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rceived Confidence in Practice of Core Basic Nursing Skills of New Graduate Nurses

신규졸업간호사가 지각한 핵심기본간호술 수행 자신감

Article information

J Korean Acad Soc Nurs Educ. 2014;20(1):37-46
Lee, Ae-Young Sungshin University Woonjung Green Campus #C-722, 55 Dobong-ro 76ga-gil, Gangguk-gu, Seoul 142-732, Korea Tel: 82-2-920-7788 Fax: 82-2-920-2092 E-mail: aylee@sungshin.ac.kr
Received 2013 December 04; Revised 2014 January 02; Accepted 2014 January 28.

Abstract

Purpose: This study was to measure and identify the differences of perceived confidence in practice of core basic nursing skills performed by new graduate nurses in Korea. Methods: The tool used in this study was a questionnaire for measuring the confidence in 20 items of core basic nursing skills which was structured based on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tool. 231 new graduate nurs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liability of this questionnaire had Cronbach's α .918. Results: Subjects who experienced simulation education and standard patient education were 86.6% and 35.9%, respectively. Item enema intervention, tracheostomy care, and blood transfusion showed low practice confidence level. These item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on whether the subjects experienced simulation and clinical practicum or not. Conclusion: Developing and managing clinical education program under deep cooperation between practicum agency and clinical instructor are needed. Simulation practicum will complement insufficient core basic nursing skills between newly graduated nurses before they allocate at the clinical department.

서 론

연구의 필요성

최근 국내·외 간호교육현장에서는 졸업간호사들이 역량 있는 전문 간호인력으로서 간호수행을 할 수 있도록 임상수기 습득을 위한 새로운 학습전략들을 모색하고 있다(Bowles, 2000; Bremner, Aduddell, Bennett & Van Geest, 2006; Kim & Choi, 2008; Lasater, 2007). 국내 간호교육기관의 경우 2주기 인증평가에 대비하기 위해 기관의 교육과정, 교과목 설계와 운영에 대한 전반적인 개선을 실시하고 있다. 이는 학습성과와 간호역량을 평가하고 개선방안을 교육과정에 반영하는 것으로(Ko et al., 2013) 학생이 간호학과에 입학한 시점부터 졸업 후 2, 3년차 간호사가 될 때까지 성과기반 교육과정을 적용시켜 관리하는 지에 대한 평가를 의미한다. 특히 임상술기인 핵심기본간호술은 졸업시점에서 학생들의 임상수기 역량을 평가하는 것으로 간호교육 인증평가의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한국간호교육평가원(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KABON])에서는 간호학과 졸업생들의 이론과 임상실습 교육 시 핵심적 간호수행능력을 확인하고 이를 증진시키기 위해 핵심기본간호술 항목 프로토콜 및 평가채점표를 개발하였다(KABON, 2012). 이는 국내 간호학과의 신설과 증설에 다른 병원 실습지 부족, 실습현장의 지도와 감독의 질 저하, 열악한 실습 기자재 등의 문제로 졸업 간호사들의 기본간호수행 능력의 표준화가 필요했기 때문이다(Korean Nurses Association, 2013). 핵심기본간호술이란 간호사 직무수행 중 빈도와 중요도가 높은 간호술로써 간호사 양성 교육과정 중에 필수적으로 학습되고 성취되어야 할 20가지 항목들을 포함한다(KABON, 2012). 이는 간호학과 실습교육을 개선, 졸업간호사의 임상현장에서의 적응, 그리고 국내외 간호전문직에서 요구하는 간호사의 핵심역량을 보장하기 위함이다(Alexander & Runciman, 2003; KABON, 2011). 이러한 졸업간호사의 실무역량을 증진하는 학습전략의 일환으로 교육과정 중에서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시뮬레이션과 표준화환자를 활용한 실습교육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선행연구들에서 시뮬레이션 기반 수업은 간호학생의 임상수행능력과 자신감이 향상과 함께 문제해결능력을 증진시켰으며(Lasater, 2007; Lee & Han, 2011) 또한 실습 역량과 만족감을 높였다(Kang, Cho, Roh, Boo & Ahn, 2006).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졸업간호사 대상 예비교육에서도 임상실무 수기에 대한 지식과 자신감을 향상시키고 불안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Dearmon et al., 2013; Lee & Kim, 2011; Schlegel, Shaha, & Terhaar, 2009).

신규졸업간호사의 간호수행에 대한 자신감은 직접 및 간접간호 수행(Fesler-Birch, 2005) 및 조기 이직에 영향을 주고(Cowin, Craven. Johnson & Marsh, 2006), 신규간호사들은 간호현장의 기대와 책임감으로 인해 스트레스와 부족한 자신감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Carlson, Kotze & van Rooyen, 2005). 따라서 간호학생들에게 간호수행에 대한 자신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교육과정 내에서 핵심기본간호술 연마를 위한 교수학습전략의 적용과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특히 임상적 맥락을 고려한 실제적인 간호 상황에서의 핵심기본간호술 학습은 신규졸업간호사들에게 간호수행에 대한 자신감을 높여 임상현장에서의 적응력을 향상시킬 것으로 본다.

