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 론
연구의 필요성
연구 가설
제 1가설 :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대인관계 점수가 증가할 것이다.
제 1-1가설.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대인관계조화 점수가 증가할 것이다.
제 1-2가설.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대인관계능력 점수가 증가할 것이다.
제 2가설 :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갈등해결방식이 긍정적으로 변할 것이다.
제 2-1가설.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능동적 갈등완화 점수가 증가할 것이다.
제 2-2가설.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수동적 갈등완화 점수가 감소할 것이다.
제 2-3가설.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능동적 갈등격화 점수가 감소할 것이다.
제 2-4가설.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수동적 갈등격화 점수가 감소할 것이다.
제 3가설 :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대인관계 불안 점수가 감소할 것이다.
제 4가설 :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타액 코티졸 수준이 감소할 것이다.
연구 방법
연구 설계
연구 대상
연구 도구
● 대인관계
● 갈등해결방식
● 대인관계 불안
간호대학생을 위한 대인관계조화 프로그램 개발
● 프로그램 구성
<Table 1>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Harmony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 프로그램 적용
자료 수집 방법
연구 결과
대상자의 일반적, 대인관계 특성 및 사전 동질성 검증
대상자의 종속변수에 대한 사전 동질성 검증
<Table 2>
Homogeneity of Dependent Variables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N=58)
Variables |
Exp.* (n=29) |
Cont.** (n=29) |
t | p | |
---|---|---|---|---|---|
Mean±SD | Mean±SD | ||||
Interpersonal relationships | Interpersonal relationship harmony | 101.89±7.95 | 100.96±8.21 | 0.43 | .663 |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 83.65±8.19 | 87.68±8.70 | -1.81 | .075 | |
Conflict resolution methods | Active conflict mitigation | 14.37±4.64 | 16.55±3.96 | -1.91 | .060 |
Passive conflict mitigation | 30.10±5.96 | 28.86±6.27 | 0.77 | .443 | |
Active conflict intensification | 14.62±5.97 | 16.06±8.29 | -0.76 | .449 | |
Passive conflict intensification | 10.93±2.80 | 11.48±3.37 | -0.67 | .501 | |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xiety | 44.03±8.44 | 44.37±10.99 | -0.13 | .894 | |
Salivary cortisol level | 0.24±0.17 | 0.18±0.16 | 1.33 | .186 |
가설 검증
● 제 1가설
<Table 3>
Comparison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Conflict Resolution Methods,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xiety and Salivary Cortisol Level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Variables | Categories | Pretest | Posttest | t | p | |
---|---|---|---|---|---|---|
Mean±SD | Mean±SD | |||||
Interpersonal relationships | Interpersonal relationship harmony |
Exp.* (n=29) |
101.89±7.95 | 116.93±8.15 | 7.04 | <.001 |
Cont.** (n=29) |
100.96±8.21 | 102.34±7.60 | ||||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
Exp. (n=29) |
83.65±8.19 | 98.72±8.25 | 5.06 | <.001 | |
Cont. (n=29) |
87.68±8.70 | 87.24±9.00 | ||||
Conflict resolution methods | Active conflict mitigation |
Exp. (n=29) |
14.37±4.64 | 20.17±3.50 | 3.69 | .001 |
Cont. (n=29) |
16.55±3.96 | 16.79±3.45 | ||||
Passive conflict mitigation |
Exp. (n=29) |
30.10±5.96 | 28.82±7.10 | -0.14 | .884 | |
Cont. (n=29) |
28.86±6.27 | 29.06±5.25 | ||||
Active conflict intensification |
Exp. (n=29) |
14.62±5.97 | 11.31±5.92 | -2.51 | .015 | |
Cont. (n=29) |
16.06±8.29 | 15.86±7.71 | ||||
Passive conflict intensification |
Exp. (n=29) |
10.93±2.80 | 10.44±3.27 | -1.50 | .139 | |
Cont. (n=29) |
11.48±3.37 | 11.65±2.81 | ||||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xiety |
Exp. (n=29) |
44.03±8.44 | 38.79±6.45 | -2.75 | .008 | |
Cont. (n=29) |
44.37±10.99 | 45.41±11.21 | ||||
Salivary cortisol level |
Exp. (n=29) |
0.24±0.17 | 0.28±0.16 | -0.37 | .710 | |
Cont. (n=29) |
0.18±0.16 | 0.29±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