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 론
연구의 필요성
연구 방법
연구 설계
연구 대상의 선정 및 자료 수집 방법
문헌의 질 평가
자료 분석 방법
문헌에서 수집된 자료는 연구 설계, 대상자의 수, 표본크기, 대상자의 학년 및 성별, 연구도구, 연구결과, 진로준비행동 예측변수 등이며 수집된 자료는 Microsoft Excel을 활용해 실수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진로준비행동 관련요인은 사회인지 진로자기관리모델(Lent et al., 2013)을 응용하여 분류하였다. 사회인지 진로자기관리모델은 한 개인의 진로발달과정을 맥락적 변인, 성격특성 변인, 인지적 변인, 행동적 변인, 목표변인 사이의 통합적인 관계 속에서 설명하고 개인의 의도적 진로행동에 초점을 둔다(Lent et al., 2013). 본 연구에서는 저자합의를 통하여 추출된 진로준비행동 관련요인을 개인적 요인, 맥락적 요인, 인지 정서적 요인, 목표요인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개인적 요인은 사회인지 자기관리 모델에서는 성격특성 변인이나, 본 연구에서는 개인의 특성인 진로결정 유형, 셀프리더십, 회복탄력성을 개인적 요인으로 분류하였다. 맥락적 요인은 개인을 둘러싼 환경을 말하며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지지, 성역할 갈등, 취업스트레스가 맥락적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인지 정서적 요인은 진로 효능감(진로탐색 효능감, 진로결정 자기 효능감), 효능감(효능감, 학업적 효능감), 전공만족도, 임상실습만족도, 진로정체감, 간호 전문직관으로 분류하였다. 목표요인은 특정 활동에의 참여하거나 특정한 결과를 만들어 내겠다는 개인의 의도이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자가 진로가 결정되어 입학한 간호대학 학생들이다. 진로에 대한 확고함을 의미하는 진로결정수준과 국방의 의무에 관한 시기 및 방식을 준비하는 병역의무계획을 간호사가 되고자하는 목표요인으로 분류하였다.
메타분석은 R 3.6.2 프로그램으로 실시하였다. 관련요인의 전체 효과크기 및 요인 군별 효과크기는 사례 수가 2개 이상인 하위요인에 대한 상관계수 효과크기를 사용하였으며, 통계량 r값을 Fisher’s z 으로 변환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최종 산출된 효과크기의 해석은 Cohen (1988)의 기준에 따라 Effect size r (ESr)이 .10보다 작으면 ‘작은 효과’, .30 정도이면 ‘중간효과’, .50 이상이면 ‘큰 효과’로 판단하였고 95% 신뢰구간을 적용하여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이질성 검정: 효과크기의 통계적 이질성을 평가하기 위해 forest plot을 통해 시각적으로 살펴보고, Higgins와 Thompson (2002)의 기준에 따라 Q 값의 유의확률(p)가 .10이하이고 I2의 값이 75% 이상인 경우 이질성이 크다고 해석한다. 검정결과 병합된 문헌들이 동질한 경우 고정효과모형(fixed effect model)으로, 이질성이 있는 경우 랜덤효과모형(random effect model)으로 분석하였다.
조절효과 분석: 개별연구들의 효과크기가 이질적이라면 연구간 효과크기의 차이에 대한 탐색적 설명이 필요하며, 본 연구에서는 이질성의 원인규명을 위하여 조절변수(moderators)를 고려하여 평균효과크기에 대한 영향력과 하위집단간의 효과크기의 차이를 검증하는 조절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출판편의 분석: 출판편의는 전체 효과크기의 과대추정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메타분석 결과의 타당성 확보를 위하여 funnel plot, Egger’s regression test로 출판편의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 대상의 일반적 특성
Table 1
No. | Author(s) (year) | n | Male (%) | Variables related to career preparation behavior | Analysis methods |
---|---|---|---|---|---|
1 | Ahn (2019) | 158 | 100.0 | Military duty planning, Career decision making self efficacy | Multiple regression |
2 | Kim et al. (2018) | 174 | 11.5 | Self leadership, Nursing professionalism |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
3 | Han (2018) | 210 | 13.4 | Satisfaction in major, Nursing professionalism | Multiple regression |
4 | Sung (2018) | 320 | 8.1 | Job-seeking stress, Academic self-efficacy | Multiple regression |
5 | Chae & Jung (2018) | 527 | 100.0 | Satisfaction in major, Gender role conflicts | Multiple regression |
6 | Lee et al. (2018) | 115 | 5.2 |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in major, Career exploration efficacy | Multiple regression |
7 | Gong et al. (2018) | 162 | - | Satisfaction in major,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 Multiple regression |
8 | Jung & Chae (2017) | 527 | 100.0 | Satisfaction in major, Self-leadership | Multiple regression |
9 | Song & Lim (2017) | 205 | 9.8 | Satisfaction in major, Job stress | Multiple regression |
10 | Moon & Kim (2017) | 179 | 8.4 | Self-leadership, Career decision level | Multiple regression |
11 | Hwang & Bae (2017) | 240 | 17.1 | Personality type, Career decision making type | Multiple regression |
12 | Lee & Ahn (2017) | 400 | 31.0 | Nursing image, Psychological wellbeing, Career decision level | Multiple regression |
13 | Park & Kim (2016) | 184 | - | Academic self-efficacy, Resilience | Multiple regression |
14 | Chae & Jung (2016) | 454 | 12.8 |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with major | Multiple regression |
15 | Koo et al. (2017) | 418 | - | Self-esteem, Self efficacy, Social support, Outcome expectation, Career decision level | Path analysis |
16 | Jang & Moon (2016) | 400 | 8.2 | Nursing professionalism, Satisfaction in major Self-leadership | Multiple regression |
17 | Whang & Yoon (2014) | 137 | 18.2 | Career decision type, Self-leadership, | Multiple regression |
18 | Sung et al. (2019) | 388 | 10.6 | Nursing professionalism, Career identity | Multiple regression |
19 | Ko & Kim (2011) | 199 | 18.6 | Nursing professionalism |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
20 | Kim (2018) | 208 | 0.9 | Personality traits, Social support,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 Multiple regression |
21 | Park & Woo (2017) | 159 | 11.9 | Specialty satisfaction, Nursing professional valu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 Multiple regression |
22 | Kim (2019) | 219 | - |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 Multiple regression |
23 | Ahn (2019) | 165 | 100.0 | Satisfaction in major, Military service plan | Multiple regression |
24 | Bea (2019) | 227 | 17.6 | Personality development level, Self-readership |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
25 | Lee & Oh (2019) | 127 | 100.0 | Gender role conflicts, Professional nursing values | Multiple regression |
26 | Park et al. (2019) | 265 | 21.5 | Career identity, Career attitude maturity | Multiple regression |
27 | Moon (2019) | 263 | 11.0 | Self-leadership,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 Multiple regress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