대해’, ‘성폭력을 당했을 때 신고하는 것에 대해서’, ‘성폭력의 내용, 성폭력이 어떠한 행위인지를 구체적으로 알고 싶다’, ‘성폭력을 예방하는 방법에 대해서 자세히 알고 싶다’, ‘성폭력을 보면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배우고 싶다’가 63.3% (31명)로 가장 많이 나타나 이를 「자세한 성폭력 예방교육」으로 범주화하였고 ‘없음’ 25.0% (11명)는 「없음」으로 범주화하였다. 그 다음으로는 ‘친구끼리의 관계를 관리하는 방법을 알고 싶다’, ‘친구를 친절하게 대하고 잘 대하는 법에 대해 배우고 싶다’는 13.6% (6명)로 이를 「인간관계」로 범주화 하였으며 ‘성폭력이 왜 일어나는지에 대해 배우고 싶다’, ‘교육방송을 더 보고 싶다’, 라고 응답한 경우는 6.1% (4명)로, 이를 「성폭력 인식방법」 으로 범주화하였다. ‘성폭력이 일어나는 이유에 대해 배우고 싶다’, ‘성폭력에 대해 안 좋은 점을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보여줬으면 좋겠다’는 「자신의 보호방법」으로, ‘무찌르는 방법’을 원한다는 경우는 「실제적인 교육」으로 범주화하였으며 각각 4.5% (2명)를 차지하였다.

고학년의 경우에는 ‘성폭력이 왜 일어나는지에 대해서 배우고 싶다’, ‘선생님들이 많이 가르쳐주시면 좋겠다’, ‘학교에서 성폭력에 대해 더 자세히 알려주었으면’, ‘성폭력의 정확한 정의, 구체적 행위에 대해 배우고 싶다’, ‘아기가 생기는 자세한 과정에 대해서 알고 싶다’, ‘어떻게 하면 성폭력을 당하지 않을 수 있는지 대처방법에 대해서 알고 싶다’ 46.9% (23명)라고 인식된 진술문에 대해서 「자세한 성폭력 예방교육」으로 범주화하였으며 ‘없음’, ‘지루해서 교육을 시켜도 별로 도움이 안 된다’, ‘성폭력 교육이 충분하여 배울 것이 없다’는 46.9% (23명)로 나타나, 이를 「없음」으로 범주화하였다. ‘성폭력 범죄자들을 예상하거나 알 수 있는 방법’ 은 22.4% (11명)로 나타나, 이는 「성폭력 인식방법」 범주화하였다. ‘호신술을 배우고 싶다’, ‘상황극이나 여러 방법으로 해 주면 좋겠다’, ‘실제로 일어날 수 있는 상황을 설정하여 역할극을 해 본다’, ‘대학생(친근감 있는 대상)과의 토론’은 「실제적인 교육」으로 범주화하였으며 이는 12.2% (6명)를 차지하였다. ‘자신을 보호하는 법’은 6.1% (3명)로 「자신의 보호방법」으로 범주화 하였으며 ‘모든사람과 잘 지낸다’는 4.1% (2명)로, 이는 「인간관계」로 범주화하였다.

