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Acad Soc Nurs Educ Search

CLOSE


J Korean Acad Soc Nurs Educ > Volume 20(1); 2014 > Article
Han and Seo: Contents Analysis of Health Textbooks for Elementary Schools

Abstract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the content of health-textbooks in elementary school in order to offer the basic data required for development or revision of health-textbook for elementary school. Methods: This study was methodological study of the content of health-textbooks. The study sample consisted of 10 health-textbooks of elementary school which were edited in 2009~2010. The components of contents divides into holistic analysis and specific areas. Results: One textbook was no introductory remarks and 2 textbooks were no preface. The health-textbooks consisted of 7 areas and were comprehensive for school education. The proportion of each was different in 10 textbooks. Sexuality and health was accounted for the largest portion of the seven areas in both the fifth and sixth grade. However, given that the mortality rate for the child's safety accidents is higher than in developed countries, the proportion of accident prevention and first aid can be relatively weak area. Conclusion: It is essential that health-textbooks empower schoolers to make healthy decisions through the promotion of useful life skills that provide a more integrated concept of health.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pproaches to health textbook to integrate more values of health.

서 론

연구의 필요성

보건교육은 학교보건에서 가장 중요한 업무이며, 학생에게 정확한 지식을 가르쳐주고 개개인의 건강에 대한 인식, 태도, 가치관을 변화시켜, 긍정적인 건강행위를 하도록 유도하고 그것을 유지 및 증진시켜준다(Kim & Wie, 1997). 또한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는 보건교육의 목적을 개인이나 지역사회가 그들 자신의 행동과 노력으로 건강해질 수 있도록 돕는데 있다고 하였다(WHO, 2013). 효율적인 학교보건교육을 이루기 위해서는 초, 중, 고등학교 보건교과가 마련되어 보건교사에 의해 정규적으로 교육이 수행되어야하며, 이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체계적인 보건교과와 국가기반 보건교육의 표준화가 필요하다(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 2013). CDC (2013)에서 제시한 8가지 보건교육 표준 내용은 학생들이 건강증진을 위한 질병예방에 관한 개념을 이해하고, 건강행위의 영향요인을 분석할 수 있으며, 건강증진을 위한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는 능력, 건강위험요소를 감소시키기 위한 의사소통기술, 의사결정 능력, 목표설정 기술, 건강생활실천 능력 및 개인, 가족과 지역사회 건강을 옹호할 수 있는 능력을 실천하는 것이다. 특히 초등학생의 경우 다른 연령층에 비해 태도나 실천행위가 확립되어 있지 않으며 학습동기가 강하고 보다 바람직한 방향으로 변화하려는 경향이 강하므로 학교에서 올바른 건강지식을 수립할 수 있도록 정규적으로 보건교육을 실시하는 것은 필수적이다(An, 2010; Kim, 2001).
우리나라 정규교육과정의 일환으로서 학교보건교육은 1951년 문교부가 ‘신체검사규칙’을 제정하여 학교보건사업을 시작하면서 미국의 영향을 받아 초등학교에 ‘보건’이라는 교과를 분리하여 지도하였다. 그러나 보건교육은 제6차 교육과정 개편 때까지 체육교과의 한 부분으로 여러 교과에 분산되어 실시되어 왔으며, 학교보건교육이 타 교과의 학습목적의 하위체계로 실시됨으로써 교육목표의 달성이 어려웠다(Yoo, 2000). 이는 보건교육이 교육과정에서 독립된 교과로서의 역할을 하지 못했다고 볼 수 있으며, 제7차 교육과정 개편이후 부분적으로나마 재량활동을 이용한 보건교과교육이 실시되는 여건을 마련하게 되었다(Lee, 2009).
이후 2007년 11월 이후 학교보건법의 제정과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2008-148호를 통해 보건교과가 필수교과로 지정되었으며, 학교에서 모든 학생들을 대상으로 2009년 3월 1일부터 초등학교 5, 6학년, 중학교 1개 학년, 고등학교 1학년에서 연간 17시간 이상 보건교육을 전면적으로 실시하도록 하였다. 2009년 개정 교육과정에서 보건교육은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을 통해 교육하게 되었으며(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09-41호), 창의적 체험활동은 학생의 기초생활습관의 형성, 공동체 의식의 함양, 개성과 소질의 발현에 중점을 두며, 5학년과 6학년에서 운영되도록 편성되어있다(Ministry of Education, 2009).
교과서는 과목별로 시간운영 방향을 실질적으로 좌우하는 핵심요인으로 현재 학교에서 사용하고 있는 여러 가지 교육자료 가운데 가장 기본적 학습 자료이므로 교과서를 체계적이고 조직적으로 파악하여 학습지도에 활용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Lee, 2006). 즉 교과서는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자원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보건교육에서도 필수요소이다(Mohamman & Kumari, 2007; UNESCO, 2005). 특히 시대흐름을 반영하고, 정확한 정보를 전달하여 올바른 건강행위를 수행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는 점에서 보건교육은 매우 중요하며, 효과적인 보건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보건교과서의 내용이 중요하다.
우리나라 보건교과서는 초⋅ 중등교육법 제29조, 초⋅ 중등교육법시행령 제55조에 의하여 교육감 인정도서로 각 시⋅ 도별로 사용되고 있으며, 2009년부터 보건교과서를 본격적으로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보건교과가 독립적으로 운영된 것이 얼마 되지 않았으며 보건교과 개발이 최근 들어 활발히 이루어짐으로써 현 보건교과서에 대한 내용검토가 거의 이루어지지 못한 실정이다. 따라서 보건교육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현재 사용되고 있는 보건교과의 내용분석이 필요하다.
교재를 분석하는 준거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유형은 체제 면과 내용면의 구성요소로 구분되고, 체제면은 교재의 풀판이나, 주문, 가격, 저자, 품질, 광고 등의 요소가 포함되는 출판 및 관리 측면과 삽화, 표지, 제목, 편집유형, 판형, 활자, 제본, 개발과정, 사용 용어 등의 체제 측면으로 구분할 수 있다. 내용면은 수업에 관계된 요소들을 포함하는 수업 관계 측면과 내용 자체의 속성을 지칭하는 내용 측면으로 구분할 수 있다(Lee, 2006). 이에 본 연구는 보건교과서를 구성 체제와 내용으로 분석함으로써 추후 보건교과의 개발이나 개정에 있어 그 기초자료가 될 것이라 기대한다.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일선 초등학교에서 사용하고 있는 보건교과서의 구성체제와 내용을 분석하여 보건교사에게 교과서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학교 교육 현장에서 교수-학습 지도에 반영할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 앞으로의 교과서 개발이나 개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할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보건교과서의 구성 체제(전체적 체계, 단원별 체계)를 분석한다.
둘째, 초등학교 보건교과서의 내용(영역의 구성과 비중, 영역별 내용, 영역별 비중, 영역별 주요 내용의 수)을 분석한다.

