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성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통합적 고찰

An Integrative Literature Review on Sex Education Programs for Korean College Students

Article information

J Korean Acad Soc Nurs Educ. 2020;26(1):78-96
1) Assistant Professor, School of Nursing, Clemson University USA
2) Doctoral Student, School of Nursing,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Greensboro USA
3) Doctoral Student, Department of Nursing,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Shin Hyewon1), Lee Jung Min2), Min Hye Young3)
1) 클램슨 대학 조교수
2) 노스캐롤라이나 간호대학 박사과정생 j_lee43@uncg.edu
3) 이화여자대학교 간호학과 박사과정생
Lee, Jung Min School of Nursing,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Greensboro Greensboro, North Carolina 27402, USA Tel: +1-336-865-1134 Fax: +1-336-334-3628 E-mail: j_lee43@uncg.edu
Received 2019 November 30; Revised 2020 January 19; Accepted 2020 January 21.

Trans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ynthesize the literature on the sex education programs for Korean college students and to provide a basis for developing effective sex education programs for this population.

Methods

Whittemore and Knafl’s integrative review method guided this review of studies conducted from 2000 to 2019. Articles were identified through three electronic databases and scholarly web sites. Fifteen articles met the inclusion criteria.

Results

Three studies were descriptive, and 12 described interventions. In most of the reviewed studies, sexual knowledge, sexual attitudes, and sexual autonomy improved after sex education interventions. Before providing sex education, the researchers assessed student’s needs for sex education and the various topics provided through sex education programs.

Conclusion

When developing sex education programs, we need to a) focus on practical sexual knowledge including contraceptive methods, b) provide repeated and continuous education of a sufficient duration, c) provide comprehensive sex education beyond biological sex, and d) use various teaching methods to allow participants to gain a better understanding. Additionally, sex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by experts such as nurses or trained educators to provide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education for young adults.

서 론

연구의 필요성

다양한 정보 매체의 발달 및 성(sex)과 섹슈얼리티(sexuality)에 관한 가치관과 문화의 개방성은 성에 대한 한국 대학생의 태도, 가치관, 행동을 변화시켰으며(Do & Seo, 2013; Yang, 2012), 그들의 성적 표현과 성적 행동은 과거에 비해 더 자유로워지고 활발해졌다(Do & Seo, 2013; Kim & Cho, 2016). 그러나 대학생들에게 제공되는 성교육은 이러한 변화에 부응하지 못하고 있어, 실제적으로 무책임한 성 행위로 인한 부정적인 건강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Sohn & Chun, 2015; Song & Chae, 2010). 이전 연구 결과에 따르면 대학생의 65.5 %가 성관계 경험이 있으며, 그중 37 %는 성병에 걸릴 위험이 있는 성행동을 한 적이 있고 (Kim & Lee, 2014), 17.7 %가 원치 않는 임신을 한 적이 있고, 임신 한 사람 중 낙태를 경험 한 사람은 88.5 %로 나타났다(Jo, Kim, & Son, 2014). 성 건강 문제를 예방하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전략 중 하나는 콘돔을 사용하는 것이며(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nvention [CDC], 2016), 비용 효율적이며 쉽게 접근 할 수 있는 피임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Farrington, Bell, & DiBacco, 2016). 하지만 Kim과 Cho의 연구 (2012)에 의하면 대학생 중 54.6%가 피임을 전혀 하지 않는다고 응답하였으며, 31.9%만이 항상 피임을 한다고 응답하였다. 즉, 개방적인 성 문화에 대한 노출로 인해 대학생의 혼전 성관계가 증가하고 낮은 피임도구의 사용으로 인해 원치 않는 임신과 낙태의 빈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성병 및 기타 성관련 감염에 대한 위험성이 높다(Sohn & Chun, 2015; Song & Chae, 2010)고 보고되고 있어 이들을 대상으로 한 성 문제의 예방과 성 건강관리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현재 정보의 홍수 속에서 살아가는 대학생에게 있어서 각종 매체에서 제공되는 성 관련 내용은 이들이 성에 대한 간접 경험을 할 기회를 확장 시키고 있지만, 대학생이 자신의 성행동에 대해 올바른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적절한 가치관을 수립하는 데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확실하지 않다(Jaung, Jung, & Kim, 2015). 따라서 현실적이면서 올바른 정보의 부족은 대학생이 책임 있는 성적 결정을 내리지 못하도록 만들 수도 있으며(Muhwezi et al., 2015), 이는 스스로 위험을 감수하는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다. 정보의 부족이나 잘못된 정보의 제공은 사람들로 하여금 옳고 그른 행동을 판단할 수 있는 능력을 저하시켜 부적절한 성 행동으로 이끌 수 있기 때문이다(Stanger-Hall & Hall, 2016). 따라서 대학생을 위한 체계적으로 계획된 성교육은 성 건강에 대한 책임감과 자신감을 동반하여, 성 관련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돕고 안전한 선택을 통해 올바른 성 행동을 하는데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Haruna et al., 2018).