논 의

본 연구는 내용분석법을 사용하여 최근 초등학교 중, 고학년에 해당하는 학생들의 성폭력의 개념, 성폭력의 원인, 성폭력의 예방과 대처방법, 성폭력 예방을 위한 교육 요구에 관해 분석함으로써 초등학생들의 성폭력에 관한 인식을 넓히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자가 인식하는 성폭력의 개념으로 범주화된 「강제적 접촉」, 「‘괴롭힘」, 「학교폭력」, 「음란물」, 「불쾌한 성적행동」, 「범죄」를 통해 초등학생들이 성폭력을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를 통해 아동들은 성폭력을 생리적, 심리적, 사회적 그리고 법적인 측면에서 포괄적으로 인식하지는 못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성인처럼 자의적 행동을 하기 어려운 미숙한 아동에게 가해자 자신의 성적인 만족을 얻어내기 위해 권력이나 강제적인 힘, 보이지 않는 압력, 유인 등의 물리적이거나 심리적인 힘을 사용하여 아동에게 성적인 행위를 하거나 성적인 접촉은 없어도 충격적인 행위를 하는 것이라는 정의(Kim, Lee, Kim, & Kang, 2012)와 유사하게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Kim (2002)은 아동들에게 성폭력에 대한 정확한 인식을 위해서는 학부모 참여와 지원을 포함시켜야 하고 유아기 때부터 관련교과와 연결시켜 체계적이고 반복적으로 할 것, 발달 연령별로 강조점과 제시방법을 달리할 것, 부정적인 면을 최소화해야 할 것, 실제적인 문제 상황을 중심으로 활동 중심의 참여 학습이 되어야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성폭력 예방기술은 한 번의 학습이나 활동만으로 교육될 수 없으며 이론적인 정보만 제공해서는 습득될 수 없으므로 생활 속에서 다양한 경험을 통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Yang, 2008)는 점을 고려해 볼 때, 효과적인 성폭력 예방교육 프로그램은 교육과정 전체를 통해 통합하고 다양한 방법을 통해 아동 뿐 아닐, 부모와 아동에게 실시되어야 한다.

성폭력의 원인으로는 「충동조절이 안됨」, 「장난」, 「따돌림」, 「금전적 요구」, 「가정교육과 환경」, 「피해자의 부주의」, 「모름」의 7개 범주로 나타났는데, 이 중 초등학교 중학년에서는 「모름」이라는 범주가 34.0% (15명)로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고학년의 경우에서도 18.4% (9명)으로 확인되었다. Lee 등(2003)의 연구결과에서는 초등학생 아동 대부분(80.9%)이 성폭력이란 말을 들어본 적이 없으며, 61.1%가 성폭력의 원인이 무엇인지 모르고 있다고 지적하였다. 성폭력 예방을 위해서는 성폭력의 원인을 올바로 인지하고 있는 것이 필요하지만, 본 연구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아동, 특히 중학년에서 성폭력의 원인을 모른다는 것은 문제점으로 지적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는 아동의 성에 대한 관심은 2차 성징이 나타나는 초등학교 4, 5학년에 많아진다는 Choi (2010)의 보고와도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현재 초등학교에서는 필수적으로 매년 10시간의 성교육을 의무적으로 시행하고 있으므로, 성교육 시 성폭력의 원인에 대한 내용을 보강해야 한다고 생각 한다.

대상자가 인식하는 성폭력의 예방과 대처방법에서는 「위험회피」가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신고」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대상자들은 성폭력을 부정적이고 두렵게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성폭력의 예방과 대처방법으로 지금까지 국내 선행연구들은 유아교육기관이나 초등학교 교사를 위한 연수 프로그램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실질적인 예방교육을 체계적으로 실시 성폭력 교육프로그램은 미흡하며 아동의 성폭력에 관한 인식도 미흡하다(Choi, 2010). Yoon (2010)은 아동을 접하는 초등 교사들에게 아이들에게 적절한 교수방법과 자료를 개발하고 이에 관한 공모전 참여나 연구의 기회를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제시하였다. 또한 Lee 등(2003)은 성폭력 예방이나 대처를 위한 교육이 부족하다고 지적하면서 가장 적절한 성교육과 성폭력 예방교육 시기는 초등학교 4-6학년임을 제시하였다. 성폭력 피해자인 아동의 비율이 점차 증가되고 있고 가해자 연령도 낮아지고 있다는 점, 그리고 인식과 태도 교육은 어릴 때부터 실시해야 효과적임을 고려할 때 어린 시절부터 자연스럽고 올바르게 성을 인식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이 운영되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신고의 중요성이나 신고방법 등 지원방법에 대한 정보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대상자들의 성폭력 예방을 위한 교육요구에서, 「자세한 성폭력 예방교육」에 대한 요구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므로 교육내용은 직접적이고 구체적으로 실시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아동 성폭력에 대한 문제는 발생 후의 처리보다 예방이 필수적이다. 그러므로 공식, 비공식적인 교육과정을 통해 아동의 성장발달과 특성에 맞는 체계적인 성교육 반드시 이루어져야 하며 이와 더불어 법적, 제도적 장치도 뒤따라야 하고(Lee et al., 2003), 사전예방도 필수적으로 뒤 따라야 한다. Jang과 Park (2003)은 초등학교 학생이 가장 알고 싶어 하는 성교육 요구 내용과 학부모들이 자녀에게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성교육 내용은 성폭력 예방법이라고 제시하였다. Jeong (2011)의 연구에서도 대상자가 알고 싶어 하는 성에 대한 내용은 성폭력이라고 제시하면서 성폭력에 대한 교육요구도가 높게 나타났음을 보고하였다. 실제로 성폭력 예방교육을 받은 아동은 받지 않은 아동보다 성폭력에 대한 지식수준이 높고 성폭력 상황에서 적절한 자기보호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Yang, 2008).

