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학생의 지역사회 연계 간호교육 프로그램 참여 경험: 질적 내용분석

Nursing students’ experience of community-linked nursing education program: A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Article information

J Korean Acad Soc Nurs Educ. 2022;28(3):223-235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22 August 31
doi : https://doi.org/10.5977/jkasne.2022.28.3.223
이인숙1)orcid_icon, 김혜옥2),orcid_icon, 이병숙3)orcid_icon
1) 창원대학교 간호학과, 부교수
1) Associate Professor, Department of Nursing,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2) 경남대학교 간호학과, 부교수
2) Associate Professor, Department of Nursing, Kyungnam University
3) 계명대학교 간호학과, 교수
3) Professor, Department of Nursing, Keimyung University
Address reprint requests to: Kim Hae Ok Department of Nursing, Kyungnam University, 7, Kyungnamdaehak-ro, Masanhappo-gu, Changwon-si, Gyeongsangnam-do, 51767, Republic of Korea Tel: +82-55-249-6346, Fax: +82-505-999-2140, E-mail: hok503@kyungnam.ac.kr
*본 연구 결과의 요약은 2021년 한국간호과학회 13th International Nursing Conference에서 E-Poster 발표되었음.*The summary of this paper was presented as an e-poster at the 13th International Nursing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of Nursing Science, October 2021, Seoul.
Received 2022 May 3; Revised 2022 July 4; Accepted 2022 July 19.

Abstract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nursing students’ experience with community-linked nursing education programs.

Methods:

This study utilized a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Participants were 55 sophomore nursing students. The community-linked nursing education program was conducted for eight weeks using the 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Evolution (ADDIE) model. Data were collected from 55 reflection records and five individual interviews and then analyzed through the three steps of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coding, condensing, and categorizing.

Results:

Twelve categories, 26 subcategories, and six topics emerged. The themes of impression and lesson from the community-linked nursing education programs were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professional competence in performing the role of nurse,” “recognizing the need for leadership and cooperation in nursing practice,” and “increased awareness of the role as a nursing professional for community residents.” The themes of the strategies used were “looking at the goal and moving forward,” and “aligning differences and working together with team/community members.” The theme of strategies for the advancement of community-linked nursing education programs was “establishing a sustainable student-participating community-linked education program.”

Conclusion:

The community-linked nursing education programs made students aware of the necessary competencies as professionals. In particular, they gave them hope for their role as professional nurses in the community. It could also be seen that they developed the ability to engage in team activities for community activities. Community-linked nursing education programs will need to be developed into continuous programs with community residents.

서 론

연구의 필요성

최근 대학 교육 방법의 다양화가 강조되면서 지역사회와 접점이 많은 전문직 교육에서 지역사회 연계 교육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1]. 지역사회 연계 교육프로그램은 지역사회와 주민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에 관련된 수업을 개발하고 수업에서 도출된 학생의 아이디어를 적용하여 활용하는 교육 방법이다[2]. 이 방법의 장점은 지역사회에 대한 이해와 유대감을 형성하게 하고[2], 지역 내 개인의 역할에 대한 책임감을 증진시키며 자기주도 학습을 통해 문제해결 능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3], 교육대상자인 지역주민과 교육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그들 간의 파트너십 역량을 효과적으로 구축할 수 있게 한다[4].

간호교육에 있어 지역사회 연계 교육프로그램은 주로 지역주민의 건강증진 및 질병 예방 관련 일차보건의료와 관련된 내용을 중심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보건의료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이 낮은 취약 인구집단의 건강 문제점을 찾아내어 해결함으로써, 지역사회 건강 문제에 대한 학습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5,6]. 또한, 이 방법은 간호학생으로 하여금 지역사회 건강요원 및 주민들과 함께 하는 간호서비스 활동을 실제 수행해 봄으로써 건강전문가에게 필수적인 리더십 및 팀워크 역량 함양에도 보다 효과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 특히 간호사는 일차보건의료 분야에서 질병예방 및 건강증진 사업의 담당자로서 지역주민과 상호작용하면서 그들의 건강과 삶의 질 향상에 크게 이바지하고 있다[5]. 따라서 지역사회 건강문제 해결에 적합한 실무역량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간호학생 시기부터 지역사회의 건강 요구에 대응할 수 있도록, 지역사회와 연계하는 교육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지역사회 연계 간호교육 프로그램의 보다 효과적인 적용을 위해서는 프로그램에 실제 참여해 본 당사자들, 특히 교육대상인 간호학생의 경험을 확인하고 이해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지역사회 연계 간호교육 프로그램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국내 연구로는 간호학생 대상으로 지역연계 호스피스 완화의료 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호스피스 완화의료에 대한 인식과 지식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는 연구를 찾아볼 수 있었다[7]. 외국의 연구로는 지역사회 원예 프로그램 참여학습에서 간호학생의 사회적 포용, 세대 간 이해의 학습효과가 있었다는 연구가 있었다[8]. 타 전공 분야에서 지역사회 연계 교과목을 운영한 문헌을 살펴보면, 사회학과, 교육학과, 사회복지학과 등에서 찾을 수 있었는데, 사회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지역사회 문제해결을 위한 캡스톤 디자인 수업 운영 결과 학생들은 지역사회 문화 공동체 형성과 지역전문가 육성에 한 발짝 다가설 수 있었던 것으로 보고되었으며[9], 교육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지역사회 연계 프로그램을 액션러닝과 온라인 수업으로 운영하여 지역사회 문제를 팀으로 해결하면서 전공 역량 및 다양한 역량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2]. 유아교육 전공 학생을 대상으로 지역사회 전공 학습 프로그램을 적용한 연구 결과, 학생들은 지역사회 나눔과 배려, 실천을 통해 전공 역량뿐만 아니라 문제해결 능력도 향상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10]. 또한, 과학기술 관련 사회 쟁점을 주제로 한 사회참여 교육 전과 후의 사회참여 인식 연구 결과, 지역사회에 대한 소속감, 사회적 책임감, 사회참여 효능감과 같은 사회참여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학습자의 사회참여역량을 함양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11]. 교양 학과에서 지역사회 봉사 학습을 활용한 결과 지역 문제에 대하여 학습자 스스로 참여의식을 가지고 팀으로 협동 수업을 하면서 효능감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12]. 그뿐만 아니라, 보건복지행정학과와 미술치료 학과가 공동으로 지역사회 정신건강 융합 실습을 운영한 결과, 대학생의 지역사회 정신건강 개념에 대한 인식, 전공에 대한 자신감, 융합 활동 협업 경험, 문제해결 능력, 자기 주도적 학습 및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13].

선행연구 고찰 결과, 타 전공 분야에서는 지역사회와 연계한 교육프로그램들이 다양하게 운영되고 있는 반면에, 간호교육에 있어 지역사회 연계 간호교육 프로그램을 다룬 연구는 매우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이에 간호학 교육에 있어서 이러한 교육 방법의 설계와 적용을 위한 실증적 근거를 마련할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 연계 간호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해 보고, 프로그램 참여자 중 간호학생의 경험을 질적 내용분석을 적용하여 연구해 보고자 한다. 질적 내용분석은 연구주제에 대해 충분히 알려지지 않은 상태에서, 수집된 자료에 대한 총체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한 체계적인 질적 연구 방법으로써, 자료에 기존의 이론적 범주나 관점을 대입시키지 않고 참여자의 관점에서 결과를 얻어낼 수 있는 장점이 있어[14], 본 연구의 방법으로 적절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간호학생의 지역사회 연계 간호교육 프로그램 참여 경험을 확인하고 이해함으로써, 향후 다양한 지역사회 연계 간호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목적 및 연구질문

본 연구는 간호학생의 지역사회 연계 간호교육 프로그램 참여 경험을 기술하고 이해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 질문은 ‘간호학생의 지역사회 연계 간호교육 프로그램 참여 경험은 무엇인가?’이다.

연구 방법

연구 설계

본 연구는 간호학생의 지역사회 연계 간호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경험을 기술하고 이해하고, 탐색하기 위한 질적 내용분석 연구이다.