더불어 성교육의 내용과 방법은 개인의 특성과 사회 문화적 배경 등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따라서 개인의 거주 지역, 자라온 환경, 인종 등 사회 문화적 배경에 따라 제공해야 하는 성교육의 내용과 방법은 다를 수 있다. 한국의 경우, 전통적인 유교 문화의 영향으로 인해 성에 관한 주제는 겉으로 드러내놓고 다루는 것이 아직까지는 자유롭지 못하다. 이로 인해 대학생들은 성과 관련된 필요한 정보를 얻는 데 한계가 있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한 체계적인 교육은 제공되고 있지 않다(Yeom & Kim, 2018). 비록 현행 중, 고등학교에서 연간 10시간의 성교육이 의무적으로 실시되고 있지만, 이와 관련된 선행 연구들에 따르면 중. 고등학교에서 제공되는 성교육은 효과가 적고 학생들이 필요로 하는 유용하고 실질적인 정보가 충분히 제공되고 있지 못함을 보여 주었다(Kim, Yeom, & Kim, 2018). 또한 대부분의 대학생이 성 관련 정보를 또래, 성인 잡지, 또는 인터넷을 통해 얻는다는 보고는(Hong & Hwang, 2013; Kim, Park, & Jung, 2015), 이들이 대학 입학 전·후에 체계적이고 실용적인 성 관련 정보를 접할 기회가 없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대학생들의 필요와 요구에 부합하는 보다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내용으로 성교육을 제공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정확한 성지식의 제공은 성과 관련된 다양한 성 건강문제를 예방하는데도 도움이 되는데, 이는 현재 대학생 자신의 성 건강뿐만 아니라 성인이후의 성생활과 결혼 생활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대학생에게 원치 않는 임신이나 성병과 같은 성관련 문제를 예방하고 적절히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면서 책임 있는 성 행동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그들에게 필요한 체계적이고 현실적인 교육내용과 방법을 개발하여 제공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교육을 통해, 대학생에 대한 성교육의 목표가 성과 관련된 올바른 지식, 태도, 신념, 기술을 발달시키도록 도와 건강하고 안전한 성 결정과정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임을 고려해볼 때, 대학생은 올바르고 정확한 성 지식과 바람직한 성 태도로 안전하고 책임 있는 성 행동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을 위한 성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강조하고, 현재까지 한국 대학생을 대상으로 이뤄진 성교육 프로그램에 관련된 국내·외 연구를 분석하고 평가하고자 한다. 더불어 관련 프로그램에 대한 특성 및 보완점을 파악하여 추후 한국 대학생을 위한 보다 실용적이고 구체적인 성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와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외에서 발표된 한국의 대학생을 위한 성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논문을 분석하고 평가함으로써 향후 대학생을 위한 실용적인 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성교육 중재 프로그램 연구와 간호실무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연구 방법

연구 설계

본 연구는 국내·외에서 한국의 대학생을 위한 성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논문을 통합적 고찰방법으로 분석한 문헌고찰 연구이다.