대상자들은 「실제적인 교육」을 원하는 경우가 12.2%로 나타났는데, Yoon (2010)의 연구에서는 남녀학생 모두 성폭력 예방교육의 방법으로서 동영상, 강의, 연극 ,게임, 가상체험으로 교육방법을 원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Kim (2004)은 성폭력 예방교육에 있어서 인형극, 연극, 이야기 나누기 등 각 프로그램의 다양한 방법을 통해 성폭력에 대한 지식과 저항하는 기술, 즉 자신의 몸은 소중한 것이고 싫은 느낌을 주는 상황에서 자기 느낌을 분명하게 표현하고 폭행하는 것을 은폐하지 않고 신뢰하는 어른에게 사실대로 보고하는 것 등을 학습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보고하였다. 다른 연구보고에 따르면, 강의방법 역시 수동적인 것 보다는 적극적인 방법이 효과적이고 일방적인 강의나 비디오 보여주기 보다는 역할놀이나 연극 등의 적극적인 행동적 방법이 아동을 대상으로 한 성폭력 예방교육에 더 효과적이라고 확인되고 있다(Chong & Lee, 2000; Wurtele, 2008). 그러나 본 연구의 경우, 결과를 통해 나타난 고학년의 경우, 「없음」으로 범주화되어 응답한 경우가 46.9%로 나타났는데, 성폭력 예방교육에 대한 경험을 분석한 Yoon (2010)은 현재 초등학교에서는 대다수의 학생들이(약 87.8%) 성희롱․성폭력 예방교육을 받고 있었으나 남학생과 고학년에서 그 효과가 현저히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고 저학년은 주로 외부강사나 담임교사에 의해 재량활동이나 특별활동 시간에 매체, 강의, 동화·인형극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교육이 이루어지고 도움이 되는 정도가 높은 반면, 고학년은 주로 보건교사에 의해 재량활동이나 교과시간에 강의에 의존하여 교육이 이루어지며 도움이 되는 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성별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지는 않았으나 성폭력 예방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남학생과 고학년이 여학생과 저학년에 비해 부정적이라고 확인되었다. ‘지루하다’는 아동의 응답을 통해 수동적인 교육방법이 아닌 아동이 참여하고 주도하여 흥미를 이끌 수 있는 아동이 원하는 방법의 교육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 초등학생을 중, 고학년으로 나누어 성폭력에 대한 인식을 성폭력에 대한 개념, 원인, 예방 및 대처방법과 대상자들이 원하는 성폭력 예방교육으로 나누어 내용분석한 결과, 학생들의 인식은 범주 내용은 비슷하고, 빈도에 따라서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이는 학생들의 발달수준에 따른 차이일 뿐, 인식하는 내용에 따라서는 큰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를 통해 성폭력 예방교육 프로그램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만들 때에는 이론에 근거하고, 연령·교육·발달 수준에 적합해야 할 것이다. 또한 일방적인 교육이 아니라, 피드백을 수반한 행동적 방법과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행동을 길러주며, 가정학습과 학부모 참여도 필요다고 생각된다. Wurtele과 Miller-Perrin (1992)는 아동 성폭력 예방에 대한 내용은 부모가 자녀에게 전달하는 과정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나, 일반적으로 부모들은 성에 관한 내용은 자녀들과 논의하기 힘든 주제로 생각하거나 자녀들이 놀라거나 부모들의 관심, 지식, 용어, 자료의 부족 등으로 교육하는데 어려움을 겪는다로 보고하였다. 그러므로 성폭력 예방교육을 하는 부모에게 성폭력의 원인, 자녀들에게 교육하고 있는 상황 및 교육 시 어려운 점, 필요한 내용 등에 대한 요구도 등을 미리 점검하여 필요한 교육적 정보를 제공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아동이 자연스럽게 교육 내용을 받아들이고 지속적으로 교육을 제공받을 때, 지속적이고 긍정적인 교육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Kim, 2004). 왜냐하면 학교 뿐 아니라, 성폭력 예방의 중요성을 부모가 먼저 인지할 때 아동 성폭력 예방에 좋은 결과가 나타날 것이기 때문이다.