연구 방법

연구 설계

본 연구는 초등학교 5, 6학년 보건교과서 10권을 대상으로 교과서의 구성 체제와 내용을 분석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연구 대상

본 연구의 대상은 2009년 이후 서울특별시와 부산광역시 교육감의 인증을 받은 초등학교 보건교과서 중 2011년 10월에 대구와 부산 초등학교에 근무하는 현직 보건교사가 사용하고 있는 초등학교 5, 6학년 보건교과서 10권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교재명은 <Table 1>과 같다.

자료 분석 방법

구성 체제분석은 교과서의 전체적 체제와 단원별 체제로 분석하였으며, 내용분석은 영역에서 다루어진 내용과 각 영역이 전체 교과서에서 차지하는 페이지 수를 기준으로 비중을 측정하였고, 주요 내용 수는 영역별에서 다루어진 내용의 수로 분석하였다. 이는 교과서 분석 준거에 대한 Lee (2006)의 연구에서 제시한 체제면에 대한 분석방법으로 7차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과학교과서를 분석한 연구(Jung & Yun, 2003)와 중학교 정보 1 교과서를 분석한 연구(Kang & Song, 2010) 등 다수의 국내 교과서 분석뿐 아니라 Pub Med와 Education Resources Information Center (ERIC)의 인터넷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건강관련 교과서를 대상으로 체계적 고찰을 수행한 Nomoto, Nonaka, Mizoue, Kobayashi와 Jimba (2011)의 연구에서 분석한 대상논문들에서도 공통적으로 사용된 방식으로, 내용분석 기법을 통해 교과서에 대한 총괄적인 정보와 이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내용분석 과정은 교과서의 수집, 분석 그리고 분석 자료의 비교 순으로 진행되었다.
<Table 1>

The Target Textbooks

Office of Education Name of textbook Publishing company Author Year
Seoul metropolis Health 5, 6 A Kang et al. 2009
Seoul metropolis Health of elementary school 5, 6 B Kim et al. 2009
Seoul metropolis Health of elementary school 5, 6 C Kim et al. 2009
Busan metropolitan Health for valuable me 5, 6 D Moon et al. 2009
Seoul metropolis Health in life 5, 6 E Woo et al. 2010

Publishing company A=Chong-ang; B=Deulsaem; C=Cheongjae; D=Mirae and culture; E=Dongwhasa

연구 결과

보건교과서의 구성 체제 분석

교과서의 전체적 체계는 <Table 2>와 같다. 전체 쪽 수, 겉표지 쪽수, 속표지, 책 구성의 소개, 머리말, 목차 순으로 살펴보았다. 전체 쪽수는 교과서별로 5학년 102~129, 6학년 100~138 페이지로 개발되었다. 전체 쪽수가 가장 많은 D 교과서의 경우 5학년 129쪽 6학년 138쪽으로 합하여 267쪽이었으며, 가장 적은 E 교과서의 경우 5학년, 6학년 모두 102쪽으로 합하여 204쪽이었다.
겉표지는 모두 1쪽으로 컬러이며, 겉표지에 이용된 그림과 사진은 모두 건강과 관련 있는 그림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속표지 또한 모두 1쪽으로 컬러이며 겉표지와 같거나 유사한 그림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책 구성의 소개는 B를 제외한 모든 교과서에 소개하고 있으며 A는 1쪽, C, D, E 교과서는 2쪽으로 구성되어 있다. 머리말은 B와 E에는 없었으며, A와 C에는 1쪽, D에는 2쪽으로 되어 있다. 목차는 모든 교과서에 2쪽으로 컬러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모두 7영역으로 된 단원과 하위 주제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분석 대상 교과서의 내용 전개구조는 <Table 3>과 같으며, 표에서 사용한 용어들은 각 교과서가 제시한 용어들을 대부분 차용하여 그대로 제시하였다. 교과서의 내용 전개 구조는 대영역 도입, 소영역 도입, 그리고 대영역 정리의 일련의 과정을 거친다. 다섯 종류의 교과서 중 B 교과서의 경우 대영역도입부분이 없었으며, 나머지 네 개의 교과서는 대영역 도입을 제시하였다. C 교과서의 경우 대영역 안내와 만화로 된 미리보기를 제시하였다. 모든 교과서의 소영역의 도입부분에서는 학습목표를 다루었으며, B 교과서의 경우 만화로 구성된 생각열기부분을 도입하여 다른 교과서와 차이를 보였다. 전개부분에서는 본문내용, 본문내용과 활동, 본문내용과 더 알아보기 또는 본문내용, 더 알아보기, 그리고 활동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마지막 정리단계에서는 한 개의 교과서를 제외한 네 개의 교과서에서 정리하기, 생각다지기로 다루었다. 대영역 정리에서 A, C, E의 경우 대영역 정리와 학습내용 점검을 다루었으나, B와 D교과서는 대단원정리 영역을 제외시켰다. 내용 전개에서 일련의 요소들을 모두 구성하고 있는 교과서는 C 교과서이다.
<Table2>