연구 절차

본 연구는 Whittemore와 Knafl (2005)가 제시한 통합적 고찰 지침에 따라 연구문제의 명료화, 문헌검색 및 선정, 자료 평가, 자료 분석 및 의미해석, 자료통합을 통한 속성 도출의 5단계로 시행하였다. 또한 논문의 질 평가는 Gough (2007)의 근거가중치(weight of evidence [WOE])를 이용하였는데, 이는 통합적 문헌고찰의 방법에서 철저하게 평가할 수 있는 방법으로 고려되기 때문이다. 통합적 문헌고찰(integrative literature review)은 관심 있는 주제에 관하여 문헌을 고찰, 평가하고, 이를 통해 주제에 대한 체계적이고 통합적인 결과를 제시하는 것이다(Whittemore & Knafl, 2005). 통합적 문헌고찰과 체계적 문헌고찰(systematic review)은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를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두 용어는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되기도 한다(LoBiondo-Wood & Haber, 2017). 본 연구에서는 문헌검색과 선택과정에서 체계적 문헌고찰의 방법인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PRISMA], Moher, Liberati, Tetzlaff, Altman, & The PRISMA Group, 2009)를 사용했으며, 검색한 논문들은 모두 엑셀 파일에 저장하여 후에 참고할 수 있도록 하였다.

● 연구 문제의 명료화

Whittemore와 Knafl (2005)이 제시한 통합적 고찰의 첫 단계는 연구문제를 명확히 하고 연구의 목적이 분명하게 나타나도록 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한국의 대학생을 위한 성교육 프로그램의 속성은 무엇이며 어떤 특성을 가지고 있는가?’이다. 이는 한국 대학생을 위한 성교육 프로그램의 속성과 특성을 확인함으로써 향후 대학생을 위한 실제적인 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성교육 중재 프로그램 연구와 간호실무의 발전 방향을 위한 과학적 근거를 제시하고자 함이다.

● 문헌 검색 및 선정

통합적 고찰의 두 번째 단계는 문헌 검색 과정으로 연구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과정과 문헌 검색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그 과정을 상세히 기술하였다. 온라인 연구 미팅을 통해 본 연구자 3인의 조정과정을 거친 후 다음과 같은 선정기준으로 최종분석의 준거를 마련하였다. 구체적인 선정기준과 제외기준은 다음과 같다. 문헌고찰에 포함된 논문의 선정기준은 1) 심사(peer-review)를 거쳐 국내·외 전문 학술지에 게재된 연구논문(research article), 2) 성인 진입기 연령에 해당하는 대상자 관련 연구, 3) 한국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성교육 프로그램과 관련된 연구이다. 문헌고찰의 제외 기준은 1) 연구 설계가 문헌 고찰인 연구, 2) 석/박사 학위 논문, 3) 편집자 편지 혹은 학술대회 논문이다.

문헌검색 및 분석은 2019년 6월 1일부터 30일까지 시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검색 논문의 출판년도는 2000년 1월 1일부터 2019년 6월 1일로 제한하여, 한국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성교육과 관련된 연구 논문을 검색하였다. 검색 데이터베이스는 국내의 경우 한국학술정보(Korean Studies Informtion Service System, K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국가과학기술정보센터(National Digital Science Library, NDSL), 한국의학논문데이터베이스(Korean Medical Article Database, KMbase)의 네 개의 검색엔진을 활용하였다. 검색에 사용된 주요 핵심 단어는 ‘학생이나 대학생’, ‘성교육’, ‘한국’으로 이를 조합하여 검색하였다. 국외의 경우에는 Cumulative Index of Nursing and Allied Health Literature (CINAHL), PubMED, PsycINFO의 세 개의 검색엔진을 사용하여 이루어졌으며, 주요 핵심 단어는 ‘sex*’, ‘education’, ‘college student or university student or student’을 조합하여 사용하였다.