연구 참여자

본 연구의 참여자는 임상실습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는 일개 시의 간호학과 2학년 학생들이다. 참여자들은 사전에 본 프로그램에 대한 설명을 듣고 연구 참여에 자발적으로 동의한 학생으로서 처음부터 끝까지 낙오하지 않고 전 과정의 프로그램을 완수한 학생 55명이다. 연구 참여자는 원활한 간호교육 프로그램 진행을 위해 각 팀을 7∼8명으로 하여 7개 팀으로 구성하였다. 참여자들은 여학생 78.0% (43명) 남학생 22.0% (12명)이었으며, 평균 나이는 21.93±1.61세이었다.

지역사회 연계 간호교육 프로그램

본 프로그램은 지역주민들을 대상으로 건강교육을 운영하도록 설계된 지역연계 간호교육 프로그램이다. 프로그램의 원활하고 체계적인 진행을 위해서 교육프로그램 설계에서 주로 활용되고 있는 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Evaluation (ADDIE) 모형을 적용하여 분석, 설계, 개발, 실행, 평가의 단계에 따라 2019년 10월 14일부터 12월 9일까지 총 8주간의 활동을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다.

분석단계에서는 각 팀원이 지역사회 현장을 방문하여 지역사회 환경을 분석하고 기관을 섭외하여 지역사회 연계 간호교육 프로그램을 위한 대상자를 기관의 담당자로부터 소개받아 선정하였다. 대상자는 여성경로당 2곳, 청소년문화의 집, 지역아동센터, 노인문화회관, 노인복지회관, 주·야간 보호센터의 총 7곳을 이용하고 있는 지역주민들이었다. 이 단계에서는 지역주민 대상자에게 맞도록 주제를 선정하였는데, 여기에는 고혈압 및 뇌졸중 예방 자가관리, 여성 노인의 우울증 예방 건강, 비만·치아건강·건강체조, 청소년 자가 건강관리, 당뇨환자 응급상황 대처 관리 능력, 치매 예방 건강관리 및 노인 변비 완화를 위한 셀프 마사지 등의 내용이 포함되었다.

설계단계에서는 팀별로 선정한 간호교육 프로그램 주제별로 주차별 목표를 설정하였다. 목표는 각 주차별로 지역주민이 달성해야 하는 행동 용어로 설정하였다. 각 팀은 설정된 목표에 따라 교육프로그램 활동 내용 및 수행 계획을 수립하여 도입 10분, 전개 10분, 실행 60분, 평가 10분의 총 90분으로 구성된 3주간의 활동을 설계하였다.

개발 및 실행 단계에서는 주차별 교육의 흥미 및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다양한 교육 방법, 즉, 동영상을 활용한 교육, 건강 달력 만들기, 당뇨 교환식이 만들기, 탁구공 놀이, 종이컵 쌓기, 시력보호 운동, 마스크 올바로 착용하기, 손씻기, 노래부르기, 촉각놀이 등을 적용하였다. 이 단계에서 개발된 교육 자료는 적용하기 전에 팀별로 대학병원 간호사, 또는 지역사회간호사, 간호학과 교수에게 내용의 적절성을 확인받았다.

지역사회 연계 간호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지역주민은 학령전기 아동 20명, 청소년 7명, 노인 75명으로 총 102명이었으며, 팀별로 최소 5명에서 최대 20명이었다. 매 주차별 활동 수행 후에는 지역주민 참여자들의 피드백을 받아서 다음 주차의 활동을 수정·실행하였다.

평가단계에서는 디브리핑 시간을 통해 총 3주의 활동에 대한 간호교육 프로그램 평가를 진행하였다. 2시간 동안 팀별로 지역사회 연계 간호교육 프로그램 경험 전반 및 성과에 대해 토의하고 피드백하는 시간을 가졌으며, 피드백 후에는 개별 성찰기록지를 작성하여 제출하도록 하였다. 개별 성찰기록지는 개방형 질문지를 제공하여 지역사회 연계 간호교육 프로그램 참여 경험을 기술하도록 하였다.

자료 수집

본 연구 자료 수집은 평가단계에서 참여자들로부터 받은 성찰기록지 55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미비하거나 명확하지 않은 부분은 보충 자료로 개인 면담을 시행하였다. 지역사회 연계 간호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성찰기록지 작성을 위해 다음과 같은 4개의 개방형 질문을 제시하고, 이에 대해 참여자들이 자유롭게 기술하도록 하였다. 4개의 주요 질문은 다음과 같다. 1) “지역사회 연계 간호교육 프로그램을 수행하면서 느낀 점은 무엇이었나요?”. 2) “지역사회 연계 간호교육 프로그램에 참여 후 얻은 점 또는 배운 점은 무엇이었나요?”, 3) “지역사회 연계 간호교육 프로그램 목표 달성을 위해 자신과 팀이 활용한 수행 방법은 무엇이었나요?”. 4) “지역사회 연계 간호교육 프로그램을 개선하기 위해 해결해야 할 방안은 무엇인가요?”이다. 개인면담 질문은 성찰기록지 작성을 위한 질문과 동일하였으며, 보조 질문으로 좋았던 경험, 나빴던 경험, 어려웠던 점 및 성찰기록지에 작성하지 못한 내용에 관한 것이었다. 개인면담은 성찰기록지에 작성된 지역사회 연계 간호교육 프로그램 참여 경험에 관한 내용 이외의 새로운 내용이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자발적으로 참여에 동의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새로운 내용이 나오지 않을 때까지 이루어졌으며, 그 결과 총 5명이 참여하였다. 개인면담 횟수는 1회, 시간은 40~60분 소요되었으며, 장소는 참여자들이 원하는 조용한 카페에서 진행하였다. 성찰기록지는 A4용지 100장 분량이었으며, 필사된 개인면담 기록지는 A4용지 20장 분량이었고, 자료 수집 기간은 2019년 12월 2일부터 12월 9일까지 1주간이었으며, 개인면담은 2020년 2월 24일부터 3월 14일까지 이루어졌다.

자료 분석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은 Elo와 Kyngäs [14]가 제시한 3단계 질적 내용분석 과정을 적용하였다. 첫째, 준비단계에서는 4개의 주요 질문을 중심으로 성찰기록지의 내용을 읽고 원자료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한 후 자료에 대한 전체적인 맥락을 파악하고, 자료를 다시 반복적으로 읽으면서 주요 진술문에 밑줄을 긋고 의미 있는 분석단위를 확인하였다. 그런 다음 개방코딩을 생성하여 목록을 작성하였다. 둘째, 조직단계에서는 연구 질문을 중심으로 개방코딩을 분류하여 개념이나 문구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비교하면서 비슷한 것을 통합한 후 개념이나 구절로 하위범주로 분류하여 추상화하였다. 셋째, 보고단계에서는 추상화하여 생성된 하위범주를 다시 그 의미와 특성의 유사점과 차이점에 따라 통합한 후 더 높은 차원의 범주로 추상화시키고 이를 분류하여 주제를 도출하였다. 두 번째 단계까지는 연구자들 각자가 분석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분석 결과 중 이견이 있는 경우 토의를 거쳐 조정하였고, 세 번째 단계는 연구자들이 함께 모여서 진행하였다.

윤리적 고려

본 연구 수행을 위해 2020년 2월 창원대학교 기관 생명윤리위원회로부터 승인(승인번호: 7001066-202001-HR-002)을 받았다. 참여 학생들에게 제출한 성찰기록지는 분석하여 연구에 이용될 수 있음을 사전에 설명하고 동의를 받았으며, 참여자의 개인정보에 해당하는 내용은 전혀 수집되지 않았다. 성찰기록지의 작성 및 제출은 성찰기록지 내용이 노출되지 않도록 팀별로 무기명으로 제출하도록 하였다. 성찰기록지 분석은 익명화하여 누구인지 알 수 없도록 무기명의 번호를 부여하여 필사한 후 진행하였다. 참여자들이 학생이므로 성적평정이 끝난 후 자료 분석을 시작하였으며, 참여자의 개인신상 정보와 성적 등에 대한 일체의 자료는 수집되지 않았다. 또한, 성찰기록지의 작성 및 제출은 개인의 성적과 무관하며 자유롭게 기술하도록 하였으며, 작성내용이 노출되지 않도록 무기명으로 기술하여 제출하도록 하였다.