결론 및 제언

본 연구의 목적은 성폭력에 대한 초등학생의 인식을 성폭력에 대한 개념, 원인, 예방 및 대처방법과 대상자들이 원하는 성폭력 예방교육을 파악하기 위해 초등학생 93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내용분석법과 절차에 따라 대상자들이 진술한 내용을 범주로 구분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현재 성폭력 교육이 학교 수업에서 이루어지고 있기는 하나 아동에게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확인되는 경우가 있어, 현재의 교육 프로그램을 좀 더 체계적으로 운영하며 적극적인 행동적 방법을 고려하고 연령․교육․발달 수준에 적합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을 통해 추 후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즉, 초등학교 중, 고학년 학생이 인식하는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성폭력 예방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이 요구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2개의 초등학교 중, 고학년 아동만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결과를 일반화하여 학대 해석하는데 무리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되어진다. 그러므로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좀 더 많은 지역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다면 좀 더 구체적이고 신뢰성 있는 자료가 산출될 것이라고 본다.

본 연구결과를 기초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초등학교 중, 고학년 학생의 흥미와 관심을 끌 수 있는 성폭력 예방 교육자료를 개발하고 보급한 뒤 그 효과를 측정할 수 있다.

둘째, 초등학교 1, 2학년의성폭력의 인식에 대한 내용을 분석하여 이를 비교할 필요가 있다.

셋째, 초등학교 중, 고학년 대상으로 성폭력 인식에 관해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심층적으로 분석하는 질적 연구가 필요하다.

Acknowledgements

This study was supported by Hallym University(HRF-201306-006).

이 논문은 2013학년도 한림대학교 교비 학술연구비(HRF-201306-006)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References