한국간호교육평가원이 간호교육기관의 인증평가 항목으로서 핵심기본간호술을 개발하고 통합실습교육 등으로 학습할 것을 규정한지 1년이 지났다. 그러나 현 시점의 상당수 신규졸업간호사들은 핵심기본간호술을 저학년의 교내 실습교과목을 통해 학습한 경우가 많고, 핵심기본간술 연마를 위한 학습방법이나 교수매체 또한 체계적이지 않고 학교마다 다양하게 적용하고 있다. 아직 교과과정을 통한 체계적 학습이 완전히 이루어진 시점은 아니지만, 신규간호사들을 대상으로 학부 교과과정동안 경험한 핵심기본간호술 학습의 형태와 수행 자신감을 조사하는 것은 핵심기본간호술 학습의 당위성을 뒷받침하는 기초 자료로써 의의가 있다. 특히 졸업 직후 신규 임용 시점에서 신규간호사들이 인지하는 취약한 핵심수기 항목을 찾아내는 것은 향후 학부교육 및 신규간호사 실무교육의 학습전략 수립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신규졸업간호사의 핵심기본간호술에 대한 수행 자신감 정도와 학습 형태에 따른 차이를 파악하여 향후 학부교육 및 신규졸업간호사를 위한 체계화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며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대상자의 핵심기본간호술 항목 별 수행 자신감 정도를 파악한다.

  • 핵심기본간호술 항목 별 학부에서 경험한 학습방법을 파악한다.

  •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핵심기본간호술 수행 자신감의 차이를 파악한다.

  • 경험한 핵심기본간호술의 학습방법과 형태에 따른 수행 자신감의 차이를 파악한다.

용어 정의

● 신규졸업간호사

신규졸업간호사란 간호대학에서 정규과정을 이수하고 졸업한 간호사로서 졸업 후 1년 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를 말한다(Cowin & Hengstberger-Sims, 2006; Reyes, Hadley & Davenport, 2013).

본 연구에서는 2013년도 2월에 3년제 또는 4년제 대학을 졸업하고 500병상 이상의 4개 종합병원에 최종합격한 후 실무 투입 전 신규예비교육(Orientation)에 참여한 간호사들을 말한다.

● 핵심기본간호술 수행 자신감

핵심기본간호술이란 간호사 직무수행 중 빈도와 중요도가 높은 간호술로써 간호사 양성을 위한 실습교육과정 중에 필수적으로 학습되고 성취되어야 할 20가지 기본 항목들을 말한다. 20가지 기본 항목에는 활력증후측정, 경구투약, 근육주사, 피하주사, 피내주사, 정맥 수액 주입, 수혈요법, 간헐적 위관영양, 단순도뇨, 유치도뇨, 배출관장, 수술 전 간호, 수술 후 간호, 입원관리, 격리실 출입 시 보호 장구 착용 및 폐기물 관리, 산소포화도 측정과 심전도 모니터, 비강 캐뉼라를 이용한 산소 요법, 기관내 흡인, 그리고 기본 심폐소생술 및 제세동기 관리를 포함한다(KABON, 2012). 수행 자신감이란 어떠한 일을 뜻대로 이루거나 수행할 수 있다고 스스로 믿는 정도를 의미한다(Park, 2007).

본 연구에서 핵심기본간호술 수행 자신감이란 한국간호교육평가원에서 제시한 20가지 핵심기본간호술을 수행할 수 있다고 스스로 지각하는 정도를 의미하며, 전문가 타당도 과정을 거친 5점 척도의 20문항을 자기기입식으로 평가한 점수를 의미한다.

연구 방법

연구 설계

본 연구는 신규 졸업간호사의 핵심기본간호술에 대한 수행 자신감을 파악하여 효과적인 교육 프로그램 마련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자가보고형 설문지를 이용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연구 대상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경기 지역에 위치한 500병상이상 4개 기관의 종합병원에 합격한 신규졸업간호사들을 편의표본 추출하여 조사하였다. 대상자들은 모두 2013년도에 대학을 졸업하고 의료기관에 최종 합격이 된 후 기관별로 신규예비교육을 받고 있는 간호사들이다. 최소 표본 수 확보를 위해 Cohen (1988)의 검정력 분석에 따라 ANOVA test에 필요한 연구대상자 수를 산출하였으며, 중간효과의 크기(d) 0.5, 검정력(1-β) 80%, 유의수준(α) 0.05일 경우 총 222명인 것을 바탕으로 대상자를 모집하였다.

연구 도구

본 연구의 핵심기본간호술 수행 자신감 측정을 위해 2012년 9월 한국간호교육평가원에서 개발한 핵심기본간호술 20가지 항목(KABON, 2012)을 5점 척도의 설문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핵심기본간호술을 지도하는 간호학 교수 4인, 대학병원 간호교육과장 1인의 총 5명으로 구성된 해당분야 전문가에게 설문 항목과 5점의 Likert 척도 변환사용에 관하여 자문을 받고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아주 자신 없다”에 1점, “아주 자신 있다” 에 5점을 부여하여 총 20점에서 100점까지의 점수 분포를 가진다. 이 설문지의 내용타당도지수(Content validity index, CVI)는 0.95이었으며 Eigen value 1.2를 기준으로 요인분석을 통하여 구성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누락된 문항은 없었다. 도구의 신뢰도 Chronbach's α는 .918이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성별, 나이, 대학학제, 평균학업성적)과 교육관련 특성(전공 만족도와 핵심기본간호술에 대한 실습병원의 지도 만족도, 임상실습 경험 만족도, 교내에서의 실습지도 만족도, 그리고 교수 매체 활용 여부) 10문항을 추가하여 최종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교육관련 특성인 학과 만족도, 실습병원의 지도 만족도, 임상실습 경험 만족도, 교내에서의 실습지도 만족도는 5점 척도로 측정하였으며, ‘아주 만족한다’와 ‘만족한다’는 만족, ‘보통이다’는 보통, 그리고 ‘불만족스럽다’, ‘아주 불만족스럽다’는 불만족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자료 수집 방법

본 연구는 H 대학교 기관윤리위원회에서 연구계획서에 대한 연구 승인(No:HY-13-02-09)을 받은 후 연구대상자의 동의하에 수행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3년 3월 18일부터 31일까지였다. 본 연구자는 4개 기관의 종합병원 간호부 책임자에게 연구에 관하여 사전 동의를 얻은 후 연구 대상자들이 합격한 기관에서 예비교육을 받는 날에 직접 방문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윤리적 고려를 위해 익명성보장과 연구목적 외에 사용하지 않을 것을 설명하고 서면화된 동의서를 받은 후 연구 참여자 스스로 구조화된 설문지에 기입하도록 하고 자료를 회수하였다. 탈락률 10.0%를 고려하여 246명을 설문 조사하였으며, 불충분한 응답 설문지 15개를 제외하고 최종 231명의 자료가 분석에 이용되었다.