Holistic Analysis of the Target Textbooks

Publisher Grade Total pages Outer cover Title page Introductory remarks Preface Table of contents
No. of page color No. of page color yes No. of page
A 5th 124 1 + 1 + + 1 1page 2page
6th 136 1 + 1 + + 1 1page 2page
total 260
B 5th 110 1 + 1 + - - - 2page
6th 100 1 + 1 + - - - 2page
total 210
C 5th 108 1 + 1 + + 2 1page 2page
6th 122 1 + 1 + + 2 1page 2page
total 230
D 5th 129 1 + 1 + + 2 2page 2page
6th 138 1 + 1 + + 2 2page 2page
total 267
E 5th 102 1 + 1 + + 2 - 2page
6th 102 1 + 1 + + 2 - 2page
total 204

Publisher A=Chong-ang; B=Deulsaem; C=Cheongjae; D=Mirae and culture; E=Dongwhasa

+=included; -=non-included

<Table 3>

Contents Structure Analysis of the Target Textbooks

Publisher Domain Category Subcategory Summarize
Introduction Unfolding Arrangement
1 2 3 4 5 6 7 8 9 10 11 12
A + - + + - + + - + - + -
B - - + + - + - + - + - -
C + + + + - + - - + - + -
D + - + + - + + + + - - -
E + - - + + + + - - - + +

Publisher A=Chong-ang; B=Deulsaem; C=Cheongjae; D=Mirae and culture; E=Dongwhasa

1=Outline of contents; 2=Preview (comics); 3=Learning objectives; 4=Opening think (comics); 5=Learning questions;

6=Main content; 7=Activity; 8=Learning more; 9=Arrange; 10=Think of contents; 11=Summarize; 12=Checking of learning contents

+=included; -=non-included

보건교과서의 내용 분석

● 내용의 구성과 비중

보건교과서 영역의 비중은 1개 출판사(A)의 2개 교과서의 크기만 A4 사이즈이고, 나머지 4개 출판사의 교과서는 모두 4*6배반으로 글자의 크기나 자 간격 및 줄 간격에서 다소 차이가 있을 뿐 비중에 영향을 줄만큼 큰 차이가 없어, 내용분석을 한 선행연구들(Lee, 2003; Nomoto et al., 2011; Roh, Kim, Lee, & Cho, 2008)에서 비중 분석에 사용한 방법대로 각 영역이 차지하고 있는 쪽수의 비율을 살펴본 것이다(Table 4). 보건교과 영역별 쪽수는 5, 6학년 모두 ‘성과 건강’이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였으며, 전체 교과서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19.1 ~25.5%를 차지하였다. 반면 A와 B 교과서의 경우 ‘사고예방과 응급처치’가 5, 6학년을 합쳐서 전체 11.5%, 10.5%, 그리고 C 교과서의 경우 ‘정신건강’이 9.6%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D 교과서의 경우 ‘사회와 건강’이 4.9%로 다른 영역과 확연히 비중이 낮았다. 한편, E 교과서의 경우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한 ‘성과 건강’과 두 번째로 많은 비중을 차지한 ‘질병예방과 관리(건강)’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비율이 거의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교과는 모두 7개의 영역(일상생활과 건강영역, 질병예방과 관리영역, 약물 오⋅ 남용(흡연, 음주) 예방영역, 성과 건강영역, 정신건강 영역, 사회와 건강 영역, 사고예방과 응급처치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학년별로 7개의 영역에서 다룬 주제의 수를 분석한 것은 <Table 5>와 같다. 영역별 주제의 수를 보았을 때 ‘성과 건강’에 대한 주제의 수가 5학년 평균 5.6개, 6학년 평균 5개로 가장 많이 다루어졌으며 5학년의 경우 ‘일상생활과 건강’이 평균 4개로 많았고, 6학년의 경우 ‘질병예방과 관리영역’이 평균 3.4개로 다루어졌다. 반면 5학년과 6학년 모두에서 ‘사고예방과 응급처치’는 평균 2.6개로 주제의 수가 적었다. 교과서별로 주제의 수를 보았을 때 A 교과서의 경우 주제의 수가 가장 많았으며, 반면 D와 E 교과서의 경우 주제의 수가 적었다.
<Table 4>

Analysis of Specific Domain-portion of the Target Textbooks

Publisher Grade Chapter
DLH DPC DMAP SH MH SH* APFA
Number of Page (%)
A 5th 18 (14.5) 19 (15.3) 12 ( 9.7) 31 (25.0) 16 (12.9) 12 ( 9.7) 16 (12.9)
6th 26 (19.1) 12 ( 8.8) 16 (11.8) 34 (25.0) 26 (19.1) 8 ( 5.9) 14 (10.3)
Total 44 (16.9) 31 (11.9) 28 (10.8) 65 (25.0) 42 (16.2) 20 ( 7.7) 30 (11.5)
B 5th 16 (14.6) 20 (18.2) 12 (10.9) 24 (21.8) 12 (10.9) 12 (10.9) 10 ( 9.1)
6th 16 (16.0) 16 (16.0) 12 (12.0) 16 (16.0) 12 (12.0) 16 (16.0) 12 (12.0)
Total 32 (15.2) 36 (17.1) 24 (11.4) 40 (19.1) 24 (11.4) 32 (15.2) 22 (10.5)
C 5th 20 (18.5) 12 (11.1) 12 (11.1) 24 (22.2) 8 ( 7.4) 14 (13.0) 18 (16.7)
6th 18 (14.8) 14 (11.5) 20 (16.4) 22 (18.0) 14 (11.5) 20 (16.4) 14 (11.5)
Total 38 (16.5) 26 (11.3) 32 (13.9) 46 (20.0) 22 ( 9.6) 34 (14.8) 32 (13.9)
D 5th 22 (17.1) 16 (12.4) 18 (14.0) 36 (27.9) 16 (12.4) 5 ( 3.9) 16 (12.4)
6th 18 (13.0) 24 (17.4) 16 (11.6) 32 (23.2) 24 (17.4) 8 ( 5.8) 16 (11.6)
Total 40 (15.0) 40 (15.0) 34 (12.7) 68 (25.5) 40 (15.0) 13 ( 4.9) 32 (12.0)
E 5th 12 (11.8) 18 (17.7) 12 (11.8) 24 (23.5) 12 (11.8) 12 (11.8) 12 (11.8)
6th 12 (11.8) 18 (17.7) 12 (11.8) 24 (23.5) 12 (11.8) 12 (11.8) 12 (11.8)
Total 24 (11.8) 36 (17.7) 24 (11.8) 48 (23.5) 24 (11.8) 24 (11.8) 24 (11.8)

Publisher A=Chong-ang; B=Deulsaem; C=Cheongjae; D=Mirae and culture; E=Dongwhasa

Chapter DLH=Daily living and health; DPC=Disease prevention and control (health);

DMAP=Drug misuse and abuse (and smoking·drinking) prevention; SH=Sexuality and health; MH=Mental health;

SH*=Society and health; APFA=Accident prevention and first aid.