그 결과, 국내에서 1,233편(KISS 356편, RISS 289편, NDSL 561편, KMbase 27편), 국외에서 4,446편(CINHAL 103편, PubMED 4,113편, PsycINFO 230편), 총 5,679편의 연구 논문이 검색되었으며, 이 중에서 중복된 자료를 제거와 논문의 제목과 초록을 검토하여 제외기준에 따라 총 50편이 선정되었다. 이중에서, 본 연구의 포함 혹은 제외 기준에 해당하는 논문을 원고를 읽어봄으로써 검토한 후 35편을 제외하였다. 이로써 연구 분석에 사용될 15편의 연구 논문을 최종적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체계적 문헌고찰인 메타분석 가이드라인([PRISMA], Moher et al., 2009)을 사용하여 본 연구의 문헌 검색 과정을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사용하였다(Figure 1).

Figure 1.

Flow diagram of the articles retrieved and selection process.

● 자료의 평가

세 번째 단계는 자료를 평가하는 단계이다. Whittemore와 Knafl (2005)에 따르면, 문헌을 평가하는 데 있어서 따로 정해진 규칙은 없으며, 수집된 연구의 구조에 따라 문헌고찰이 달라질 수 있다고 하였다. 따라서 문헌 고찰을 위해 선택한 연구들의 연구 설계가 비슷한 경우, 평가를 하는 데 더욱 용이할 수 있다고 하였다. 그러나 통합적 문헌고찰(integrative review)은 양적 연구, 질적 연구, 사례연구, 도구 개발 연구 등 다양한 연구 설계를 포함할 수 있으므로, 연구들은 방법론적 그리고 이론적인 두 가지 측면에서의 철저함(rigour)을 평가해야 한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2가지 요소를 충족하는 질 평가 방법인 Gough (2007)의 Weigh of Evidence (WOE)의 4 단계를 사용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선정된 연구 논문의 연구 목적, 연구 방법, 대상자 선정 및 근거, 결과 도출 등이 객관적으로 적합하게 서술되었는지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체계적인 문헌 통합(systematic synthesis)은 다른 종류의 근거들을 함께 들어 우리가 문헌고찰을 통해 무엇을 얻고자 하는지에 대해 명확히 답을 얻는 과정이다. 이러한 과정에는 질 평가와 관련된 근거를 사정하는 판단이 포함되어야 하는데, WOE는 이러한 모든 지식의 종류에 관련된 평가를 내리는 데 적용할 수 있다. 나아가 WOE를 사용한 질 평가는 연구자에게 관련된 평가에 대해 연구 질문, 선택한 근거들, 그리고 어떠한 결과를 받아들이고 사용할 것인지에 대해 명확하게 평가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Gough, 2007). WOE의 분석 기준은 세 등급으로, 상(high), 중(medium), 하(low)로 분류된다. WOE a는 연구 질문에 대한 근거의 일치성과 통합성을 평가함으로서 연구의 문맥과 근거에 초점을 두어 포괄적으로 평가하고, WOE b는 연구 질문이 연구 목적에 일치하는지 근거의 적절성에 대해 초점을 두어 판단하는 것으로, 해당 연구가 연구 목적에 적절한 연구 설계를 선택했는지를 평가하기 위함이다(Gough, 2007). WOE c 는 연구 질문에 대한 근거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 방법 혹은 연구 분석의 적합성과 관련성에 초점을 두어 평가하는 것으로, 해당 연구에서 제시된 대상자 선정 근거, 자료수집 과정, 연구 윤리, 자료 분석 과정의 항목을 포함하여 평가하였다. 마지막으로 WOE d는 WOE a, b, c를 고려하여 연구 질문에 대해서 각 연구들이 기여하는 정도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를 내리는 것이다. 따라서 WOE a, b, c에 근거하여 ‘상’으로 평가된 항목이 2가지 이상일 경우 WOE d가 ‘상’등급, ‘중’으로 평가된 항목이 2가지 이상이면 WOE d는 ‘중’등급으로 분류한다(Gough, 2007). Gough의 연구(2007)에서는 근거의 가중치와 관련하여 점수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제시되어 있지 않았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Gough (2007)의 질 평가를 바탕으로 각 단계의 점수 평가 기준을 구체적으로 제시한 Haßler, Major와 Hennessy (2016)의 연구를 참고하였다. Haßler 등(2016)의 연구에서 사용한 점수기준을 참고하여 연구자 간에 점수 일치 정도를 비교하였다.