1. Arrowood A. K. Prevalence of child abuse and variables related to physical and sexual abuse: Assault among adolescent females in chemical dependency inpatient treatmen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rion. University of Minnesota. Minnesota, USA 1992;
2. Cochran W. G. Sampling techniques (3rd ed.). New York: John Wiley & Sons 1977;
3. Choi J. E. A study on sexual and marital development tasks of Korean children. The Journal of Child Education 2010;19(2):287–306.
4. Chong C. O, Lee J. Y. The effect of sexual abuse prevention programs of concepts of prevention and coping skills in preschool children. The Journal of Child Association 2000;21(2):135–146.
5. Dickinson J. Toward a cognitive developmental understanding of child sexual aduse : Clinical interview with adult woman sexually abused in childhood.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nia, Berkeley 1991;
6. Gioro S. I. Brother sister incest: Characteristics, risk factors, trauma, and long term effects among adult famale surivo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Maine. Maine, USA 1991;
7. Genuis M. Short term effects of child sexual abuse on self- esteem in a survey of young adult mal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Calgary 1992;
8. Kim S. J, Lee J. E, Kim S. H, Kang K. A. The effect of sexual education on sexual knowledge and attitude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012;26(3):389–403. 10.5932/JKPHN.2012.26.3.389.
9. Hanson R. F, Saunders B, Kilpatrick H, Crouch J. A, Duncan R. Impact of childhood rape and aggravated assault on adult mental health.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2001;71(1):108–119. 10.1037/0002-9432.71.1.108.
10. Jeong D. Y. A study on the prevention strategy to child sexual abuse in police. The Journal of Korean Police Association 2011;13(1):137–172.
11. Jang H. J, Park K. M. Elementary school high grade students' perceptions of sexual violence. The Journal of Korean Community Nursing 2003;14(1):45–54.
12. Krippendorff K. Content analysis: An introduction to its methodology (2nd ed.). Beverly Hills: Sage 2004;
13. Kim K. D, Lee O. J. Methods in social research. Seoul: Pakyoungsa 1986;
14. Kim D. K, Yu J. C. Mass media research. Seoul: Nanam 2005;
15. Kim O. N. Parents' level of knowledge and demands for educational program for child sexual abuse prevention. The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004;22(4):73–84.
16. Kim H. K. A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adolescent attitudes toward sexual violence. The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02;8(1):20–33.
17. Lee K. H, Lee J. Y, Bae J. Y, Kim I. O. Development of the educational program for prevention of sexual abuse in childre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3;33(2):189–199.
18. Lee Y. A. An empirical study on the sexual harassment in the campus life. The study of Victimology 2012;20(2):31–54.
19.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The 2012 prevention education of sexual harassment and prostitution in public institution. Seoul: Author 2012.
20. Shin K. S. Sexually abused children's victimized experience.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2011;30(4):1255–1287.
21. Wurtele S. K. School- based child sexual abuse prevention programs- question, answers, and more questions. Handbook of child research and treatment: Plenum Press, New York and London 1998;
22. Wurtele S. K, Miller-Perrin C. L. Preventing child sexual abuse: Sharing the responsibility. Lincoln: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1992;
23. Yang S. W. The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psychological experience of mothers of sexually abused children. Korean Journal of Family Social Work 2008;23(8):183–224.
24. Yoon J. H. Elementary school teachers' needs assessments and perceptions on school education program to prevent sexual abuse to children. The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008;20(3):231–258.
25. Yoon J. H. A study on children's experiences and recognitions of preventive education against sexual abuse.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Practical Arts Education 2010;23(3):59–78.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N=93)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
Grade 3rd 22(23.7)
4th 22(23.7)
5th 27(29.0)
6th 22(23.7)
Gender Male 46(49.5)
Fmale 47(50.5)
Sibling Have 6(6.45)
None 87(93.5)
Family type Nuclear 76(87.1)
Extend 17(12.9)
Knowledge source of sexual abuse School 57(54.6)
Family 6(11.8)
Massmedia 30(49.4)
Experience of sexual abuse education Have 76(87)
None 17(13)
Degree of help about sexual abuse prevention education Very Help 44(47.3)
Moderate 45(48.4)
Not helpful 4 (4.3)

<Table 2>

The Concept of Sexual Abuse Recognized by Subjects (N=93)