<Figure 1>

Graph of specific domain-portion of the target textbooks

DLH=Daily living and health; DPC=Disease prevention and control (health); DMAP=Drug misuse and abuse (and smoking·drinking) prevention; SH=Sexuality and health; MH=Mental health; SH*=Society and health; APFA=Accident prevention and first aid Publishing company A=Chong-ang; B=Deulsaem; C=Cheongjae; D=Mirae and culture; E=Dongwhasa
JKASNE_2014_v20n1_15_f001.jpg
<Table 5>

Number of Main Thema of the Target Textbooks

Grade Publisher DLH DPC DMAP SH MH SH* APFA
5th A 6 3 4 8 4 2 3
B 4 5 3 6 3 4 3
C 5 3 3 6 3 4 3
D 3 2 2 5 2 2 1
E 2 3 2 4 2 2 2
Total 20 16 14 28 13 13 13
Mean 4 3.2 2.8 5.6 2.6 2.6 2.6
6th A 4 4 3 8 4 3 4
B 4 4 3 4 3 4 3
C 4 3 4 5 3 4 3
D 2 3 2 4 3 2 1
E 2 3 2 4 2 2 2
Total 16 17 14 25 15 15 13
Mean 3.2 3.4 2.8 5 3 3 2.6

Publisher A=Chong-ang; B=Deulsaem; C=Cheongjae; D=Mirae and culture; E=Dongwhasa

Chapter DLH=Daily living and health; DPC=Disease prevention and control (health);

DMAP=Drug misuse and abuse (and smoking·drinking) prevention; SH=Sexuality and health; MH=Mental health;

SH*=Society and health; APFA=Accident prevention and first aid

● 영역별 구성내용과 비중

∙일상생활과 건강 영역
일상생활과 건강 영역에서 공통으로 다룬 주요내용들을 살펴보면, 5학년은 일상생활과 건강영역에서 건강, 건강한 생활습관이었으며, 6학년은 바른 자세 등을 포함한 생활습관,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다. 그에 반해 교과서별로 차이가 나는 내용들을 살펴보면, A 교과서는 다른 교과서와 달리 일상생활과 건강영역에서 사춘기와 관련된 내용을 다루었으며, C 교과서는 면역을 이 영역에서 다루었다(Table 6). 교과서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5학년과 6학년을 합하여 16.9%로 A 교과서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11.8%로 E 교과서가 가장 낮은 비중을 차지하였다(Table 4, Figure 1).
<Table 6>

Contents Analysis of the Target Textbooks

Publisher Grade DLH DPC DMAP SH MH SH* APFA
A 5 Health
Growth
Precious eyes
Hand-washing
Stomachache
Flu
Obesity
Healthy teeth
The proper use of drugs
Harmful tobacco
Cigarette smoke
Gender
Being an adult
Growth as a man
Growth as a woman
Valuable reproductive
Sexual violence
Keep my body
Prevention of sex trafficking
My mind
Different you and me
Open heart
Violence-free schools
Learn about hospital
Healthy family
Domestic violence
First aid
119 children Paramedics
Choke
Safety
6 Health conditions
Growth
True health
Straight neck syndrome
Scoliosis
Eat sweets
The bad habits
Immune system
Communicable disease
The proper use of drugs
Reject tobacco
Do not believe tobacco advertising
Unhealthy alcohol
Brother born
Etiquette for girlfriend/boyfriend
The right decisions about sexuality
Prevention of pornography & sexual violence
Prevention of prostitution
Prohibit sex discrimination
Make true friends
Game Addiction
Heart hurt
A warm classroom without school violence
Healthcare consumers
Environmental hormones
Sprained leg
CPR
To escape from disaster situations
B 5 Healthy you and me
Washing is good
Exercise for health
The right eating habits
Stomachache
Healthy teeth
Obesity
Flu
Healthy eyes
The proper use of drugs
Cigarette smoke
Unhealthy alcohol
Changing my body
Growth as a man
Growth as a woman
Changing my mind
Precious us
Precious sexuality
Find me
Heart hurt
Make friends
Healthy Family
Prevention of School violence
Learn about hospital
Comfortable environment
Bleeding in Knees
Difficult walking safe schools
6 Health examination
Regular life habits
Correct posture
Eat processed food
Immune system
Change lifestyle
Obesity prevention
Communicable disease
Drug abuse prevention
Harmful tobacco
Harmful alcohol
Etiquette for girlfriend/boyfriend
Gender equality
My birth process
Gender curiosity
Stress management
Make true friends
Game addiction
Various family
Violence-free schools
Right to health
Environmental hormones
Choke
CPR
Swim safely
C 5 Health
Health examination
Obesity and health
Healthy teeth
Hand washing
Healthy eyes
Flu
Abdominal pain
The proper use of drugs
Harmful tobacco
Second-hand smoking prevention
Physical & psychological changes of puberty
Reproductive system
Prevention of pornography
Prevention of sexual violence
Lovely me
Prevention of schools violence
Happy family
Our egalitarian
The use of health care facilities
School safety
Protectors
Accidents and first aid
Emergency situation & aid measures
Natural disasters and safety
6 Healthy life
Immune system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obesity
Food additives
Communicable disease
Prevention of lifestyle diseases
Scoliosis
Drug abuse
Smoking
Reject tobacco
Harmful alcohol
Precious life
The joy of the birth
Opposite gender personals
Prevention of sexual violence
Prevention of prostitution
Healthy expression of emotion
Prevention of mind disease
Prevention of internet addiction
Our egalitarian
Happy family without violence
Environmental hormones
Smart medical consumer
Injuries and first aid
CPR
Disaster and safety
D 5 Healthy my life
Body exploration
Bones and muscles
Stomachache, coughing
Health management
No harmful drugs
Guard me from smoking and drinking
Gender
It's your body puberty
The birth story keep my body
My mind various
Heart hurts
Go to the hospital Accident
First aid
6 I'm energetic
Amazing senses
Diseases of the nervous system and sense organs
Endocrine diseases
Infectious and non-infectious diseases
Harmful tobacco
Harmful alcohol
Learning of birth
The trouble of teen
The lure of cyber world
My choice
Precious body, healthy mind
Stress, Aha!
My fault, your fault
Departments in the hospital Fractures, burns, first aid at shock
CPR
E 5 Master of Health's me!
Growth
Correct posture
Healthy teeth
Healthy eyes
The proper use of drugs
Harmful tobacco
Secrets of puberty
Growth of male
Growth of women
Prevention of pornography
Game addiction
Stress management
Keep a healthy environment
One mind one family
Choke
I am safe keeper
6 I keep my health
Health habits
Hate obesity
Flu
Cigarette smoke
Alcohol is a drug too
Precious life
Prevention of sexual violence
Gender equality
Lovely me
The owner of emotions is me
Environmental hormones
Smart medical consumer
First aid
CPR