자료 분석 방법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19.0(SPSS Inc, Chicago, IL, USA)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분석과 백분율을 이용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핵심기본간호술의 수행 자신감을 검증하고 학습방법과 형태에 따른 핵심기본간호술의 수행 자신감을 파악하기 위하여 t-test와 ANOVA test를 이용하였으며, 집단 간의 차이를 검증을 위해 Scheffe 사후검증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본 연구의 일반적 특성은 Table 1과 같다. 연구대상자의 평균연령은 22.84±2.22세로 23세 미만인 대상자가 143명(61.9%)이었다. 교육정도는 3년제 학제가 133명(57.6%)이었으며 4년제 학제가 98명(42.4%)이었다. 성적은 3.5이상 4.0미만이 140명(60.6%)으로 가장 많았다. “학부교육과정에서 시뮬레이터 활용 교육을 받았다”고 대답한 대상자는 200명(86.6%)이었으며 “표준화환자 활용 교육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경우가 83명(35.9%)이었다. 간호학 전공에 대한 만족도는 199명(86.1%)이 “상”으로 응답하였다. 핵심기본간호술 실습에 관한 만족도는 실습병원의 지도에 대해 127명(55.0%), 임상실습 경험에 대해 113명(48.9%), 그리고 교내의 실습지도에 대해 167명(72.3%)이 ‘상’으로 응답하였다.

Sample Characteristics (N=231)

핵심기본간호술 항목별 자신감과 학부에서 경험한 학습방법

연구대상자의 핵심기본간호술의 항목별 수행 자신감 정도는 Table 2와 같다. 활력징후가 4.42±0.55로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고, 경구투약(3.91±0.71), 수술 전 간호(3.87±0.78), 피하주사(3.81±0.89), 입원관리(3.76±0.84), 산소포화도 측정과 심전도 모니터(3.70±0.86), 수술 후 간호(3.60±0.82), 기본 심폐소생술 및 제세동기(3.60±0.89), 격리실 출입 시 보호 장구 착용 및 폐기물 관리(3.55±0.79), 비강 캐뉼라를 이용한 산소 요법(3.48±0.84), 간헐적 위관영양(3.48±0.85), 근육주사(3.43±0.77), 피내주사(3.43±0.82), 기관내 흡인(3.36±0.83), 단순도뇨(3.23 ±0.83), 정맥 수액 주입(3.13±0.82), 유치도뇨(3.10±0.86)의 순이었다. 배출관장(2.95±0.88), 기관절개관 관리(2.94±0.81), 수혈요법(2.80±0.85)의 경우 자신감 정도는 보통 이하인 것으로 나타났다.

Confidence in Core Basic Nursing Skills and Frequency of Learning Methods (N=231)

핵심기본간호술 항목별 학부에서의 학습방법 조사결과, 임상실습의 빈도가 시뮬레이션 실습 빈도에 비해 높았던 핵심기본간호술은 활력징후(97.0%), 경구투약(61.9%), 피하주사(73.6%), 간헐적 위관영양(42.4%), 수술 전 간호(52.4%), 수술 후 간호(42.9%), 입원관리(58.0%), 격리실 출입 시 보호 장구 착용 및 폐기물 관리(58.0%), 산소포화도 측정과 심전도 모니터(75.3%), 그리고 비강 캐뉼라를 이용한 산소 요법(63.2%)이었다. 반면 근육주사(52.4%), 피내주사(42.9%), 수혈요법(22.9%), 단순도뇨(45.0%), 유치도뇨(44.2%), 배출관장(27.3%), 기관절개관 관리(31.2%), 그리고 기본 심폐소생술 및 제세동기(67.1%) 적용은 임상실습에 비해 시뮬레이션 실습의 빈도가 더 높았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핵심기본간호술에 대한 자신감의 차이

일반적 특성에 따른 수행 자신감 총합 점수간의 차이는 Table 3과 같다.

Differences of Confidence in Core Basic Nursing Skills by Subject Characteristics (N=231)

일반적 특성 변수들 중 전공 만족도, 실습병원에서 핵심기본간호술 지도 만족도, 임상실습 만족도, 그리고 교내 실습의 만족도에서 ‘하’라고 응답한 대상자는 0명이었다(Table 1 참조). 따라서 상기 변수들은 ‘상’과 ‘중/하’ 만족도 정도에 따른 핵심기본간호술에 대한 자신감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실습병원에서의 핵심기본간호술 지도에 대해 ‘상’으로 응답한 그룹의 자신감 총합이 70.92점(±10.03), ‘중/하’ 이라고 응답한 그룹의 자신감 총합이 68.02점(±10.43)으로 두 그룹 간에 유의한 차이(p=.034)를 나타내었다. 전공 만족도, 임상실습 만족도, 그리고 교내 실습의 ‘상’과 ‘중/하’ 만족도 정도에 따른 핵심기본간호술의 자신감 총합 점수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학습방법에 따른 핵심기본간호술 수행 자신감