연구자의 준비

연구자들은 대학원 과정에서 질적 연구방법론을 수강하였으며, 질적 내용분석, 문화기술지 및 현상학적 연구 등, 다수의 질적 연구를 수행하고 학술지에 출판한 경험이 있다. 또한, 연구자들은 모두 다년간의 간호교육 경험이 있어 본 연구를 위한 전문적 역량을 갖추었다고 할 수 있다.

연구의 타당성 확보

연구의 타당성은 Lincoln과 Guba [15]가 제시한 질적 연구의 평가 기준인 사실적 가치, 적용 가능성, 일관성, 중립성을 고려하여 확보하였다. 사실적 가치를 충족하기 위해서 성찰기록지는 학생들이 자유로운 분위기에서 기술하도록 하였으며, 개인면담을 통해 자료를 보충하였다. 연구자들은 자료의 누락을 방지하기 위해 자료의 내용을 3회 이상 읽었으며, 분석내용 또한 3회 이상 점검한 후 빠진 내용이 없는지 확인하였다. 참여자의 진술이 왜곡되거나 연구자의 주관이 개입되지 않도록 자료로부터 추출된 결과를 시간을 두고 다시 반복하여 재확인하는 절차를 거쳤다. 또한, 자료 분석 결과는 본 연구의 경험을 잘 이야기할 수 있는 연구 참여자 5명의 개인 면담을 통해 경험과 일치하는지를 확인하였다. 적용 가능성을 충족하기 위해서 연구자들은 지역사회 연계 간호교육 프로그램 수행을 위한 적절한 장소와 대상자를 선정하였다. 자료 분석과정에서 참여자들의 경험이 충분히 나타나는지를 확인하고 자료를 반복적으로 확인하였으며, 추가 개인 면담을 통해 자료를 보완하였다. 일관성을 충족하기 위해서 자료 수집 및 분석과정을 자세히 기술하였고, 여러 차례에 걸친 범주화 작업에 관해 질적 연구를 수행한 경험이 많은 간호학자 두 명에게 자료 분석 전 과정에 대한 조언, 비평과 피드백을 받으면서 기술하였다. 중립성을 충족하기 위해서 연구자가 연구에 대한 가정, 편견 등을 가지지 않도록 주요 진술문의 도출과 개방코딩 및 범주화 과정에서 자료들을 메모하고 상호 비교하였으며, 독자들이 연구자들의 해석이나 분석 결과를 검증할 수 있도록 참여자의 기술 내용을 연구 결과에 직접 인용하였다.

연구 결과

본 연구 참여자들의 지역사회 연계 간호교육 프로그램 참여 경험을 분석한 결과, 95개의 코드를 확인해 낼 수 있었으며, 이들을 분류해서 26개 하위범주와 12개 범주, 6개의 주제로 범주화할 수 있었다. 4개의 주요 질문에 대한 학생들의 기술 내용을 분석한 결과, 참여자들이 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느끼고 배운 점을 인식하게 되므로 구분되는 차이점이 없이 배운 점과 느낀 점이 상당히 유사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참여자가 지역사회 연계 간호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느낀 점 및 배운 점’, ‘참여자가 지역사회 연계 간호교육 프로그램에 활용한 전략’, ‘참여자에 의해 제안된 지역사회 연계 간호교육 프로그램 발전을 위한 전략’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Table 1). 도출된 주요 주제와 범주에 대한 진술은 다음과 같다.

Participants’ Experience from the Community-Linked Nursing Education Program

지역사회 연계 간호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느낀 점 및 배운 점

참여자들이 지역사회 연계 간호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느낀 점 및 배운 점은 3개의 주제와 6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주제는 ‘간호사로서의 역할수행에 있어 전문적 역량의 중요성을 인식함’, ‘간호 실무현장에서 리더십과 협력의 필요성을 인식함’, ‘지역사회 주민을 위한 간호전문가의 역할에 대한 인식이 증가함’이었다. 참여자들은 지역사회 연계 간호교육 프로그램을 직접 적용해 보는 경험을 통하여 자신들의 역량 정도를 느끼면서, 부족한 부분을 배워가고 있었다.

● 주제 1. 간호사로서의 역할수행에 있어 전문적 역량의 중요성을 인식함

‘간호사로서의 역할수행에 있어 전문적 역량의 중요성을 인식함’은 ‘건강(간호)문제 해결을 위한 전문지식의 중요성을 알게 됨’, ‘배운 것을 실무현장에서 적용해 보는 즐거움을 느낌’이었다.

건강(간호)문제 해결을 위한 전문지식의 중요성을 알게 됨’은 참여자들이 지역주민들을 대상으로 첫 교육을 마치고 난 후 지역주민들과 교육에 대하여 피드백을 하면서 그들의 눈높이를 파악하지 못한 아쉬움과 자신들의 이론적 지식과 교육역량의 부족함을 알게 된 것을 의미한다. 참여자들은 이를 통해 대상자들의 개별수준에 맞춘 교육 내용과 교육 자료의 구성, 적절한 단어의 사용, 교육 방법을 적용해야 함을 몸소 인식하였다. 또한, 참여자들은 지역주민들이 원하는 프로그램을 위해서 본인들이 가지고 있는 전문지식과 한정된 간호기술에 대해서만 교육을 할 수 있는 것에 대하여 부족함을 깨닫고 지역주민을 위한 건강프로그램수행을 위해 전문적 역량이 중요함을 실무현장을 통하여 알아가고 있었다.

“처음에는 학교에서 배운 이론을 대상자에게 어떻게 적용해야 할지 막막했어요. 과제를 수행하면서 어르신들께 더 전문적이고 확실한 도움을 드리면 너무 좋을 것 같은데, 지식적인 면에서 아직 간호대학 2학년이라 부족한 점이 많다는 것을 스스로 느꼈어요. 앞으로 남은 기간 동안 간호학 전공 공부를 열심히 해서 간호사가 된 후 지역주민들에게 도움을 드려야겠다고 다짐했어요.” (참여자 1)

‘배운 것을 실무현장에서 적용해 보는 즐거움을 느낌’은 참여자들이 지역사회 연계 간호교육 프로그램을 임상 실습의 한 부분으로 생각하면서 이론을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다는 기대와 설렘을 가졌으며, 이론으로 배운 지식을 실제 현장에 적용해 봄으로써 이론과 실무가 잘 연결되는 것을 알아가는 것이다. 학생들은 지역사회 연계 간호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실제로 실무에서 지식을 적용함으로써 자신의 역량이 어느 정도인지 확인하고, 팀원들과 서로 조율해 나가면서 타인을 알아가게 되었다. 참여자는 지역사회 연계 간호교육 프로그램 과정을 통하여 스스로 발전해 가는 자신을 발견하게 되었고, 혼자만의 성장이 아니라 팀원 전체가 함께 성장해 가는 것에 뿌듯함을 느끼고 있었다. 또한, 팀 프로그램에서 실패했던 것을 본보기로 삼아 부족한 부분을 채워가면서 좋은 간호사가 되어야겠다고 다짐도 하고 있었다.

“지역사회 연계 간호교육 프로그램을 하면서 간호사는 환자들에게 심리적으로 편안하게 다가가는 것도 중요한 요소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고, 간호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저는 무엇보다 실습 가기 전 이러한 경험을 통해 스스로 한 뼘 더 성장한 것 같아 좋은 시간이었고, 뿌듯했어요. 앞으로 공부를 더 열심히 해서 좋은 간호사가 되어야겠다는 다짐도 했어요.” (참여자 30)

● 주제 2. 간호 실무현장에서 리더십과 협력의 필요성을 인식함

‘간호 실무현장에서 리더십과 협력의 필요성을 인식함’은 ‘간호 실무현장에서 다양한 구성원을 이끌어가야 하는 리더십의 필요성을 느낌’, ‘팀원 간 협력이 팀 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는 원동력임을 알게 됨’이었다.