● 자료 분석 및 의미해석

네 번째 단계에서는 질 평가를 통해 최종 선택된 자료를 통해 결과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도출된 의미를 종합하는 분석과정이다. 각 연구의 저자, 주제, 목적, 주요 변수, 결과, 논의 등으로 구성된 요약 테이블(Matrix)를 만들어 결과를 알아보기 쉽고 통합적인 결론을 내릴 수 있도록 하였다(Table 3, Table 4). 본 연구의 저자들이 서로 다른 나라에 거주하고 있어 모든 연구자들은 각각의 연구 논문을 독립적으로 읽고 분석하였으며, 연구 문제를 바탕으로 각 논문의 주요 내용을 메모하고 요약하여 문서화하였다. 또한 정기적인 온라인 연구회의를 통해 각자 작성한 내용을 비교, 검토 하였으며 자료에 대해서 일치하지 않는 의견에 대해서는 의견 합의하는 과정을 거쳤다. 본 연구자들은 통합적 고찰에서 제시하는 절차를 엄격하게 지키면서 4차례의 온라인의 회의를 통해 연구 문제를 명확히 하고 분석과정에 대해 면밀하게 논의하고 점검하였다.

Summary of Studies Included in the Integrative Review

(N=15)

Major Contents of Intervention Studies

(N=12)

● 자료통합을 통한 속성 도출

마지막 단계에서는 최종 합의된 속성이 어떠한 목적을 가지고 도출되었는지 통합적으로 자료를 비교 및 대조하여 제시하는 것이다. 개념화된 속성을 도출하기 위하여 해당 연구 논문을 분석하였고, 대학생을 위한 성교육 프로그램과 관련한 속성이 코딩된 주요 자료를 지지하고 통합되는지 점검하여 최종적인 속성을 확정하였다.

연구 결과

분석에 포함된 논문의 일반적 특성

본 연구에서 분석한 국내·외에서 출판된 한국의 대학생 성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총 15편의 연구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Table 1). 선정된 15편의 연구 대상은 대학 1학년 신입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1편(6.7%)이었고 14편(93.3%)의 연구가 대학 전 학년을 포함하였다. 14편(93.3%)의 연구는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진행된 연구였으며 여대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1편(6.7%)으로 나타났다. 이들 중 대학생 전체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13편(86.7%)이었으며, 간호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2편(13.3%)이었다. 연구의 참여자 수는 100명 이하가 7편(46.6%)으로 가장 많았으며 101명에서 300명이하가 6편(40%), 300명에서 500명 사이의 연구가 1편(6.7%), 500명이상을 대상으로 한 분석 연구가 1편(6.7%)이었다. 출판연도를 살펴보면 2001년부터 2010년 이전이 4편(26.7%)으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2010년부터 2015년까지가 7편(46.6%), 2016년부터 현재까지가 4편(26.7%) 이었다. 출판된 학문분야는 간호학이 11편(73.3%)으로 가장 많았으며, 보건학 3편(20.0%), 심리학이 1편(6.7%)이었다. 생명윤리위원회로부터 승인을 받은 연구는 8편(53.3%)이었으며 나머지 7편(46.7%)의 연구는 생명윤리위원회의 승인을 받지 않고 진행된 연구로 나타났다. 15편의 연구 중 12편의 연구는 중재연구였으며, 3편의 연구는 서술적 조사연구였다. 따라서 서술적/중재적 연구를 나누어서 결과에 기술하였다. 중재연구의 유형은 유사 실험 연구가 1편 (6.7%)이고, 비동등성 전후 실험 연구가 6편(40.0%)이었으며, 단일군 사전, 사후 조사만을 실시한 연구가 5편(33.3%)으로 나타났다. 이렇듯 성 교육 프로그램 중재를 가진 연구는 12편이었으며, 이들 중에는 프로그램 진행 전, 성 교육 요구도 조사가 실시된 연구는 6편(40.0%)인 것으로 나타났다. 성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주요 변수는 성 지식(예: 성에 대한 기초지식, 성 매개 감염지식[sexual transmitted disease], 피임지식)을 측정한 연구가 11편(73.3 %), 성 태도(예, 피임 태도, 콘돔 사용 태도, 성 폭력, 성 이중기준, 음란물, 성 역할) 12편(80.0%), 성 행동(예: 생식 건강 증진 행동, 콘돔 사용 의향) 2편(13.3%), 성적 자율성(예: 성적 자율성, 성 매개 감염 예방행위, 성병 민감성) 5편(33.3%), 결혼과 성(예: 연애관, 관계 만족, 성 의사소통) 2편(13.3%)으로 나타났다.