육주사는 임상실습을 통해 경험한 경우에 자신감이 가장 높았고 경험하지 않은 경우 보다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t=2.34, p=.020). 피하주사는 시뮬레이션실습을 한 경우(t=2.93, p=.004)와 임상실습을 한 경우(t=3.12, p=.002), 수혈요법은 시뮬레이션실습을 한 경우(t=2.47, p=.014), 간헐적 위관영양은 임상실습을 한 경우(t=4.71, p<.001), 단순도뇨는 임상실습을 한 경우(t=2.22, p=.027), 유치도뇨는 시뮬레이션실습을 한 경우(t=2.44, p=.015), 배출관장은 시뮬레이션실습을 한 경우(t=2.83, p=.005)와 임상실습을 한 경우(t=2.62, p=.009)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수술 후 간호는 시뮬레이션실습을 한 경우(t=2.36, p=.019)와 임상실습을 한 경우(t=4.78, p<.001), 입원관리는 임상실습을 한 경우(t=4.14, p<.001), 격리실 출입 시 보호 장구 착용 및 폐기물 관리는 시뮬레이션실습을 한 경우(t=2.19, p=.029)와 임상실습을 한 경우(t=2.23, p=.027), 산소포화도 측정과 심전도 모니터는 시뮬레이션실습을 한 경우(t=3.04, p=.003)와 임상실습을 한 경우(t=3.25, p=.001)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비강 캐뉼라를 이용한 산소 요법은 시뮬레이션실습을 한 경우(t=3.08, p=.002)와 임상실습을 한 경우(t=4.34, p<.001), 기관내 흡입은 임상실습을 한 경우(t=3.41, p<.001), 기관절개관 관리는 시뮬레이터실습을 한 경우(t=3.14, p=.002), 그리고 기본 심폐소생술 및 제세동기는 임상실습을 한 경우(t=2.07, p=.043)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able 4).

Differences of Confidence in Core Basic Nursing Skills by Yes vs No for Simulation or Clinical Experience (N=231)

시뮬레이션·임상실습 학습 형태에 따른 핵심기본간호술 항목별 수행 자신감의 차이

핵심기본간호술 수행 자신감은 근육주사(p=.020), 피하주사(p<.001), 수혈요법(p=.032), 간헐적 위관영양(p<.001), 단순도뇨(p=.011), 유치도뇨(p=.008), 관장배출(p<.001), 수술 후 간호(p<.001), 입원관리(p<.001), 격리실 출입 시 보호 장구 착용 및 폐기물 관리(p=.011), 산소포화도 측정과 심전도 모니터(p<.001), 비강 캐뉼라를 이용한 산소 요법(p<.001), 기관내 흡입(p<.001), 그리고 기관절개관 관리(p=.014)에서 경험한 시뮬레이션·임상실습 학습 형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간헐적 위관영양, 수술 후 간호, 입원관리, 그리고 비강 캐뉼라는 해당항목에 대하여 시뮬레이션·임상실습 경험이 모두 없는 그룹에 유의하게 수행 자신감이 낮았다. 반면, 피하주사, 유치도뇨, 관장배출, 그리고 기관내 흡입은 해당항목에 대하여 시뮬레이션·임상실습 경험이 모두 있는 그룹에 유의하게 수행 자신감이 높았다. 수혈요법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사후검정에서는 집단 간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Table 5).

Differences of Confidence in Core Basic Nursing skills by the Types of Learning Experience (N=231)

논 의

본 연구는 신규졸업간호사를 대상으로 핵심기본간호술에 대한 수행 자신감을 파악하여 학부교육 및 신규졸업간호사를 위한 효율적이고 체계화된 실무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핵심기본간호술 세부 항목별로 수행 자신감을 파악한 결과, 5점 척도 중 4점 이상으로 자신감이 있다고 응답한 핵심기본간호술은 활력증후측정뿐이었으며, 경구투약, 수술 전 간호, 피하주사, 입원관리, 산소포화도 측정과 심전도 모니터, 수술 후 간호의 순으로 수행자신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신감 정도가 높았던 이러한 항목들에 대해 대상자들은 시뮬레이션 실습보다는 임상실습을 통해 학습했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았다. 이는 Cho와 Kwon (2007)이 간호학생의 임상실습 중 경험한 간호수행 조사 결과와 유사했다. 실습병원의 간호술기에 대한 임상실습 지도는 간호수행에 대한 자신감을 향상시킨다(Johns, 2003). 따라서 임상실습 시 수행하더라도 환자안전에 미치는 위험성이 좀 더 낮은 비침습적 항목들은 임상실습에서 학생들의 수행능력 자신감 향상을 위해 계속적으로 연마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반면, 대상자들이 수행 자신감이 없다고 응답한 항목은 배출관장, 기관절개관 관리, 그리고 수혈요법이었다. 핵심기본간호술 세부항목별로 수행 자신감을 측정한 선행연구가 없어 위 항목들에 관한 추후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그러나 배출관장, 기관절개관 관리, 그리고 수혈요법은 기본간호이며 모두 낮은 학생실습 빈도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임상실습 수행정도와 교육방법에 따라 수행 자신감에 차이가 나타남으로(Baxter & Norman, 2011; Dearmon et al., 2013; George et al., 2008) 위 항목에 대한 다각적이고 집중적인 교육이 지속적으로 필요하다고 본다. 특히 본 연구에서 위 항목들은 임상실습으로 경험했다고 응답한 비율이 배출관장 20.3%, 기관절개관 관리 23.8%, 그리고 수혈요법 13.9%에 불과했으며, 또한 시뮬레이션 실습을 통한 경험의 빈도도 낮았다. 대상자들은 시뮬레이션 실습 경험이 있는 경우 경험이 없는 경우보다 이 항목들에 대한 자신감이 높다고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임상실습이나 시뮬레이션 실습의 빈도가 많은 경우에서도 적은 경우보다 자신감이 높았다. 따라서 수행 자신감이 부족한 이들 항목에 대해 시뮬레이션 실습을 통한 술기 학습의 강화가 필요하다고 본다.