Category Middle grade (n=44) n(%) High grade (n=49) n(%)
Compulsory
contact
- Touch other's body without permission
- Touch other's precious body part
26(59.0) - Touch my body which I don't want
- Touching the body without any reason
- Man forced to touch her body
- Female touch male's body forcibly
25(51.0)
Harassment - Hurt other's body
- Threatening to some people
- To force people to afflicts
- Knocking killing
- Cursing
- Giving distress Others for their own pleasure annoying
7(15.9) - Harass and hitting action to the people
- Student assaulted by adults
- Physical hitting by other sex
- Something that make people afraid
27(55.0)
School
violence
- Leaving out and drawn the money, to severe hurted language to the friend
- Touch the body or hitting action by friends
- Doing dislike behavior to friends
- Acting out to others
- Annoying friends
- Mighty children annoy weak children
14(31.8) - Friends, beating, teasing and out the friends 2(4.0)
Pornography - Watching pornography
- Seeing undesirable thing
- Talking about which people don't like
2(4.5) - Watching pornography 2(4.0)
Unpleasant
sexual
behavior
- Attempt to sexual intercourse without notice
- Insult a person sexually violence or use violence physically
3(6.8) - Insult a person sexually or use violence physically
- Sexual harassment, sexual assault, and sexual violence to others
- Attempt to sexual behavior which people don't like
- Deprive sexual initiative to the degree who feel the shame
8(16.3)
Crime - To commit crimes against the children 3(6.8) - Things should not absolutely
- Be careful and be scary
- Crime and bad
- To feel satisfied, which ruin the life of others
5(10.0)
Don't know - Don't know 3(6.8) - Don't know 3(5.8)

<Table 3>

The Cuses of Sexual Abuse Recognized by Subjects (N=93)

Category Middle grade (n=44) n(%) High grade (n=49) n(%)
Not
intolerance of
impulse
- Curiosity and stress
- Commits a crime, lonely and pastime
- To touch others carelessly
- When feel bad
- Can not wait to be pretty
9(20.5) - I want to teach other because of stress build up
- Can nor self-regulation
- Want to fight with someone
- Bad person can not resist trying to force
- Curiosity in the mind
- Anger not tolerated
- Offender want to feel good
- In order to satisfy their needs
- Bad mind of the committer
- Watching erotic pictures teen kissing
- Sexual desire and loneliness
- Does not deal well the sexual urge
- Hatefullness
- Psychopathy
17(34.7)
Play - As fun
- Just wanted
- At first think easily, and I think as a play then arrives that takes place
- Commits a crime, lonely pastime
5(11.4) - By wanton 2(4.0)
Bullying - Friend's fight is going on
- Mighty friend distress the weak
5(11.4) - Annoying friends 1(2.0)
Financial
needs
- Bothering friends
- To ask for money
- Search the body to find money
3(6.8) - To get the money 1(2.0)
Home
education
and the
environment
- Abused by parents
- Home environment is not good
- Violent thoughts and attitudes of the people who have problems.
5(11.4) - Improper education
- Their abnormal parents
- A lot of pornography at childhood
- Childhood sexuality is not improper
8(16.3)
The negligence
of the victim
- Pick up by car when going alone
- A lot of student attending alone
2(4.5) - Late at night alone
- Dressed too short or alone late at night
- Pay too get to hang fashion
3(6.1)
Don't know - Don't know 15(34.0) - Don't know 17(34.7)

<Table 4>

The Method How to Prevent and Deal with Sexual Abuse Recognized by Subjects (N=93)