General Characteristics of Included Studies

(N=15)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성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의 질 평가

본 연구에서 선정된 15편의 문헌은 세 명의 연구자가 각 논문에 대한 질 평가를 실시한 결과, 120개의 항목 중 18개의 항목 (15%)이 일치하지 않아 조정하는 과정이 이루어졌다. 조정된 논문은 연구자 간의 재평가하는 과정을 거쳤다. Grough (2007)의 근거가중치(WOC) 모두 통합 평가인 WOE d에서 ‘중’ 등급 이상의 자료로 분석되어 질 평가 기준을 충족하였으며, 통합적 분석에 사용되었다(Table 2).

The List of Reviewed Articles

(N=15)

한국의 대학생 성교육 프로그램 분석과 의미해석

본 연구에서 국내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성교육 프로그램을 분석한 15편의 연구 문제에 따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Table 3).

● 성교육 프로그램과 관련한 요구도 확인

본 연구에서 분석한 국내·외에서 출판된 한국의 대학생 성교육 프로그램과 관련한 요구도 조사 연구는 총 3편이었다. 세 편의 연구에서 남성, 여성 모두에서는 피임, 성병예방, 생식기 관리, 임신가능 기간, 성범죄 예방과 대처, 임신과 출산 등이 관심주제였고, 특히 피임방법, 성병예방을 비롯한 생식기 관리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았다. 대학생 성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성교육 요구도에 관한 조사연구인 2편의 연구에서는 대학생 전체를 대상으로 성 매개 감염, 성병 예방 효능감, 성적 자율성, 성태도(예, 순결, 성 이중기준, 음란물 노출정도)에 대해 조사하였고, 다른 1편의 연구에서는 대학교 신입생을 대상으로 성지식, 성태도, 생식 건강 증진에 대한 요구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성 관련 정보는 인터넷, 선배나 친구, 학교 순으로 얻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학생의 성지식은 여학생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 매개 감염에 대한 지식은 남녀학생 모두 18점 만점에 5점 정도로 낮은 편으로 나타났다. 대학생들은 피임방법과 성병예방, 생식기 관리에 대한 성교육 요구도가 높았다.

● 성교육 프로그램 중재 연구

본 연구에서 분석한 국내·외에서 출판된 한국의 대학생 성교육 프로그램 연구는 총 12편이었다. 한국의 성교육 프로그램 중재연구에 대한 목적과 교육방법, 프로그램 효과측정을 위한 결과변수, 교육내용과 교육의 효과 및 유의성은 다음과 같다(Table 4).