시뮬레이션 실습이나 임상실습을 통한 학습의 경험 유무에 따라 대상자들은 다른 핵심기본간호술 항목들에서도 자신감의 차이를 나타냈다. 간헐적 위관영양, 수술 후 간호, 입원관리의 경우 시뮬레이션 실습과 임상실습 모두 경험하지 않은 대상자들에서 수행 자신감이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반대로 피하주사, 유치도뇨, 관장배출, 그리고 기관내흡인의 경우 시뮬레이션 실습과 임상실습을 모두 경험한 경우에 유의하게 수행 자신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시뮬레이션실습이 졸업학생의 간호수행 자신감에 영향을 미치는 연구에서 임상현장과 유사한 환경에서 실습한 후 임상에서 간호를 수행할 때 불안감과 스트레스가 감소하고 환자와 동료와의 상호작용이 증가하며 더 나아가 임상수행능력과 자신감이 향상되었다는 보고 결과를 뒷받침한다(Dearmon et al., 2013; Kim & Choi, 2008). 선행 연구들에 따르면 체계화된 임상실습교육의 구성은 간호학생의 임상수행능력 자신감과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Kang et al., 2006; Lee, Lim, & Kim, 2011). 또한 임상수행항목에 따라 시뮬레이션과 임상실습을 통한 적절한 학습전략을 선택하는 것은 학생들에게 수행 자신감을 높일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Baxter & Norman, 2011; Dearmon et al., 2013; George et. al., 2008). 따라서 핵심기본간호술의 특성에 따라 임상실습 외에도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통합수기 실습의 강화를 통하여 수행능력의 향상을 도모해야 할 것으로 본다.

본 연구 대상자들의 86.6%와 35.9%가 핵심기본간호술에 대해 시뮬레이터와 표준화환자를 활용한 교육 경험이 있었다고 응답하였다. 이는 2주기 간호교육 인증평가를 대비하여 학부과정에서 핵심기본간호술의 질 관리를 위한 노력이 반영된 결과로 생각된다. 따라서 선행연구와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핵심기본간호술 수행 자신감 향상을 위해서는 실습기관과 병원 현장지도자들의 긴밀한 협조 하에 다양한 임상교육프로그램 개발과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Kang et al., 2006). 본 연구결과 핵심기본간호술에 대한 실습병원 지도의 만족도가 높은 군이 낮은 군보다 핵심기본간호술의 수행 자신감 총합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이는 핵심기본간호술이 이미 기본간호수행 항목으로 기본간호학 실습에서 이루어지고 있긴 하지만 임상실습현장에서의 실습경험과 지도가 중요함을 반증한다.

본 연구에서 임상실습 시 수행하더라도 환자안전에 미치는 위험성이 낮은 비침습적 항목들과 임상실습에서 직접 수행할 수 없는 위기상황에 해당하는 항목들(산소포화도 측정과 심전도 모니터, 기본 심폐소생술)은 환자에게 직접 수행해야 하는 단순 침습적 항목들(위관영양, 근육주사, 피내주사, 기관내 흡인, 단순도뇨, 정맥주사, 유치도뇨)보다 더 수행 자신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KABON이 시뮬레이션기반 학습이 필수라고 표현한 주요 항목들과 일치하며(Lim, 2011), 시뮬레이션 활용 교육경험이 86.6%이라고 응답한 연구 참여자의 특성을 고려할 때 다양한 교수방법을 적용하는 간호교육현장의 변화에 따른 학습성과의 결과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겠다. 특히 현 시점과 같이 환자안전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환자의 권리가 강조되고 있는 상황에서 단순 침습적 항목들에 해당하는 핵심기본간호술에 대한 효율적인 병원실습은 어려울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학부과정에서와 신규졸업간호사들이 임상에 배치되기 전, 단순 침습적 항목들에 대해 수행 자신감을 높일 수 있도록 임상실습과 유사한 실습환경 속에서 임상사례를 반영한 다양한 시나리오 개발을 통한 효과적인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실습을 병행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겠다. 그러나 임상실습에서 직접 수행할 수 없는 기본 심폐소생술의 수행자신감이 높게 나타난 것은 대한심폐소생협회에서 시행하는 BLS(Basic life support) provider 자격증 취득의 증가 때문일 것으로 생각되나 이에 관한 추후 연구가 필요하겠다.

한편 본 연구는 다음의 제한점이 있다. 첫째, 서울·경기 지역에 위치한 4개 종합병원에 채용된 신규졸업간호사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본 연구의 결과를 전국의 신규졸업간호사에게 일반화하는데 제한점이 있다. 둘째, 20가지의 핵심기본간호술 술기범위의 방대함 때문에 실제 수행력은 측정하지 못하였고, 신규졸업간호사가 지각한 수행 자신감은 5점 척도화하여 자가 보고에 의해 측정하였다. 따라서 향후 자신감 지각정도와 실제 수행력간의 관계를 밝힐 필요가 있으며, 수행력 측정을 위한 방안 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본다. 셋째, KABON에서 핵심기본간호술에 대한 프로토콜을 2011년에 개발하여 각 대학에 고지한 것이므로 본 연구 대상자들이 응답한 핵심기본간호술 수행 자신감은 프로토콜 절차 전체에 대한 자신감이 아니라는 점을 밝혀둔다.