Publisher C=Cheongjae; D=Mirae and culture; E=Dongwhasa.

DLH=Daily living and health; DPC=Disease prevention and control (health); DMAP=Drug misuse and abuse (and smoking·drinking) prevention; SH=Sexuality and health;

MH=Mental health; SH*=Society and health; APFA=Accident prevention and first aid

CPR=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질병예방과 관리 영역
질병예방과 관리 영역에서 공통으로 다룬 내용들은 복통, 감기, 눈이라 할 수 있으며, 각 교과서별로 살펴보면 5학년의 경우에 A 교과서는 배탈, 복통, 감기, 충치, B 교과서는 복통, 치아우식, 비만, 감기, 눈 등을, C 교과서는 눈, 감기, 복통, D 교과서는 소화기 질병, 호흡기 질병, 순환기 질병, 근골격계 질병 등과 그에 대한 예방을, 그리고 E 교과서는 척추측만증, 충치, 눈을 다루었다. 6학년의 경우에 A 교과서는 생활습관, 알레르기, 눈, B 교과서는 면역, 알레르기, 비만, 전염병 등, C 교과서는 전염병, 생활습관, 척추측만증, D 교과서는 신경계 질환, 내분비계질병, 감염성/비감염성 질병 등, 그리고 E 교과서는 비만, 전염병, 감기, 손씻기를 다루었다. 또한 같은 주제의 내용을 다른 학년에 구성하여 척추측만증의 경우 D와 E 교과서는 5학년에서 다루었으나, C 교과서는 6학년에서 다루었다. D 교과서의 경우 다른 교과서에 없는 신경계 질환을 다루고 구성을 소화기, 호흡기, 순환기, 신경계, 내분비계 등으로 다른 교과서와는 차이를 보였다. 또한 B 교과서에서는 6학년 일상생활과 건강영역에서 다루었던 척추측만증에 대한 내용을, C, D, 및 E 교과서는 질병예방과 관리에서 다루었다(Table 6). 교과서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5학년과 6학년을 합하여 11.3%로 C 교과서가 가장 적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17.7%로 E 교과서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Table 4, Figure 1).
∙약물 오⋅ 남용 (흡연, 음주) 예방 영역
약물 오⋅ 남용(흡연, 음주) 예방영역에서 다루는 주요내용들은 5개의 교과서가 유사하였으며, 공통적인 내용은 약물, 흡연, 음주와 관련된 내용들이었다(Table 6). 음주와 관련된 내용에 있어서 B, D 교과서는 5학년부터 제시하였으며, 나머지 세 개의 교과서는 6학년 때 제시하였다. 각 교과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A 10.8%, B 11.4%, C 13.9%, D 12.7%, 그리고 E 11.8%이었다(Table 4, Figure 1).
∙성과 건강 영역
성과 건강영역에서 다루는 주요 내용들은 공통적으로 성의 모습, 사춘기, 성폭력 및 예방, 탄생과정, 건전한 이성교제, 양성평등, 성차별을 다루었다. A교과서와 C 교과서의 경우 성매매와 예방법을 제시하였으며, 음란물과 관련된 내용을 E 교과서는 5학년, A 교과서는 6학년에서 다루었다(Table 6). 다섯 개의 교과서 모두 성과 건강 영역에 가장 많은 비중을 두어 다루었다. 교과서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보면 A 25.0%, B 19.1%, C 20.0%, D 25.5%, E 23.5%를 차지하였으며, 주요내용의 수도 다른 영역에 비해 많았다(Table 4, Figure 1).
∙정신건강 영역
정신건강 영역에서 공통으로 다룬 주요 내용들은 5학년의 경우 자아존중감, 학교 폭력 및 예방, 그리고 집단 따돌림에 대해 다루었으며(E 교과서 제외), 6학년의 경우 대인관계, 게임중독, 스트레스, 정신건강에 대한 내용들이었다. 5학년의 경우 A와 B 교과서는 주된 내용이 유사한 반면, C 교과서의 경우 친구의 소중함과 집단따돌림에 대한 내용이 없으며, E 교과서의 경우 게임중독 및 예방, 스트레스 및 극복방법을 주된 내용으로 다른 교과서와 내용에 있어 차이가 있었다. 6학년의 경우 E 교과서는 자아존중감, 정신건강, 분노를 다스리는 방법으로 다른 교과서와는 다른 구성을 보였다(Table 6). 교과서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5학년과 6학년을 합하여 A 16.2%, B 11.4%, C 9.6%, D 15.0%, E 11.8%를 차지하여 A 교과서가 타 교과서에 비해 비중이 높았으며, 주요내용의 수는 E 교과서를 제외한 나머지 교과서에서는 큰 차이가 나지 않았다(Table 4, Figure 1).
∙사회와 건강 영역
사회와 건강 영역에서 다룬 공통적인 내용들은 가족, 가족폭력, 다문화 가족, 의료기관, 의료기관의 이용, 환경호르몬 등인데 반해, C 교과서의 경우 다른 네 개의 교과서가 성과 건강 영역에서 다룬 양성평등의 내용을 이 영역에서 다루었으며, B 교과서의 경우 다른 네 개의 교과서가 정신건강에서 다룬 학교폭력을 이 영역에서 다루었다(Table 6). 교과서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5학년과 6학년을 합하여 A 7.7%, B 15.24%, C 14.8%, D 4.9%, E 11.8%를 차지하여 D 교과서가 다른 교과서에 비해 이 영역의 비중이 낮았으며, B 교과서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Table 4, Figure 1).
∙사고예방과 응급처치 영역
사고예방과 응급처치 영역에서 공통적으로 다룬 내용들은 응급처치, 안전사고, 기도폐색, 심폐소생술 등이었으며, 차이점은 C 교과서에서는 다른 교과서에서 다루지 않은 자연재해나 화재발생 시 행동요령들을 다루었다는 것이다(Table 6). 교과서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5학년과 6학년을 합하여 A 11.5%, B 10.5%, C 13.9%, D 12.0%, E 11.8%를 차지하여, C 교과서가 교과서 중 비중이 높았다(Table 4, Figure 1).