‘간호 실무현장에서 다양한 구성원을 이끌어가야 하는 리더십의 필요성을 느낌’은 참여자들이 지역사회 연계 간호교육 프로그램 수행과정에서 다양한 배경을 가진 학생과 팀원이 되어 팀원 간 의견을 서로 조정하는 가운데 팀워크 형성과 유지 과정의 어려움을 알게 되면서 팀원들 서로 간의 이해와 문제해결을 위한 절충안을 찾고, 팀원 간 협력을 통한 팀을 이끌어가는 능력을 함양하는 것이다. 또한, 참여자들로 구성된 팀원과 지역주민과도 팀원이 되어서 서로 상호 협력 속에서 지역사회 연계 간호교육 프로그램을 하면서, 간호사와 대상자 간 협력의 중요성을 깨달아가고 있었다.

“팀원들 각자 맡은 역할을 분담하여 노력하면 더 좋은 결과물이 나올 수 있을 텐데…… 정해진 시간에 제출하기로 했는데, 제출도 하지 않고, 답도 하지 않는 팀원들도 있고…… 최선을 다해 노력해 주지 않는 팀원들의 태도를 보고 있으면 힘이 빠지곤 하였어요… 열심히 하고자 했는데, 팀원들이 내 맘 같지가 않았어요…….” (참여자 13)

“팀 활동을 하던 중 의견이 달라 협력에 어려움이 있을 경우에는 협력을 원활하게 잘 진행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친구들이 도와주면서 협력을 강화하려고 노력을 했어요…. 서로 협력하기 위해 타인의 의견을 경청하고 적극적으로 수용을 하면서 협력에 어려운 일들을 극복해 나갔어요…….” (참여자 50)

‘팀원 간 협력이 팀 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는 원동력임을 알게 됨’은 참여자들이 지역사회 연계 간호교육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성공적으로 프로그램 수행하기 위해 팀원 간 서로 협력하면서 자신감과 용기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참여자들은 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적극적인 태도와 자신에게 숨겨진 역량을 찾을 수 있었다고 하였다. 나아가 참여자들은 미래의 전문직 간호사로서 자신감도 가지게 되었다고 하였다.

“저는 평소 낯을 많이 가려서 발표하는 것을 부끄러워하는 타입이라 팀원들에게 솔직하게 제 얘기를 했어요. 그랬더니 평소 발표를 잘하는 친구가 저에게 ‘그럴 수 있어! 그렇지만 너는 신뢰를 줄 수 있는 목소리를 가지고 있어. 분명히 잘 할 수 있을 거야. 내가 도와줄 테니 같이 해보자!.’라고 말하며 팀원들이 옆에서 도와주고 용기를 북돋아 주었어요. 팀원들의 칭찬과 격려 덕분에 자신감과 용기를 많이 얻을 수 있었어요.” (참여자 7)

● 주제 3. 지역사회 주민을 위한 간호전문가의 역할에 대한 인식이 증가함

‘지역사회 주민을 위한 간호전문가의 역할에 대한 인식이 증가함’은 ‘주도적 참여 경험을 통해 지역사회 간호교육 프로그램을 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함’과 ‘지역주민의 긍정적인 반응을 통해 지역사회 간호사 역할에 대한 인식이 높아짐’이었다.

‘주도적 참여 경험을 통해 지역사회 간호교육 프로그램을 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함’은 참여자들이 지역사회 연계 간호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지역주민의 호응에 용기를 얻고 지역주민과 함께하는 방법을 배우는 경험을 통해 지역사회 연계 간호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한 것을 의미한다. 참여자들은 지역사회 노인들이 단조로운 일상생활 속에 지역의 젊은 간호학생들이 찾아와서 그들이 가진 고민을 들어주고, 공감해 주는 것에 호응하고, 학생들을 응원해 주는 것을 통해 자신감을 가지면서 적극적인 태도로 변화되었다. 참여자들은 지역주민들을 대상으로 교육하면서 자신의 지식을 다른 사람과 나눌 수 있었던 보람찬 시간으로 인식하였고, 지역주민들과의 공감과 격려 속에서 소통하면서 지역주민과 함께 상생하는 방법을 배워가는 경험을 하였다.

“노인 연령층에서 좋아할 만한 노래를 선택하여 고혈압에 도움이 되는 율동을 생각했고, 어르신들이 따라 하려고 노력하는 모습을 보면서 뿌듯했어요. 교육이 끝나고 나서, 어르신들께서 ‘이런 교육 계속 오면 안 되나?’, ‘학생 목소리가 참 좋네.!’라는 칭찬과 격려의 말씀에 용기도 얻었고, 지역주민과 상호작용 속에서 의사소통술을 배우는 좋은 기회였어요. 기회가 된다면, 지역사회 전문가로서 지역주민들을 섬기는 간호사로서 역량을 발휘하고 싶어요.” (참여자 15)

‘지역주민의 긍정적인 반응을 통해 지역사회 간호사 역할에 대한 인식이 높아짐’은 참여자들이 지역사회 연계 간호교육 프로그램을 수행하면서 지역주민들이 처한 다양한 상황을 이해하게 되었고, 지역주민들의 상황에 맞는 교육활동을 계획하고 수행하면서 자신들이 제공한 간호교육 프로그램의 영향력을 인지하게 되었으며 지역주민들의 건강관리에 대한 책임감이 생기게 된 것을 의미한다. 지역주민들이 프로그램 이후 교육받은 내용을 반복해서 연습했다는 지역주민들의 반응과 교육받고 난 이후 자신의 건강관리와 관련한 행동이 달라졌다는 경험 이야기를 듣고 임상에서만 간호사가 다양한 역할수행을 하는 것으로 알고 있었는데, 이 프로그램을 통해 지역사회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들이 지역주민들에게 필요한 다양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아가고 있었다.

“당뇨 예방을 위한 웰빙 김밥 만들기를 어르신들과 함께 만들어보면서 저염 식이, 저지방 식이, 섬유소가 풍부한 식사를 집에서도 직접 할 수 있도록 교육해 주었어요. 어르신들께서 ‘이런 좋은 활동은 처음이라며 실생활에서 가장 유용하게 쓰일 수 있어서 정말 좋을 것 같다.’라는 말씀을 듣고 주민들과 함께 프로그램을 완성해 가는 과정에서 지역주민들의 건강을 지키는 파수꾼의 역할을 해야겠다고 생각했어요.” (참여자 32)

지역사회 연계 간호교육 프로그램에 활용한 전략

참여자들이 지역사회 연계 간호교육 프로그램에 활용한 전략은 2개의 주제와 4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주제는 ‘목표를 바라보고 나아가기’와 ‘팀원 및 지역사회 주민들과 차이를 함께 맞춰나가기’이었다. 참여자들은 간호교육을 제공하는 과정에서 성공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의사소통하면서 공동의 목표를 달성해 나가기 위해 지지하고 격려하였으며, 팀 구성원들 간의 차이점을 인식하고 서로 의견을 존중하며 배려하고 맞춰나가면서 성공적인 프로그램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 주제 1. 목표를 바라보고 나아가기

‘목표를 바라보고 나아가기’는 ‘공동의 목표 달성을 위해 상호지지하고 격려하기’와 ‘성공적 문제해결을 위해 원활하게 의사소통하기’이었다.

‘공동의 목표 달성을 위해 상호지지하고 격려하기’는 팀원들과 활동하면서 시행착오를 극복하여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것이다. 참여자들은 지역주민들과 프로그램을 시행하면서 첫 대면부터 서로 다가가지도 못하고 어색한 상황에서 교육을 시작하였으며, 이로 인하여 대상자들도 무덤덤한 반응을 보여 이론적으로 배운 것을 그대로 실행에 옮기지도 못하였고, 대상자의 건강 상태, 문해력 수준, 어떤 교육을 원하지 등 대상자 수준을 충분히 헤아리지 못하여 많은 시행착오를 겪었다. 교육활동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교육활동을 관망만 하던 소극적인 학생들이 적극적인 학생들을 보고 관망자에서 교육자의 역할에 참여하여 자신의 역할을 잘 수행하게 되었다. 참여자들은 간호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과정 중 시행착오를 겪으면서 문제를 해결하고 건설적 방향으로 발전해 나가기 위해 노력하고 있었다.