이상의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졸업 후 핵심기본간호술에 대한 수행 자신감을 파악하였고 취약한 항목을 찾아 고찰함으로써 학부교육 및 신규졸업간호사를 위한 효율적이고 체계화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서울, 경기 소재 500병상 이상의 종합병원에 최종합격하여 예비교육을 받고 있는 231명의 신규졸업간호사를 대상으로 20가지 핵심기본간호술에 대한 수행 자신감을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통하여 파악하였다. 본 연구결과 배출관장, 기관절개 관리와 수혈요법의 핵심간호술에 대한 수행 자신감이 낮게 나타났으며 다른 항목에 비해 시뮬레이션이나 임상실습경험의 빈도가 낮았다. 또한 간헐적 위관영양, 수술 후 간호, 입원관리의 경우 시뮬레이션 실습과 임상실습 모두 경험하지 않은 대상자들에서 수행 자신감이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반대로 피하주사, 유치도뇨, 관장배출, 그리고 기관내흡인의 경우 시뮬레이션 실습과 임상실습을 모두 경험한 경우에 유의하게 수행 자신감이 높았다. 그리고 전체 핵심기본간호술 수행에 대한 자신감은 임상실습병원에서의 실습지도 만족도가 높을수록 더 높았다.

따라서 신규졸업간호사의 핵심기본간호술 수행 자신감 향상을 위해서는 실습기관과 병원 현장지도자들의 긴밀한 협조 하에 다양한 임상교육프로그램 개발과 관리가 필요하다. 위 항목들에 대한 핵심기본간호술 수행 자신감 저하를 보완하기 위해 임상에 배치하기 전 임상실습과 유사한 실습환경 속에서 다양한 임상사례를 반영한 시나리오를 통한 다각적이고 집중적으로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실습교육을 병행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겠다. 향후 객관적인 핵심기본간호술 수행력 수준을 측정하고 자신감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요인들을 확인하는 연구를 제언한다.

References

1. Alexander M, Runciman P. ICN framework of competencies for the generalist nurse: Report of the development, process, and consultation Geneva, Switzerland: International Council of Nurses; 2003;
2. Baxter P, Norman G. Self-assessment or self deception? A lack of association between nursing students’ self-assessment and performanc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11;67(11):2406–2413. 10.1111/j.1365-2648.2011.05658.x.
3. Carlson S, Kotz W., J, Van Rooyen D. Experience of final year nursing students in their preparedness to become registered nurses. Curationis 2005;28(4):65–73. 10.4102/curationis.v28i4.1024.
4. Cho M. H, Kwon I. S. Study on the clinical practice experiences on nursing activities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 Academy Society Nursing Education 2007;13(2):143–154.
5. Cohen J.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 Hillsdale, New Jersey: Lawrence Erlbaum 1988;
6. Cowin L. S, Craven R. G, Johnson M, Marsh H. W. A longitudinal study of student and experienced nurses' self-concept. Collegian 2006;13(3):25–31. 10.1016/S1322-7696(08)60529-6.
7. Cowin L. S, Hengstberger-Sims C. New graduate nurse self-concept and retention: A longitudinal surve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2006;43:59–70. 10.1016/S1322-7696(08)60529-6.
8. Dearmon V, Graves R. J, Hayden S, Mulekar M. S, Lawrence S. M, Jones L, et al. Effectiveness of simulation-based orientation of baccalaureate nursing students preparing for their first clinical experience.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2013;52(1):29–38. 10.3928/01484834-20121212-02.
9. Fesler-Birch D. M. Critical thinking and patient outcomes: A review. Nursing Outlook 2005;53(2):59–65. 10.1016/j.outlook.2004.11.005.
10. George J. T, Warriner D. A, Anthony J, Rozario K. S, Xavier S, Jude E. B, et al. Training tomorrow’s doctors in diabetes: Self-reported confidence levels, practice and perceived training needs of post-graduate trainee doctors in the UK, A multi-centre survey. BMC Medical Eduction from http://www.biomedcentral.com/1472-6920/8/22: 2008;August. 22. Retrieved November 9, 2013. 10.1186/1472-6920-8-22.
11. Johns C. Clinical supervision as a model for clinical leadership.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2003;11(1):25–34. 10.1046/j.1365-2834.2002.00288.x.
12. Kang Y. S, Cho H, Roh Y. S, Boo E. H, Ahn K. H. The effects of cooperative clinical nursing education program on the competency and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in clinical practice. Journal of Korea Academy Society Nursing Education 2006;12(1):13–20.
13. Kim J. Y, Choi E. Y. Learning element recogni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of nursing student receiving PBL with simulation education.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08;20(5):731–742.
14. Ko J. K, Jung M. S, Choi M. A, Park Y. I, Bang K. S, Kim J. A. Modeling of nursing competencies for competency-based curriculum development. Journal of Korea Academy Society Nursing Education 2013;19(1):87–96. 10.5977/jkasne.2013.19.1.87.
15.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Nursing core competency from the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Web site: http://www.kabon.or.kr/HyAdmin/upload/goodFile/120121127132143.pdf: 2011. retrieved July 17, 2013.
16.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Core basic nursing skill items from the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Web site: http://www.kabon.or.kr/HyAdmin/upload/goodFile/120120319112302.pdf: 2012. retrieved July 17, 2013.
17. Korean Nurses Association. Current status of educational institutions from the Korean Nurses Association Web site: http://www.koreanurse.or.kr:444/resources/nurse_edu.php: 2013.
18. Lasater K. High-fidelity simulation and the development of clinical judgment: Students' experiences.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2007;46(6):269–276.
19. Lee H. Y, Lim H. S, Kim M. Y. The clinical practice of newly graduated nurses who are resigned. Qualitative Research 2011;12(1):39–48.
20. Lee M. S, Han S. W. Effect of simulation-based practice on clinical performance and problem solving process fo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2011;17(2):226–234. 10.5977/JKASNE.2011.17.2.226.
21. Lee W. S, Kim M. O. Effects and adequacy of high-fidelity simulation-based training for obstetrical nursing.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2011;41(4):433–443. 10.4040/jkan.2011.41.4.433.
22. Lim K. C. Directions of simulation-based learning in nursing practice education: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Korea Academy Society Nursing Education 2011;17(2):246–256. 10.5977/JKASNE.2011.17.2.246.
23. Park Y. R. Knowledge and self-confidence of student nurses regarding nosocomical infection control. Journal of Korean Academy Fundamental Nursing 2007;14(4):429–436.
24. Reyes H, Hadley L, Davenport D. A comparative analysis of cultural competence in beginning and graduating nursing students. ISRN Nursing Article ID 929764, 5. Retrieved November 9, 2013 from: 2013;10.1155/2013/929764.
25. Schlegel C, Shaha M, Terhaar M. The value of standardized patients in nursing education. Journal of Nursing Science 2009;27(2):40–48.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Table 1>