논 의

본 연구는 일선 초등학교에서 사용하고 있는 보건교과서의 구성 체제와 내용을 분석하여 앞으로의 교과서 개발이나 개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먼저 분석 대상 교과서의 구성 체제 분석을 살펴보면, 분석에 사용된 다섯 종류의 교과서 중 1개의 교과서는 대영역 도입부분이 없었으며, 나머지 네 개의 교과서는 대영역 도입을 제시하였다. 대영역 정리에서 3개 교과서는 대영역 정리와 학습내용 점검을 다루었으나, 1개의 교과서는 대단원정리 영역을 제외시켰다. 내용 전개에서 일련의 요소들을 모두 구성하고 있는 교과서도 있었다. 교과서마다 색다른 차이를 만들기 위해 교과서 구성을 달리하는 것은 바람직하나, 학생들의 흥미유발을 위한 도입부의 전개나 그날의 학습내용을 정리하여 이해력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하는 단원 정리나 요약은 꼭 필요한 요소이므로, 이후 개정작업 시 2개 교과서는 이에 대한 검토가 반드시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보건교과서의 내용 분석 중 내용의 구성과 비중을 살펴보면, 보건교과 영역별 쪽수는 5, 6학년 모두 ‘성과 건강’이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였으며, 전체 교과서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19.1~25.5%를 차지하였다. 이는 보건교과서를 분석한 선행연구가 없어 직접적인 비교는 어려우나, 초등학교 교과과정 내에서 성과 건강영역이 초등학교 5학년에서만 다뤄지고 있다고 보고한 California Department of Education (2009)의 연구, ERIC의 인터넷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건강관련 교과서를 내용 분석한 논문들에 대한 체계적 고찰을 한 결과, 2000년 이후 논문들에서 주요 내용이 전반적인 건강정보라고 한 Nomoto 등(2011)의 연구와 국내 7차 초등학교 교과과정의 보건교육 관련내용을 분석한 결과, 지역사회보건 및 환경보건에 관한 내용이 전체 보건교육에서 가장 많은 시간을 차지했다고 보고한 Kim과 Kim의 연구(2003)와는 다소 차이가 있다. 이러한 차이가 문화적 차이에서 기인된 것인지, 전 학년에 걸쳐 다양한 교과목에서 이루어졌던 종래의 보건교육의 내용을 분석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와 다른 결과를 나타낸 것인지, 아니면 독립된 보건교과서를 바탕으로 보건교육을 계획함에 있어서 다른 교과목과의 차별화를 위해 의도된 것인지 확인이 필요하다.
앞서 다룬 내용의 구성과 비중과 마찬가지로 영역별 주제 수에서도 5개 교과서의 5학년과 6학년 모두에서 ‘성과 건강’에 대한 내용의 수가 가장 많았으며, ‘사고예방과 응급처치’ 및 ‘사회와 건강’에 관한 내용의 수가 적었다. 이는 한국과 일본의 보건교육에 관한 비교연구(Lee, 2003)에서 안전생활과 건강, 정신건강, 질병예방의 순으로 내용이 많았다고 한 결과와는 차이가 있다. 그러나 이 차이가 기존 연구(Kim & Kim, 2003; Kim & Park, 2001; Woo et al., 2012)에서 지적했던 것처럼 보건교육 내용이 일부주제에 편중되어 있고, 구체적인 내용이 부족하다고 결론내리기 보다는, 보건교육이 사춘기에 막 접어들었거나, 사춘기를 앞둔 초등학교 5, 6학년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이라는 결론이 더 바람직할 것이다. 반면에 우리나라 아동의 안전사고 사망률이 선진국에 비해 4~5배 높다(Kim, Choi, & Kim, 2009)는 것을 감안한다면 사고예방과 응급처치 영역의 비중은 상대적으로 취약하다고 할 수 있다. 이 역시 다른 교과에 중복된 내용이 많다는 지적(Woo et al., 2012)을 감안해 보건교과서에서의 비중이 줄어든 것인지 확인을 위한 반복연구가 필요하다. 만약 다른 교과를 포함해서도 안전과 응급처치에 대한 내용이 부족하다면, 현재 각종 재난과 안전사고 발생률 증가추세를 반영한 예방적 조치 차원에서도 추후 보건교과서에 사고예방과 응급처치 영역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며, 간단한 실습이 병행되도록 구성하여야 할 것이다.
끝으로 영역별 구성내용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는 독립교과로서 보건교과서를 분석한 선행연구가 없어 직접 비교가 불가능하나 보건교과서 개발을 위한 연구(Woo et al., 2012)나 여러 교과에서 운영되고 있던 보건교육을 분석한 선행연구(Kim & Kim, 2003; Kim & Park, 2001; Roh, Kim, Lee, & Cho, 2008)를 기반으로 논의하였다. 일상생활과 건강 영역에서 다루는 주요내용들은 각 교과서마다 차이가 있었으나, 5학년은 ‘건강’, ‘건강한 생활습관’이, 6학년의 경우는 바른 자세 등을 포함한 생활습관,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다루는 내용이 공통적이라 할 수 있다. 즉, 건강한 생활습관을 급성장기를 앞둔 사춘기직전 아동들에게 미리 학습시킴으로써, 건강과 건강생활에 대한 이해를 높여 실천을 유도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고 본다.
질병예방과 관리 영역의 공통적인 주요내용은 5학년은 복통, 감기, 눈으로 나타났으며, 6학년은 알레르기, 전염병, 비만으로 나타났다. 또한 같은 주제의 내용을 다른 학년에 구성하거나, 서로 다른 영역에서 같은 내용을 다루기도 하였으며, 특히, ‘일상생활과 건강’영역과 ‘질병예방과 관리’영역에서 내용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 즉, 영역별로 주요 내용을 일관성 있게 통합하고, 학년 설정에 있어서 재구성이 필요하다.