“처음에는 어르신들 중 절반이 따라 하지 않고 가만히 계셔서 당황했고, 나 또한 지역주민들에게 교육하는 것이 미숙하고 자신감이 없었어요. 적극적인 친구들이 따라 하지 않는 어르신에게 가서 ‘동작이 어려운가요?’ 또는 ‘다 같이 따라 해봐요.’ 하면서 분위기를 조성했어요. 친구들이 하는 것을 보고 집에서 혼자 연습하면서 교육을 수행하기 위해 노력했고, 연습 후 주민교육에 더욱 적극적으로 나서서 동기부여와 용기를 북돋우니 비로소 어르신들이 조금씩 따라 하게 되었어요. 주민들이 변화하는 모습을 보면서 내가 준비한 것이 물거품이 될 줄 알았던 것이 좋은 경험으로 전환되어 교육 수행에 대해 자신감이 생겼어요.” (참여자 34)

‘성공적 문제해결을 위해 원활하게 의사소통하기’는 팀원들 간 서로 피드백을 주고, 받으면서 역할을 분배하고 의견을 조정하고, 간호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면서 발생하는 문제해결을 위해 자유롭게 의견을 교환하는 것이다. 참여자들은 ‘성공적 문제해결을 위해 원활하게 의사소통하기’가 가능하도록 팀원들 간 역할분배에 있어 각자 잘 할 수 있는 역할에 대해 충분한 논의를 통해서 하고 있었다. 그리고 간호교육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하는 문제해결을 위해 팀원 간 자유롭게 의견을 개진하여 수정·보완해 나가고 있었다. 또한, 간호교육 프로그램에서 스스로 맡은 역할을 잘 수행하기 위하여 팀원들에게 피해를 주지 않으려고 힘쓰고 있었고, 원만한 팀워크를 위하여 개인적인 희생은 감내하였으며, 문제해결을 위하여 서로 피드백을 주고받으면서 퍼즐 조각을 맞추듯이 조합해 나가기 위해 노력하였다.

“저는 복학생이라 18학번 동생들 대부분이 초면이었고, 평소 낯가림도 많고, 수줍음도 많아서 …… 그러나 자주 만나면서 이야기도 나누고 ‘어떻게 하면 더 좋은 프로그램을 할 수 있을까?’ 고민해 보고 서로 의견도 맞춰보면서 큰 갈등 없이 간호교육 프로그램을 잘 수행할 수 있었던 것 같아요. 자유롭고 활발한 의사소통으로 좋은 아이디어를 말하고 토의를 할 분위기가 형성되어 누구라도 자신의 의견을 말을 할 수 있는 점이 좋았어요.” (참여자 3)

● 주제 2. 팀원/지역사회 주민들과 차이를 함께 맞춰나가기

‘팀원/지역사회 주민들과 차이를 함께 맞춰나가기’는 ‘팀 구성원의 의견을 존중하고 배려하기’와 ‘지역주민의 상황에 따라 대처하기’이었다.

‘팀 구성원의 의견을 존중하고 배려하기’는 지역사회 간호교육 프로그램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과정에서 팀원 간 과제수행을 위해서 서로 동기를 부여하고 용기를 북돋아 주고 지역주민들의 입장을 공감하고 경청하여 과제를 수행해 가는 것이다. 참여자들은 팀원 간에는 팀 과제 내용이 누락 된 부분이 없는지 서로 확인해주고, 어려운 부분을 이야기했을 때 도와가면서 그들의 관점에서 이해하려고 하였고 지역주민들과는 상생을 위하여 상부상조하고 있었다.

“매 주차 시간이 흐를 때마다 우리가 매주 힘들게 모여 준비했던 교육 자료들을 대상자분들 앞에서 발표할 때 지역주민들이 집중해서 우리의 이야기에 귀 기울여 주시고, 건강관리에 조금 무지하시거나 관심이 없으셨던 분들도 우리의 교육활동에 의욕을 가지고 참여하면서 처음에는 서툴렀지만, 함께 하면서 미지의 세계에서 앎의 세계로 한 발짝씩 다가가는 것을 알 수 있게 된 것 같아요.” (참여자 40)

‘지역주민의 상황에 따라 대처하기’는 지역주민이 처한 문제에 대해 상황에 따라 해결책을 구하고 지역주민에게 다가가기 위해서 그들의 수준에 맞추어 단계적으로 접근해 나가는 것이다. 참여자들은 간호교육 프로그램에서 팀원들뿐만 아니라 지역주민들과 함께 상호작용하는 교육활동을 처음으로 해보는 생경함을 경험하였다. 참여자들은 두려움과 걱정, 생경함을 극복하기 위하여 교육 후 팀원과 지역주민 간 프로그램에 대한 피드백을 주고받는 가운데 지역주민의 수준을 알아가면서 그들의 수준에 맞게 단계적으로 건강관리 활동에 도움을 주고 있었다.

“처음에 아동센터 갔을 때 아동들이 다가와 저에게 관심을 보이는데도 불구하고 내성적 성격으로 너무 부끄러워서 교육활동을 못 했어요. 교육 후 집에서 혼자 생각했을 때 준비했던 것을 많이 알려주지 못하고, 어리숙하고 미숙한 내 모습을 혼자 성찰해 보았어요. 두 번째 교육활동 시간에는 제가 먼저 아동들에게 다가가서 알려주고 편하게 해주었어요. 이로 인해 제가 가진 내성적인 성격이 조금씩 변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어요.” (참여자 29)

지역사회 연계 간호교육 프로그램 발전을 위한 전략

참여자에 의해 제안된 지역사회 연계 간호교육 프로그램 발전을 위한 전략은 1개의 주제와 2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주제는 ‘지속 가능한 학생참여형 지역연계 프로그램으로 정착시키기’이었다. 참여자들은 자신들의 활동 내용을 성찰하면서 앞으로 프로그램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어떻게 발전시키면 좋을지에 대한 방안으로 참가자들이 가진 강점들을 서로 공유하고 그에 따른 책임을 다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였다. 참여자들은 프로그램에서 부족한 점을 보완하고 장점을 강화하여 지속할 수 있는 학생참여형의 프로그램으로 정착시켜 나가면 좋겠다고 하였다.

● 주제 1. 지속 가능한 학생참여형 지역연계 프로그램으로 정착시키기

‘지속 가능한 학생참여형 지역연계 프로그램으로 정착시키기’는 ‘팀원의 역량을 활용하여 프로그램 다듬어 가기’와 ‘지속적인 학생참여형 간호교육 프로그램으로 발전시키기’이었다.

‘팀원의 역량을 활용하여 프로그램 다듬어 가기’는 프로그램 성공전략으로 팀원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다양한 관점을 수용하고 팀원의 장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면서 프로그램 결과에 대한 책임을 질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참여자들은 팀원들과 함께 지역사회 연계 간호교육 프로그램 과제를 완성해 가는 과정에서 서로 탐색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서로를 이해하고, 다양한 관점을 수용하여 팀원의 긍정적인 면을 활용하는 것이 팀의 목표 달성에 중요한 것으로 인식하였다. 지역주민들의 교육 참여를 높이기 위해서는 지역주민들의 요구와 수준에 맞는 다양한 전략을 마련하여 접근하고, 지역주민들뿐만 아니라 교육을 제공하는 참여자 모두 교육에 대한 책임감을 가지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지역주민에게 직접 교육을 하기 위하여 어떤 방법을 사용할 것인지에 대한 다양한 아이디어를 통합하여서 했기에 때문에, 좋은 시너지 효과를 얻을 수 있었어요.” (참여자 26)

“지역사회 연계 간호교육 프로그램 과제를 받고 꼼꼼한 계획을 세워 최소한의 시간과 비용을 사용해서 지역주민들이 최대한의 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해야겠다고 생각했어요. 저에게 부족한 감성 영역을 메꾸기 위해 유튜브를 통하여 감성 코칭 스킬을 배우고 바로 적용하려고 노력했어요.” (참여자 32)

‘지속적인 학생참여형 간호교육 프로그램으로 발전시키기’는 지역주민 맞춤형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학생참여형의 지속적인 간호교육 프로그램으로 만들어 일회성 프로그램 수준에 머물지 않고 학생참여형의 지역사회 프로그램으로 발전시켜 나가는 것이다. 참여자들은 지역주민들을 대상으로 3주라는 제한된 기간에 프로그램을 수행하였기 때문에 한정된 기간으로 제대로 마무리하지 못하고 끝내야 하는 아쉬움을 가지고 있었고, 3주 동안 시행했던 건강교육이 지속적으로 될 수 있었으면 하는 희망과 동시에 시간이 지나도 지역주민들이 한 번씩 건강교육 내용을 실천하고 있는지에 대해 궁금증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참여자들은 간호학생들의 단계별, 학년별로 지역주민과 함께하는 지속적인 프로그램으로 발전해 나가기를 희망하였다.