Sample Characteristics (N=231)

Characteristics Category n(%) or Mean±SD
Age (yr) < 23 143(61.9)
≥ 23 88(38.1)
22.84±2.22
Gender Female 231(100.0)
Male 0(0.0)
Education College 133(57.6)
University 98(42.4)
Grade per average < 3.0 4(1.7)
3.0 - < 3.5 43(18.6)
3.5 - < 4.0 140(60.6)
≥ 4.0 44(19.0)
Experience of simulator education Yes 200(86.6)
No 31(13.4)
Experience of standardized patient education Yes 83(35.9)
No 148(64.1)
Satisfaction with nursing science High 199(86.1)
Moderate 32(13.9)
Low 0(0.0)
Satisfaction with hospital instruction High 127(55.0)
Moderate 140(45.0)
Low 0(0.0)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High 113(48.9)
Moderate 118(51.1)
Low 0(0.0)
Satisfaction with college instruction High 167(72.3)
Moderate 64(27.7)
Low 0(0.0)

<Table 2>

Confidence in Core Basic Nursing Skills and Frequency of Learning Methods (N=231)

Items Confidence in core basic skills Learning methods
Simulation lab Clinical practicum
Mean±SD n(%) n(%)
Vital signs 4.42±0.55 160(69.3) 224(97.0)
Oral medication 3.91±0.71 66(28.6) 143(61.9)
Preoperative Care 3.87±0.78 86(37.2) 121(52.4)
SQ injection 3.81±0.89 100(43.3) 170(73.6)
Admission management 3.76±0.84 58(25.1) 134(58.0)
Pulse oximeter & EKG monitor 3.70±0.86 123(53.2) 174(75.3)
Postoperative care 3.60±0.82 66(28.6) 99(42.9)
Basic life support 3.60±0.89 155(67.1) 36(15.6)
Isolation management 3.55±0.79 52(22.5) 134(58.0)
Nasal O2 inhalation 3.48±0.84 120(51.9) 146(63.2)
Intermittent L-tube feeding 3.48±0.85 76(32.9 98(42.4)
IM injection 3.43±0.77 121(52.4) 111(48.1)
Epidermal injection 3.43±0.82 99(42.9) 81(35.1)
Tracheal suction 3.36±0.83 105(45.5) 126(54.5)
Nelaton catheterization 3.23±0.83 104(45.0) 45(19.5)
IV infusion 3.13±0.82 137(59.3) 82(35.5)
Foley catheterization 3.10±0.86 102(44.2) 35(15.2)
Enema intervention 2.95±0.88 63(27.3) 47(20.3)
Tracheostomy care 2.94±0.81 72(31.2) 55(23.8)
Blood transfusion 2.80±0.85 53(22.9) 32(13.9)

SQ=Subcutaneous; IM=Intramuscular; IV=Intravenous

Multiple responses

<Table 3>

Differences of Confidence in Core Basic Nursing Skills by Subject Characteristics (N=231)

Characteristics Category Mean±SD t or F p
Age (yr) <23 69.58±10.13 -0.08 .930
≥23 69.70±10.60
Education (yr) College 69.53±10.18 -0.17 .862
University 69.77±10.48
Grade per average <3.5 71.71±12.08 1.24 .290
3.5-3.9 68.95±9.95
≥4.0 69.58±9.17
Experience of simulator education Yes 69.20±10.27 -1.57 .118
No 72.32±10.15
Experience of standardized patient education Yes 70.63±9.57 1.11 .265
No 69.05±10.67
Satisfaction with nursing science High 70.14±10.20 1.89 .059
Moderate 66.38±10.41
Satisfaction with hospital instruction High 70.92±10.03 2.13 .034
Moderate 68.02±10.43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High 70.58±10.36 1.36 .173
Moderate 68.72±10.18
Satisfaction with college instruction High 70.31±9.99 1.56 .105
Moderate 67.84±10.90

<Table 4>

Differences of Confidence in Core Basic Nursing Skills by Yes vs No for Simulation or Clinical Experience (N=231)