∙성교육 프로그램의 목적과 교육방법

성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12편의 중재연구에서 교육방법으로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방법은 강의식 교육 10편(83.3%)이었으며, 교육전달자는 대부분이 교수가 9편(90.0%)으로 대부분을 차지했으며, 그 외 전문가 강연이 1편(10%)으로 나타났다. 제공된 성교육 교육프로그램은 시뮬레이션기반 문제중심 학습법 1편(8.3%)을 비롯하여, 1편에서 사이버 캠퍼스를 이용한 온라인 교양 수업을 제공하였으며 (8.3%), 온라인과 오프라인 교육을 결합한 블렌디드 러닝(blended learning) 1편(8.3%)이 있었다. 슬라이드(power point)를 통한 강의식 교육 4편(33.3%)에 병행하여, 비디오 영상을 활용한 시청각 교육 4편(33.3%), 모형을 사용한 실습교육 1편(8.3%), 감상문/경험 공유 1편(8.3%), 집단 토론과 발표 9편(75%)으로 조사되었다. 교육기간은 짧게는 1회부터 30회까지 다양했으며, 1회 교육시간을 구체적으로 제시한 연구는 7편(46.7%) 이었다. 7편의 연구에서 제공된 1회 교육시간은 90분이 2편(28.6%)으로 나타났고 2시간이 2편(28.6%), 3시간이 2편(28.6%), 4시간이 1편(14.2%)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1회만 제공된 교육은 1편(8.3%)인 반면, 1주 이상 5주 이내로 2시간에서 15시간까지 진행된 연구는 6편(50%), 대학에서 교양과목이나 정규 교과 과정으로 14주에서 16주까지 교육을 편성하여 교육을 실시한 경우가 5편(41.6%)으로 나타났다. 대조군에게는 성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이었고, 실험군에게 시행한 다양한 교수 학습방법과는 달리 강의식 교육만을 제공하거나 성교육 없이 전, 후의 성 지식과 성 태도를 비교한 연구가 있었다.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성교육 프로그램은 강의식 교육으로 1회 2-3시간 정도의 시간의 수업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1회성 보다는 다회성으로 교육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그램 효과 측정을 위한 결과변수

측정변수는 성 지식 8편(66.6%), 성 매개 감염 지식 1편(8.3%), 콘돔 관련 지식이 1편(8.3%)이었으며 성 태도 8편(66.6%)과 성 역할 태도 1편(8.3%), 콘돔 사용에 관한 태도와 콘돔 사용 의향 2편(16.6%), 연애관과 관계 만족 1편(8.3%), 피임 지식과 태도 1편(8.3%), 성적 자율성 3편(30.0%)등 이었다.

∙프로그램 교육내용

중재내용의 특성은 ‘성지식’, ‘성태도’, ‘성행동’, ‘성적 자율성’, ‘결혼과 성’의 주제로 의미를 해석하였다. 대부분의 연구에서 성 지식과 성 태도를 다루었고, 이에 추가하여 성 행동은 3편의 연구에서, 성적 자율성은 3편의 연구에서, 결혼과 성은 2편의 연구에서 다루었다. ‘성 지식’에 포함되는 내용은 기본적인 생물학적 성지식, 성 매개 감염과 피임, 콘돔에 대한 지식에 대한 교육이 실시되었으며, ‘성 태도’는 피임과 순결, 성폭력, 데이트 폭력, 성 이중기준. 낙태, 음란물 등에 대한 교육이었다. ‘성 행동’의 경우 생식건강 증진과 성적 행위, 콘돔사용 의향 등에 관한 것이었다. ‘성적 자율성’은 성 매개 감염에 대한 자기 효율성과 민감성에 대한 내용이었다. 마지막으로 ‘결혼과 성’에 대한 교육에서는 성의 역사와 개념, 성과 결혼, 임신, 출산 등에 대한 내용이었다. 성 지식은 1편의 연구에서 자신이 성에 대해 알고 있는 정도를 스스로 평가하는 주관적 측정과 정답이 있는 객관적인 측정을 사용하거나, 2편의 연구에서 성에 대한 생물학적 지식을 대부분의 연구에서 묻고 있었으며 생식기관에 대한 지식 및 관리, 4편의 연구에서 피임 및 임신, 인공유산, 더 나아가 2편의 연구에서 성 매개 감염 예방, 1편의 연구에서 성 개념, 이성교제, 데이트 폭력 예방, 성폭력 등의 문항 등을 포함했다. 성 태도에 관한 내용은 성행동에 대해 개방적인지 보수적인지를 묻는 문항들이었으며, 피임법에 대한 태도 1편, 성행위와 관련된 태도, 순결, 음란매체에 대한 태도 등을 2편의 연구에서 측정하였다. 성 태도를 포함하여 성의 본질, 성 가치관, 결혼관, 동성애, 낙태에 대한 태도를 포함한 두 편의 연구가 있었다. 한 연구에서는 피임법에만 초점을 맞추어서, 콘돔의 신뢰성 및 효과성, 콘돔 사용의 성적 즐거움 혹은 사용과 관련한 당혹감 등을 측정하였다.