“지역혁신 경진대회 나가기 전 어르신들이 실질적으로 스스로 교육을 어떻게 하고 계시는지 인터뷰를 하러 갔어요. 어르신께서는 우리가 가르쳐 드리고, 보여드리고, 함께 참여한 교육들을 잊지 않고 있다는 그분들의 말만으로도 큰 보람을 느꼈어요. 그리고 이런 지역사회 간호교육 프로그램이 간호학생들에게 지속적으로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어요.” (참여자 10)

“지역주민 스스로의 건강 행동 변화를 만들어 주고 싶었는데 3주라는 간호교육 프로그램 시간이 너무 짧았어요. 그리고 우리가 교육을 나가지 않는 지금은 지역주민들이 교육 내용들을 잘 이행하고 있을지?, 이행하고 있어서 계속해서 지속될지에 관하여 의문이 들었어요.” (참여자 5)

논 의

본 연구 결과는 참여자들의 지역사회 연계 간호교육 프로그램 참여 경험으로 느낀 점과 배운 점, 활용전략, 발전전략의 3개 영역에서 총 6개의 주제와 12개의 범주, 26개의 하위범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대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자가 지역사회 연계 간호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느낀 점과 배운 점에서는 ‘간호사로서의 역할수행에 있어 전문적 역량의 중요성 인식함’, ‘간호 실무현장에서 리더십과 협력의 필요성을 인식함’, ‘지역사회 주민을 위한 간호전문가의 역할에 대한 인식이 증가함’의 3개 주제가 도출되었다. 간호사로서의 역할수행에 있어 전문적 역량의 중요성 인식함은 학생들이 지역주민과 함께 간호교육 프로그램을 이끌어가면서 건강문제에 대한 전문적 지식 이외에도 팀을 이끌고 나가는 리더십 기술, 타인과의 협력기술, 및 교육 기술 등 전문적 역량이 모두 필요함을 깨닫고 이들의 중요성을 인식한 것임을 나타내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선행연구에 따르면[16], 간호사의 과학적 지식과 숙련된 간호기술 및 사회적 인정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간호학생들은 현실적인 문제들을 지혜롭게 극복하고 긍정적인 간호전문직관을 가지게 되어 간호사로서 해야 할 역할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고 하였다. 즉, 지역사회간호사로서 활동하기 위해서는 전문적 역량이 중요함을 알 수 있다.

간호 실무현장에서 리더십과 협력의 필요성을 인식함은 전문적 역량은 부족했지만, 지역주민과 같이하는 팀 프로그램 참여로 간호전문가로서 다양한 구성원을 이끌고 효과적인 팀워크를 통해 성공적인 프로그램 운영이 가능하다는 것을 인식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지역사회 간호교육 프로그램에서 리더십과 협력의 필요성을 알게 되었다. 학생들은 본 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서로 팀워크를 유지하고 서로 자극하면서 배워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지역사회 연계 교육활동은 사회구성원으로서의 자질을 함양하는 데 도움을 주며, 문제해결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었는데[3], 본 연구에서 간호학생들도 경험과 시행착오, 성찰을 통해 간호전문가로서 성장해 나가는 경험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의 지역사회 연계 간호교육 프로그램은 간호학생으로서 처음으로 직접 사회참여를 통해 교육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지역사회 간호사 역할에 대하여 긍정적인 인식이 형성되었고, 이는 향후 간호전문가로서의 성장에도 이바지할 수 있는 중요한 요인이 될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

참여자들의 지역사회 주민을 위한 간호전문가의 역할에 대한 인식 증가는 지역사회 연계 간호교육 프로그램을 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경험하였고, 간호사로서의 지역주민을 도울 수 있다는 자신감이 생기면서 병원이 아닌 지역사회 간호사에 대한 가능성을 인식하는 계기가 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지역사회 연계 간호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참여자들이 지역사회 간호전문가의 역할에 대해 인식하고 알게 되면서 간호 전문직에 대한 역량과 지역주민을 위한 일차보건의료를 담당하는 간호전문가의 역할에 대한 꿈을 가지게 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특히 지역주민들의 건강문제와 관련해서 도울 수 있다는 자신감은 간호학생만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어 고무적이라 하겠다.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는 일차보건의료 서비스에서 지역사회 역할을 강화하고 지역주민이 참여하는 그 자체가 건강증진 활동이면서 지역사회 역량 강화의 원동력이라고 하였는데[5], 이러한 현실에서 임상실습 전 단계에 있는 간호학생들에게 지역사회 연계 간호교육 프로그램 경험은 일차보건의료를 담당하는 간호전문가로서 역할 경험을 제공한 것으로서 시의적절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외국의 대학들에서도 본 연구에서와같이 지역사회의 요구에 참여하고, 협력하고, 이에 대응하는 학습경험을 제공하고 있으므로[17] 간호학 또한 지역사회에 더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며, 지역사회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지역사회주민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건강한 지역사회 구현에 이바지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참여자가 지역사회 연계 간호교육 프로그램에 활용한 전략은 ‘목표를 바라보고 나아가기’와 ‘팀원 및 지역주민들과 격려하며 함께 맞춰나가기’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참여자들은 간호교육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공동의 목표 달성을 위하여 서로 일깨워 주면서 시행착오를 극복하여 문제를 해결해 나가고 있었다. 또한, 성공적인 문제해결을 위하여 자유롭게 의견을 교환하고, 역할분배를 어떻게 할지에 대해 의견조율의 중요성을 몸소 터득했음을 알 수 있다. 간호학생의 팀활동 경험은 간호학생들에게 효과적인 역할분배를 위한 노력과 의사소통의 중요성을 깨달아가는 경험이 된다[18]. 본 연구 결과에서도 참여자들은 지역주민들을 교육하는 과정에서 팀원들 간뿐만 아니라 지역주민들과도 공감하고 경청하면서 서로 동기부여하고 용기를 북돋아 주면서 지지하고 격려해 나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참여자들은 지역사회 연계 교육활동을 통해 적극적인 팀원들의 활동을 보면서 서로 자극을 하고 배우는 경험을 통해 자신의 부족한 부분을 극복하여 긍정적으로 변화시켜 나아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강의 위주의 교육에서는 얻을 수 없는 유용한 효과로서 지역사회 연계 간호교육 프로그램에서 팀 활동이 가지는 장점이라고 할 수 있다. 참여자들은 처음 경험하는 지역사회 연계 교육에서 두려움이 있었으나 교육 횟수를 거듭하면서 자신들의 부족한 부분을 보완해 나가면서 지역사회 주민들의 문제에 따라 해결책을 구하고 지역주민에게 먼저 다가가고 있었다. 교육 후에는 팀원 및 지역주민들과 서로 피드백을 주고받으면서 교육 자료를 보완하였고, 주민들의 수준과 상황에 맞추어 접근하여 대처해 나아갔다.