Items Yes/No Simulation lab Clinical practicum
Mean±SD t p Mean±SD t p
Vital signs Yes 4.38±0.54 -1.44 .150 4.42±0.54 1.34 .179
No 4.49±0.55 4.14±0.69
Oral medication Yes 3.98±0.71 0.90 .368 3.97±0.71 1.47 .141
No 3.89±0.71 3.83±0.71
IM injection Yes 3.51±0.72 1.51 .132 3.56±0.69 2.34 .020
No 3.35±0.82 3.32±0.83
SQ injection Yes 4.00±0.80 2.93 .004 3.91±0.87 3.12 .002
No 3.66±0.93 3.50±0.86
Epidermal injection Yes 3.52±0.77 1.41 .158 3.46±0.74 0.43 .665
No 3.37±0.85 3.40±0.86
Infusion Yes 3.18±0.86 1.19 .234 3.25±0.81 1.72 .086
No 3.05±0.76 3.06±0.83
Blood transfusion Yes 3.05±0.86 2.47 .014 2.90±1.02 0.72 .469
No 2.72±0.84 2.78±0.82
Intermittent L-tube feeding Yes 3.61±0.84 1.72 .086 3.77±0.84 4.71 <.001
No 3.41±0.85 3.26±0.79
Nelaton catheterization Yes 3.34±0.76 1.62 .105 3.48±0.81 2.22 .027
No 3.17±0.83 3.19±0.79
Foley catheterization Yes 3.25±0.80 2.44 .015 3.31±0.93 1.59 .112
No 2.97±0.89 3.06±0.85
Enema intervention Yes 3.22±0.79 2.83 .005 3.25±0.87 2.62 .009
No 2.85±0.89 2.88±0.87
Preoperative Care Yes 3.97±0.73 1.48 .140 3.96±0.77 1.82 .069
No 3.82±0.80 3.78±0.78
Postoperative Care Yes 3.80±0.76 2.36 .019 3.88±0.78 4.78 <.001
No 3.52±0.83 3.38±0.79
Admission management Yes 3.94±0.80 1.91 .057 3.95±0.82 4.14 <.001
No 3.70±0.84 3.50±0.80
Isolation management Yes 3.76±0.73 2.19 .029 3.65±0.78 2.23 .027
No 3.49±0.80 3.42±0.78
Pulse oximeter & EKG monitor Yes 3.86±0.76 3.04 .003 3.80±0.83 3.25 .001
No 3.51±0.93 3.38±0.86
Nasal O2 inhalation Yes 3.64±0.77 3.08 .002 3.66±0.79 4.34 <.001
No 3.30±0.89 3.17±0.84
Tracheal suction Yes 3.47±0.74 1.87 .062 3.53±0.81 3.41 .001
No 3.27±0.89 3.16±0.82
Tracheostomy care Yes 3.19±0.78 3.14 .002 3.03±0.85 0.91 .359
No 2.83±0.81 2.92±0.80
Basic life support Yes 3.60±0.90 -0.04 .967 3.86±0.79 2.07 .043
No 3.60±0.88 3.55±0.90

IM=Intramuscular; SQ=Subcutaneous; IV=Intravenous; EKG=electrocardiogram

<Table 5>

Differences of Confidence in Core Basic Nursing skills by the Types of Learning Experience (N=231)

Items No Experiencea Simulation or Clinical Practicumb Simulation & Clinical Practicumc F p Scheffe
Mean±SD Mean±SD Mean±SD
Vital signs 4.16±0.75 4.51±0.53 4.39±0.55 1.85 .158
Oral medication 3.80±0.69 3.93±0.73 4.05±0.67 1.46 .234
IM injection 3.21±0.87 3.49±0.75 3.57±0.66 3.99 .020 a<b=c
SQ injection 3.41±0.87 3.73±0.92 4.12±0.75 9.03 <.001 c>a, b
Epidermal injection 3.33±0.90 3.50±0.76 3.50±0.76 1.07 .342
Infusion 2.95±0.74 3.17±0.85 3.13±0.82 2.18 .114
Blood transfusion 2.70±0.80 3.03±0.91 2.90±0.99 3.49 .032
Intermittent L-tube feeding 3.19±0.76 3.59±0.87 3.90±0.77 10.87 <.001 a<b, c
Nelaton catheterization 3.10±0.88 3.27±0.76 3.70±0.73 4.55 .011 a<b=c
Foley catheterization 2.96±0.87 3.15±0.85 3.66±0.61 4.97 .008 c>a, b
Enema intervention 2.81±0.89 3.05±0.82 3.73±0.59 8.47 <.001 c>a, b
Preoperative Care 3.75±0.80 3.88±0.78 4.05±0.72 2.42 .091
Postoperative Care 3.31±0.75 3.83±0.86 3.87±0.67 13.02 <.001 a<b, c
Admission management 3.45±0.80 3.91±0.81 4.00±0.81 9.72 <.001 a<b, c
Isolation management 3.36±0.77 3.61±0.81 3.82±0.67 4.57 .011 a<b=c
Pulse oximeter & EKG monitor 3.26±0.89 3.61±0.89 3.93±0.74 8.92 <.001 a<b=c
Nasal O2 inhalation 3.02±0.88 3.45±0.82 3.78±0.73 13.19 <.001 a<b, c
Tracheal suction 3.10±0.90 3.32±0.81 3.69±0.71 7.55 .001 c>a, b
Tracheostomy care 2.81±0.79 3.04±0.81 3.35±0.78 4.37 .014 a<b=c
Basic life support 3.51±0.86 3.61±0.93 3.77±0.75 0.68 .503

IM=Intramuscular; SQ=Subcutaneous; IV=Intraveno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