Category Middle grade (n=44) n(%) High grade (n=49) n(%)
Sexual
education
- Sexual education and thinking about getting a lot of sex education sexual violence should be destroyed.
- Should receive the sexual abuse prevention education
- Give and show the sexual abuse prevention sheet which received from school and posted on the internet
7(15.9) - Campaign on the issue of sexual abuse
- Thorough sexual education who did sexual abuse
- Inform how to cope with and prevent sexual abuse at school
- Know how to protect themselves, cope with sexual abuse
18(36.7)
Avoidance
of danger
- When go out at night, go around a lot of people go into the bright place
- Come and go where people crowed and not go on unfamiliar place
- Do not come and go where people is not
- Do not follow a stranger
22(50.0) - Do not go into an alley
- Avoid the dark and no person
- Educated how to cope with sexual abuse, go away, come and go where people crowed people attend where
- Avoid to meet stranger
- Do not walk around late at night and go home early, before it's too late
- Being dressed, and come and go where many people attend
- Must be careful
- Goes home early
29(59.1)
Protection - Attend with many people on a group
- Attend with a friend
8(18.2) - Attend with a friend
- Narrow streets, the police should be arranged
- Make alarm device when sexual abuse are happened
- CCTV is installed in a dark place
5(10.2)
Self-assertion - Way to, "No! Do not touch! I do not want it," with a loud voice
- Say not to do
- Escape the place before killed
3(6.8) - Inform the people not to do 2(4.1)
Treat with
kindness
- Do not hit friends and treat with kindness
- Teachers play with friend outside of the school
6(13.6) - Do not bother friends and help a friend being bullied 1(20.4)
Strengthening of
penalties
- Punish the person who did sexual abuse 1(2.3) - Kill the people who did sexual abuse
- Strengthen the law on sexual abuse
- Put criminals in jail, locked up for life
4(8.2)
Asking for help
& and
notification
- Ask people around you for help
- If it happened at school, inform the teacher, and around the home, tell the parents. Away from, report and per teacher in the school, telling your parents say you have around the house from the party, away from the report is to inform happens around.
- Bawl for help
- Inform parents and teacher
- Wearing the same clothes to preserve the scene and then contact parents right. Visit the hospital to confirm to home the problem or not.
- Announce to the teacher.
19(43.1) - Inform parents and teacher
- Remember the happened the place, and the time, description of the perpetrator. Parents to say, do not suck sexual underwear remember who was where and when, and remember a description of the perpetrator
- Ask for help
- Inform the people around, and get retrained for sexual assault
16(32.7)
Report - Call to Youth Counseling Center will call
- Report to the police
- Report to the police, and then explain in detail how you have sexual abuse.
- Call to 119
5(11.3) - Report to the police
- Report to the police and remember criminals in that situation, says the appearance
- Do not wash and be taken examination at the hospital
24(49.0)
Treatment and
counseling
- Receive psychotherapy 1(2.3) - Tell the school health nurse rather than parents, teachers, and then receive psychological counseling. 2(4.1)
Escaping - Just escaping. 1(2.3) - Scream and going away 2(4.1)
Don’t know - Don’t know 5(11.3) - Don’t know 4(8.2)

<Table 5>

Educational Needs for the Prevention of Sexual Abuse by Subjects (N=93)

Middle grade (n=44) n(%) High grade (n=49) n(%)
More detailed
sexual abuse
preventi-on
education
- Want to know where it happen generally
- How to prevent sexual abuse in detail
- How to cope with sexual abuse and want to know the place where to play safely
- When struck in combat sexual abuse how to report about that
- Want to know the contents and behavior of sexual abuse in detail.
- When sexual violence want to learn how to deal
31(63.3) - Why is violence happens I want to learn about
- Wish if you can teach a lot of teachers
- Violence at school I hope to tell you more about
- The exact definition of sexual abuse, and specifically want to learn about behavior.
- Resulting baby would like to know more about the process
- How do I deal with that violence can never be about how
23(46.9)
How to
recognize sexual
abuse
- The reason why sexual abuse happen in detail
- Want to see more about educational broadcasting
4(6.1) - Sexual offenders, or a way to know about the expected 11(22.4)
How to protect
oneself
- Various method how to protect onesself when the dangerous situation in detail
- To see the program which show the wrong point of sexual abuse
2(4.5) - I want to learn how to protect yourself. 3(6.1)
Interpersonal
relationship
- How to manage the relationship with friends
- How to treat kindly with friends
6(13.6) - Getting along well with everyone 2(4.1)
Practical
education
- Learn how to defeat 2(4.5) - I want to learn self-defense skill.
- To use many methods such a situational play
- Doing role play which and happen really
- Discussion with college students
6(12.2)
None - None 11(25.0) - None
- Does not help much because of boring education
- There’s nothing to learn because sexual education is enough.
23(4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