Basler [19]와 Connell 등[20]은 지역사회 연계 교육은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해야 하며, 지역사회 연계 교육에서 중요한 요소는 파트너십 구축이라고 하였다. 지역사회 연계 교육활동은 지역사회 기관이나 학교 밖 자원을 학교 교육과 연계해야 하며, 이는 학교 교육을 보다 다양화시킴으로써 학생들의 흥미와 관심, 역량에 맞는 교육을 실행하는 기초가 될 수 있다[21]. 그뿐만 아니라, 지역사회 연계 교육활동은 팀워크와 공동체 의식에 대한 자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22,23]. 최근 대학교육은 대학과 지역사회와 긴밀한 관계를 형성하여 상생 프로그램 운영을 통한 사회 환원에 책무감이 강조되고 있다[10]. 따라서, 간호교육도 지역사회와의 연계 활동을 통해 창의적 통찰을 통한 비판적 사고의 전환이 필요하다[24]. 이러한 시대적 상황에서 지역사회 연계 교육활동은 간호학생들에게 삶과 연결되는 배움의 기회를 제공하며, 그들이 속한 지역사회의 주체로서 성장해 나갈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참여자들에게 직접 지역사회 현장에 참여하는 경험과 성찰을 통해 지역주민들의 요구에 민감한 창의적인 간호 인재 양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한국간호교육평가원, 국제간호협회(International Council of Nurses, ICN), WHO, 질 향상 및 안전교육 기구(Quality and Safety Education for Nurses, QSEN), 미국간호대학협회(American Association of Colleges of Nursing, AACN), 미국간호연맹(National League for Nursing, NLN) 등 국내외 보건의료계 전문단체에서도 의료현장의 급격한 변화와 더불어 국민건강에 기여해야 할 간호의 사회적 책임을 인식하고, 미래 간호 핵심역량으로 지식과 기술 통합・적용, 의사소통, 협력, 전문직 표준/윤리적 법적 책임의식, 근거기반실무, 전문직관, 리더십 역량을 공통으로 제시하였다[25]. 본 연구에서의 참여자들은 지역사회 연계 간호교육 프로그램에서 지역사회 간호전문가로서의 책임에 대한 인식, 팀워크, 협력의 중요성, 리더십 등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나 본 지역사회 연계 간호교육 프로그램이 미래 간호에 대비한 핵심역량 개발에 기여하였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간호교육자들은 학습자들에게 지식 전달 위주의 강의실 교육을 넘어 협력을 통하여 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 통합적인 교육 경험을 제공해야 할 필요가 있다.

셋째, 참여자들은 지역사회 연계 간호교육 프로그램을 발전을 위한 전략으로 ‘지속 가능한 학생참여형 지역연계 프로그램으로 정착시키기’를 제안하였다. 이는 팀원의 역량을 활용하여 프로그램을 다듬어 나가면서 성공전략을 개발하고 지속적인 학생참여형 지역사회 간호교육 프로그램으로 발전시켜서 정착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일회성 교육보다는 지속적인 간호교육 프로그램으로 기획하여 운영된다면 간호학생들이 지역사회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여 전공에 대한 흥미를 고취 시킴으로써 자연스럽게 지역사회 건강문제와 지역사회 간호 활동에 대한 진로 설정에 이바지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또한,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상호작용을 통해 다양한 관점을 수용하고, 팀원들의 장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프로그램 결과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한다고 하였으며, 지역주민 맞춤형 프로그램의 구성과 학생참여형 지속적 간호교육 프로그램으로 구축할 필요가 있다.

AACN은[26] ‘실무현장과 산학연 파트너십’ 모델을 개발하고, 미래의 간호사들이 이를 실천하고 선도할 수 있도록 준비해서 국민의 건강을 증진 시킬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고 하였다. 한편, WHO [27]는 일차보건의료의 핵심 전략인 지역사회 참여가 일차보건의료 사업과 제대로 통합되지 못하고 있는 이유에 대해 보건프로그램 기획에 있어 지역사회를 의료중재 대상으로 보는 의학적 패러다임이 지배적이고, 지역사회참여 개념과 전략을 제한된 틀 안에서 인식하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이에 효율적인 지역사회 연계 간호교육 프로그램을 위한 전략으로는 정보제공–의견 참고–관여–협력-임파워먼트로 이어지는 단계모형인 임파워먼트(empowerment) 모형이 제시되고 있다[28]. 그러나 지역사회 보건 현장에서는 지역사회 정보 탐색, 제공, 의사 결정 시 의견 개진, 위원회 회원으로서 형식적 회의 참석 등의 형태에 국한되어 있는 실정이다[28]. 사회학과[9], 교육학과[2], 유아교육학과[10], 교양학부[12], 보건복지행정학과와 미술치료학과[13] 등에서 수행한 지역사회 연계 프로그램들도 지역사회가 임파워먼트 되기 전에 연속성 없이 일회성으로 끝나버려 지역사회와의 파트너십 구축 및 지역주민들의 건강수준 향상의 지속가능성 측면에서 한계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지역주민들의 요구를 충족시키고, 지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보건의료기관과 지역사회기관이 연계하여 운영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향후 간호교육 과정 운영에 주는 함의가 있다. 간호학 분야에서 지역사회 연계 간호교육 프로그램이 다양하지 않은 실정이나, 지역사회 보건 전문가로서 역할을 할 수 있는 간호인재 양성을 위해서 간호학에서도 주체적으로 지역사회 자원을 활용해서 장기적으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참여할 수 있는 모델을 개발하고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즉, 간호교육에서 보다 적극적으로 지역사회 연계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한다면, 간호학생들의 팀워크 증진뿐만 아니라 지역사회 및 지역주민과 상생하면서 발전해 나가면서 지역사회의 건강증진에 이바지하는 디딤돌이 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한 지역사회 연계 간호교육 프로그램이 간호학생들에게 전문 직업인으로서의 인식을 높이고 지역사회 간호교육 프로그램으로 나아가야 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학교와 지역사회의 파트너십 모델은 지역주민들이 양질의 의료서비스에 지속적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돕는 혁신적인 접근법이 될 수 있으며[39], 특히 교과목과 연계하여 운영하는 지역사회 연계 교육활동은 지역사회에 책임감을 느낌으로써 자발적인 참여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10]. 지역사회 연계 간호교육 프로그램은 이러한 장점이 있기 때문에 간호대학의 교육에서 적극적으로 도입해야 할 필요가 있으며, 성공적인 지역사회 연계 프로그램 운영 방법을 축적할 필요가 있다. 또한, 원활한 운영을 위하여 예산지원, 인력지원 등 체계적인 지원도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의 한계로는 단기간의 지역사회 연계 간호교육 프로그램으로 운영되어 교육학적 설계가 다소 미흡하고, 주 자료를 성찰일지로 수집ㆍ분석하여 참여자들의 깊이 있는 경험을 도출하지 못한 측면이 있다. 하지만, 본 연구는 간호교육학적으로 간호학생의 지역사회 연계 간호교육 프로그램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간호실무 측면에서는 지역사회 기관과의 연계된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간호연구 측면에서는 간호학생들의 긍정적인 경험을 확인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지역사회 연계 간호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 및 근거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향후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사회 연계 간호교육 프로그램을 더욱 체계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방안을 중점으로 논의할 필요가 있다.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를 통해 지역사회 연계 간호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했던 간호학생은 지역사회 간호전문가로서 전문적 지식과 기술 이외에도 팀을 이끌고 나가는 리더십 및 의사소통기술과 같은 필요한 전문적 역량의 중요함을 깨닫는 경험을 하였다. 또한, 이들은 본 프로그램에서 경험한 성취감이 동기가 되어 병원이 아닌 지역사회의 간호전문가의 역할에 대한 희망을 품게 되었다. 그뿐만 아니라 참여자들은 지역사회 연계 간호교육이 학생참여형 장기 지역사회 프로그램으로 발전되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제기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추후 연구에서는 간호 실무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지역사회 연계 간호교육 프로그램의 모듈을 개발하는 연구와 이러한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 교수, 지역주민들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하는 양적·질적 연구가 필요하다.