약물 오⋅ 남용(흡연, 음주) 예방영역에서 다루는 주요내용들은 5개의 교과서가 유사하였으며, 공통적인 내용은 약물, 흡연, 음주와 관련된 내용들이었으며, 각 교과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0.8~12.7%이었다. 이는 보건교과서가 개발되기 전 3~6학년을 대상으로 체육시간에 1~2시간씩 총 2.2%에 불과했던 지도내용(Kim & Kim, 2003)이 보건교과서의 개발로 보다 자세하게 다루어지고 있음을 나타낸 결과로 초기 건강습관이 성인기로 이행됨을 감안한다면 당연한 조치이다.
성과 건강영역에서는 공통적으로 성의 모습, 사춘기, 성폭력 및 예방, 탄생과정, 건전한 이성교제, 양성평등, 성차별을 다루었다. 보건교과서 개발 이전시기의 연구(Woo et al., 2012)를 살펴보면, 성폭력 예방의 경우 건강한 성, 이와 관련된 개념, 가치, 및 태도에 대한 선행교육이 없이 체육교과에서 다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현행 보건교과서는 이러한 문제를 조정한 결과로 건강한 성 개념 등을 포함하였다고 볼 수 있다.
정신건강 영역에서는 5학년의 경우 네 개의 교과서는 공통적으로 자아존중감, 학교 폭력 및 예방, 그리고 집단 따돌림에 대해 다루었으며, 나머지 한 개 교과서의 경우 게임중독 및 예방, 스트레스 및 극복방법을 주된 내용으로 다른 교과서와 내용에 있어 차이가 있었다. 6학년의 경우 대인관계, 게임중독, 스트레스, 정신건강에 대한 내용들이 공통적이었으며, 1개의 교과서만 자아존중감, 정신건강, 분노를 다스리는 방법으로 다른 교과서와는 다른 구성을 보였다. 이는 7차 교육과정의 초등학교 보건교육을 분석한 연구들에서 제시했던 문제인 스트레스에 관한 내용(Kim & Kim, 2003)을 보완하고, 신체적 영역에 치중되어 정신적, 사회적 영역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다고 했던 연구들(Kim & Park, 2001; Woo et al., 2012)의 결과를 반영한 것이라 사료된다. 그러나, 포괄적 정신건강 액션플랜 2013-2020 (WHO, 2013)에서 언급한 아동기와 청소년기에 발병하는 정신질환 등에 대한 국가적 차원의 노력들을 고려한다면, 정신건강 영역을 좀 더 포괄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어떤 내용들을 추가하여 다양하고 포괄적인 내용을 구성할 것인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사회와 건강 영역에서 다루는 내용들이 교과서마다 학년에 차이가 있었으나, 5, 6학년의 공통된 내용은 가족, 가족폭력, 다문화 가족, 의료기관, 의료기관의 이용, 환경호르몬 등이었다. 교과서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5학년과 6학년을 합하여 4.9 ~15.2%로 비중이 적은 편으로, 지난 20여 년간 미국, 캐나다, 유럽 등지에서 더 나은 사회를 만들기 위해 젊은 세대에게 시민으로써의 역량을 강화시키는 시민교육을 강화하고 있다(Education, Audiovisual and Culture Executive Agency, 2012; Sears & Hughes, 2006)는 것을 고려한다면, 사회와 건강 영역을 다른 교과목에서 다루는지 확인하여 내용구성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사고예방과 응급처치 영역에서는 각 교과서별로 내용을 다룬 학년에 차이는 있으나, 공통적으로 응급처치, 안전사고, 기도폐색, 심폐소생술 등에 대해 다루었으며, C 교과서의 경우 다른 교과서에서 다루지 않은 자연재해나 화재발생 시 행동요령들이 포함되어 있다. 교과서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5학년과 6학년을 합하여 10.5~13.9%로, 전체 교과목을 대상으로 안전보건교육이 초등학교 교과서 총 페이지 대비 약 10%였다고 보고한 Roh 등(2008)의 연구와 비교해 보면 큰 차이가 없는 결과이나, 보건교과서의 개발로 각 교과별 실험/실습과 관련된 주의 안전에 중점을 두었던 내용(Woo et al., 2012)에서 더 나아가 안전사고 전반에 걸친 내용들에 초점을 맞춘 결과로 볼 수 있다. 또한 최근 잦은 재해와 안전사고를 감안하여 C 교과서뿐 아니라 나머지 교과서에도 재해나 화재발생 시 행동요령을 포함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현행 초등학교 5, 6학년 보건교과서의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추후 보건교과서 개발이나 개정작업에서 체계적인 보건교과내용을 편성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2011년 10월에 대구와 부산의 초등학교에 재직 중인 보건교사가 사용하고 있는 보건교과서 총 5종류, 10권(5, 6학년 각1권)이었다. 본 연구 결과, 영역별 비중은 성과 건강 영역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은 출판사별로 다소 차이가 있었으며, 특히 내용에 있어서 같은 내용을 각 교과서마다 다른 영역에 배치하여 이에 대한 통일성이 필요하다. 최근 성범죄나 저출산 등의 문제가 증가됨을 감안한다면 성과 건강 영역의 비중이 사춘기를 앞두거나 막 들어선 아동에서 필요한 부분이나, 각종 스트레스 관련 건강문제나 자살, 안전사고로 인한 빈번한 사망사고나 예상치 못한 재해의 발생률 증가를 감안한다면 정신건강 및 사고예방 영역에 대한 비중 역시 고려해야 할 것이다. 이에 향후 보건교과서 개발이나 개정을 할 때는 아동의 발달단계에 맞는 교과내용의 확보와 더불어 사회적 요구나 상황에 적합한 내용인지 고려해야 함을 제언한다. 또한 초등학교 보건교과서의 내용에서 올바른 건강습관 실천을 향상시키기 위해 실습이 필요한 영역에 대해서도 고려해 볼 것을 제언한다. 이상으로 본 연구를 통해 초기 건강습관을 다지는 데 필수요소인 아동기 보건교과서에 대한 내용을 파악함으로써 향후 보건교과서 개정이나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References