Notes

No potential conflict of interest relevant to this article was reported.

Funding

None

Acknowledgements

None

Supplementary materials

None

References

1. Lee WC, Choi JI. A study on the direction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universities linked to community.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2017;12(6):89–98.
2. Park SJ, Park JH, Jang EA. An analysis of community-linked project classes:focusing on online classes applying action learning.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021;21(10):949–966. https://doi.org/10.22251/jlcci.2021.21.10.949.
3. Baik KS. The effects of self-directed learning program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problem solving, and academic achievement for college students. The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 2011;32(1):77–95.
4. Leung RC, Sprague ML, Chu J, Hacker K, Brugge D, Pirie A, et al. Community-engaged pedagogy:A strengths-based approach to involving diverse stake holders in research partnerships. Progress in Community Health Partnerships 2015;6(6):481–490. https://doi.org/10.1353/cpr.2012.0057.
5. World Health Organization. The Bangkok charter for health promotion in a globalized world [Internet] Geneva: WHO; 2005. [cited 2021 January 20]. Available from: https://www.afro.who.int/publications/bangkok-charter-health-promotion-globalized-world.
6. Lee JH, Choi YJ, Volk RJ, Kim SY, Kim YS, Park HK, et al. Defining the concept of primary care in South Korea using a delphi method. International Family Medicine 2007;39(6):425–431.
7. Kim KA.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regional linked hospice-palliative care education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021;21(8):151–164. https://doi.org/10.22251/jlcci.2021.21.8.151.
8. Jakubec SL, Szabo J, Gleeson J, Currie G, Jakubec SL, Flessati S. Planting seeds of community-engaged pedagogy:Community health nursing practice in an intergenerational campus-community gardening program. Nurse Education in Practice 2021;51:102980. https://doi.org/10.1016/j.nepr.2021.102980.
9. Chung YK. Operation and performance of LINC+community programs:Focusing on ○○university capstone design course. Social Studies Education 2018;57(2):99–114. https://doi.org/10.37561/sse.2018.06.57.2.99.
10. Jo HY. Effect of community-linked major study program on learning ability,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problem-solving ability in S university.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021;21(5):463–473. https://doi.org/10.22251/jlcci.2021.21.5.463.
11. Lee JS. Design of science liberal arts education applied to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and the resultant change in learners'perception.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021;21(17):971–982. https://doi.org/10.22251/jlcci.2021.21.17.971.
12. Jeong MS. Mixed methods research on the effects of community problem solving education on university students. The Journal of Thinking Development 2019;15(3):31–54. https://doi.org/10.51636/jotd.2019.12.15.3.31.
13. Lee HJ, Kim JE. Effect of community mental health convergence practice class on recognition of community mental health concept and academic self-efficacy of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021;21(17):41–53. https://doi.org/10.22251/jlcci.2021.21.17.41.
14. Elo S, Kyngäs H. The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proces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8;62(1):107–115. https://doi.org/10.1111/j.1365-2648.2007.04569.x.
15. Guba EG, Lincoln YS. Effective evaluation:Improving the usefulness of evaluation results through responsive and naturalistic approaches San Francisco (CA): Jossey-Bass; 1981. p. 383–410.
16. Seong JA, Yeom EY, Do YS. Image of nurses and nursing professional values perceived by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4;14(11):798–809. http://doi.org/10.5392/JKCA.2014.14.11.798.
17. Rourke J. Social accountability:A framework for medical schools to improve the health of the populations they serve. Academic Medicine 2018;93(8):1120–1124. https://doi.org/10.1097/ACM.0000000000002239.
18. Min HY, Kim JY. Teamwork competency and team activity experiences in capstone design nursing research course.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20;21(1):705–716. https://doi.org/10.5762/KAIS.2020.21.1.705.
19. Basler TG. Community outreach partnerships. Reference Services Review 2005;33(1):31–37. https://doi.org/10.1108/00907320410519441.
20. Connell CM, Kole SL. Increasing community capacity to respond to dementing illnesses:Process evaluation of the community outreach education program. Journal of Applied Gerontology 1999;18(3):305–324. https://doi.org/10.1177/073346489901800303.
21. Lee JY. Career education linked to the community:toward learning and growth in connection with the context of life. Proceedings of the 2018 Korean Association for Learner -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and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Autumn Conference 2018;November 17;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nyang:Korean Association for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2018. :15–49.
22. Agard KA. Learning to give:Teaching philanthropy K–12. New directions for Philanthropic Fundraising 2002;36:37–54. https://doi.org/10.1002/pf.3603.
23. Olberding JC. Does student philanthropy work?A study of long-term effects of the “learning by giving”approach. Innovative Higher Education 2012;37:71–87. https://doi.org/10.1007/s10755-011-9189-5.
24. Robinson D, Williams T. Social capital and voluntary activity:Giving and sharing in Maori and non–Maori society. Social Policy Journal of New Zealand 2001;17:52–71.
25. Lee TH, Lee HK, Lee KH, Kim HS. Leading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focusing on nurturing future nursing talents Seoul: Korea Academy of Science and Technology; 2019. p. 22–30.
26. American Association of Colleges of Nursing. Guiding principles to academic-practice partnerships [Internet] Washington DC: American Association of Colleges of Nursing; 2012. [cited 2021 April 10]. Available from: https://www.aacnnursing.org/Academic-Practice-Partnerships/The-Guiding-Principles.
27. World Health Organization. Regional Office for Europe. Community participation in local health and sustainable development:Approaches and techniques [Internet]. Geneva:World Health Organization. Regional Office for Europe 2002. [cited 2022 April 20]. Available from: https://apps.who.int/iris/handle/10665/107341.
28. Yoo SH. Community participation for health promotion:Definitions and applications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Promotion 2012;29(4):57–66.
29. Akintade B, Idzik S, Gourley B, Montgomery KL, Indenbaum-Bates K, Novak K, et al. Academic-practice partnership in rural Maryland:Opportunities for advanced practice registered nurse training and employment. The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2021;51(4):227–231. https://doi.org/10.1097/NNA.0000000000001002.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Table 1

Participants’ Experience from the Community-Linked Nursing Education Program

Sub-categories Categories Theme
Participants’ impression and lesson from the community-linked nursing education programs
 Realizing the lack of theoretical knowledge Realized the importance of professional knowledge to solve health (nursing) problems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professional competence in performing the role of nurse
 Regretting the misunderstanding community residents’ need
 Expectations and excitement of applying what I am learned
 Pride gained from the experience of becoming a expert
Felt the pleasure of applying what I have learned in the field
 Insufficient teamwork different from my mind Felt the need for leadership to lead a various members of nursing practice Recognizing the need for leadership and cooperation in nursing practice
 Burden of leading the team
 Building a bond as colleagues between team members
 Building confidence to the fullest potential through teamwork
Learned that team cooperation is the driving force to run a team program
 Being encouraged by the response of community residents Confirming the possibility of doing community program through proactive participating experience Increased awareness of the role as a nursing professional for community residents
 Learning how to be with community residents
 Broadening awareness of community residents’ health Raised awareness of the role of community nurses from community residents’ positive responses
 Having responsibility for healthcare of community residents
 Broadening awareness of nurse’s role in community
 Participants’ strategies used in community-linked nursing education programs
 Solving problems by overcoming trial and error
 Building confidence to the fullest potential through teamwork
Supporting and encouraging each other to achieve a goal Looking at the goal and moving forward
 Coordination of opinions for role distribution
 Free communication of opinions for problem-solving
Communicating smoothly for successful problem-solving
 Empathizing and following others Respecting and considering the opinions of team members Aligning differences and working together with team/community members
 Motivating and encouraging each other
 Seeking solutions according to community residents’ problems
Coping with the situation of community residents
 Strategies for the advancement of community-linked nursing education programs suggested by participants
 Accepting different perspectives through interaction Refining the program using team members’ abilities Establishing a sustainable student-participating community-linked education program
 Taking full advantage of team members
 Taking responsibility for program outcomes
 Designing education program tailored to the community Developing a continuous student-participating community-linked education program
 Making continuous student-involved progr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