An, H. S. The requirements analysis of health education in the primary school,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Buk: (2010.

California department of education. Health education content standards for california public schools, Kindergarten through grade twelve. from California Department of Education Web site: http://www.cde.ca.gov/be/st/ss/documents/healthstandmar08.pdf: (2009). Retrieved July 15, 2013.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National health education standards. from CDC Web site: http://www.cdc.gov/healthyyouth/sher/standards/: (2013). Retrieved July 19, 2013.

Education, Audiovisual and Culture Executive Agency. Citizenship Education in Europe. from EUROPA Web site: http://eacea.ec.europa.eu/education/eurydice/documents/thematic_reports/139EN.pdf: (2013). Retrieved July 19, 2013.

Jung, Y. O, Yun, S. J. Comparative analysis of high school science textbooks according to the 7th curriculum- With reference to chemical reg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003). 24(1):97-119.

Kang, O. H, Song, H. H. Analysis of informatics-1 textbook based on informatics curriculum for middle school revised in 2007. Journal of Korea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2010). 13(3):35-45.

Kim, E. Y. . The effects of health education on the basis of health education text book : the focus of health knowledge, health promotion behaviors, self-esteem and locus of control of high school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Gwang-Ju: (2001.

Kim, J. C. General studies and curriculum tentative plan development for the new health curriculum, from Policy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and Management Web site: http://www.prism.go.kr/homepage/origin/retrieveOriginList.do?cond_organ_id=1342000&leftMenuLevel=120: (2008). Retrieved April 25, 2013.

Kim, Y. B, Wie, C. H. A study on effectiveness of health education for children through health education program in short ter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1997). 14(1):11-21.

Kim, Y. H, Choi, E. S, Kim, Y. J. The research of child and youth safety status and countermeasures- For physical risk, Seoul: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2009.

Kim, Y. J, Kim, J. S. Analysis of the contents related to health education of the 7th education course for elementary schools.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2003). 16(2):71-84.

Kim, G. O, Park, Y. S. An analysis on the health education content suggested in the 7th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education.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hool Health Education, (2001). 2(2):39-55.

Lee, K. E. A research of change of organization in curriculum for subject in health under the influence of change of curriculum.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2009). 22(1):155-169.

Lee, S. O. Establishment of criteria for text analysis.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2006). 27(1):59-82.

Ministry of Education. 2009 The Manual of Education Organization and Operation. Ministry of Education; (2009.

Mohammad, R. F, Kumari, R. Effective use of textbooks: A neglected aspect of education in Pakistan. Journal of Education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2007). 3, 1-12.

Nomoto, M, Nonaka, D, Mizoue, T, Kobayashi, J, Jimba, MContent analysis of school textbooks on health topics: A systematic reviewBioScience Trends(20115(261-68
crossref
Roh, Y. M, Kim, K. Y, Lee, S. H, Cho, K. H. Investigation of education of safety and health for students through analysis of textbooks. Korean Industrial Hygiene Association Journal, (2008). 18(1):41-48.

Sears, A, Hughes, A. Citizenship: Education or Indoctrination? Citizenship Teaching and Learning, (2006). 2(1):3-17.

UNESCO. Textbook quality improvement programme: Support to basic education in Iraq. from the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Web site: http://unesdoc.unesco.org/images/0013/001394/139428e.pdf: (2005). March;Retrieved April 23, 2013.

WHO. Comprehensive mental health action plan 2013-2020. from WHO Web site: http://apps.who.int/gb/ebwha/pdf_files/WHA66/A66_R8-en.pdf: (2013). Retrieved July 13, 2013.

WHO. Health education. from WHO Web site: http://www.who.int/topics/health_education/en/: (2013). Retrieved June 23, 2013.

Woo, O. Y, Kim, D. Y, Kim, M. K, Kim, H. J, You, N. S, Kim, E. H, Song, A. J, Woo, Y. M, Kim, J. H. Elementary school health curriculum research, Seoul: Health and Education Forum; (2012.

Yoo, J. S. A study on health education hours and contents of the 6th grade primary school curriculum.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2000). 13(1):63-84.



ABOUT
BROWSE ARTICLES
FOR CONTRIBUTORS
Editorial Office
Department of Nursing,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1 Chungdae-ro, Seowon-gu, Cheongju-si, Chungcheongbuk-do, 28644, Korea
Tel: +82-43-249-1712    E-mail: spark2020@chungbuk.ac.kr                

Copyright © 2024 by The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