성행동과 관련하여 생식건강증진행위는 성별에 따라 다른 문항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한 편의 연구에서 정신·사회학적 생식건강, 생식기 관리, 생식능력 관련 건강관리, 안전 성 행위 등을 측정하였고, 1편의 연구에서 성관련 매체 접촉 경험 유무, 이성교제 경험 유무, 성교경험 유무, 성 고민 유무와 해결방법 등, 그리고 1편의 연구에서 성관계 시 개인의 콘돔사용의향을 측정하였다.

성적 자율성에 관한 내용은 성적 조절문항(예, 원하지 않는 성관계에 대해 정확히 말함, 성관계 시 스스로 결정함), 혹은 성 행동에 대한 권유를 받았을 때 피임을 할 것인지 혹은 얼마나 자기 의견을 밝힐 것인지 등에 대한 자기 의견이나 생각 등을 포함하였다. 결혼과 성과 관련하여, 한 연구에서 16 주간의 학교 강의와 토론을 통해 이성 관계를 포함한 관계만족을 위한 실천, 결혼 준비, 성 지식, 성 행위, 성폭력, 결혼 계획 등의 성교육을 제공하였다. 이성 간의 이해와 자연스러운 의사소통을 촉진하기 위해 이성으로 구성된 그룹을 만들고 의사소통을 실습하였다. 중재 후 실험군에서 관계만족도가 의미 있게 상승하였고, 실습을 통해 배운 구체적인 관계 개선 훈련을 이용하여 이성과의 관계가 좋아졌다고 하였다. 또한 두 연구에서 성교육 콘텐츠를 인간발달(성의 해부학, 생명탄생), 인간관계 및 상호기술 (배우자 찾기, 사랑과 성 반응), 성 태도 (안전한 성), 성 건강 및 사회 문화 (성병) 등의 다양한 주제를 포괄적으로 포함하여 한 학기 동안 교양 강의를 제공하였다. 이러한 연구들의 중재 결과 성 지식, 성 태도, 성적 의사소통, 이성 관계 만족 등이 중재 후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 교육의 효과 및 유의성

12편의 중재연구 중 성 지식에 대한 중재의 효과를 측정한 연구는 10편이었다. 그 중 사전조사를 실시한 연구 4편의 경우, 성지식이 높게 나타난 경우는 2편(50%), 보통 수준은 1편(25%), 낮게 보고된 연구는 1편(25%)으로 나타났다. 의 연구에서는 보통 수준이라고 하였고, 다른 1편(25%)의 연구에서 성지식이 낮은 것으로 보고하였다. 교육 프로그램의 중재 전 실시한 조사에서 성 매개 감염과 피임관련 지식, 성폭력 등의 점수는 평균 이하로 낮았으나 교육 프로그램 후, 1편의 연구를 제외한 9편(90%)의 연구에서 유의미한 차이로 성 지식이 증가했음을 확인하였다. 성지식의 변화가 없었던 연구는 강의식과 토론식의 전통적인 교육방법을 사용했으며, 프로그램의 내용이 성교육보다는 주로 성적 자율성의 측면인 조절능력과 대응능력에 초점을 맞춘 교육이었다. 남·녀 성 지식의 차이를 살펴보면 2편(18.1%)의 연구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성 지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 태도를 확인한 7편의 연구 중, 6편(85.7%)의 연구에서 성 교육 프로그램 적용 후, 성 태도가 개방적이고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는데 이는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성태도의 변화가 없었던 1편(14.2%)은 콘돔에 대한 태도와 사용 의향을 살펴보았는데 교육 프로그램 후 여학생의 경우, 콘돔 신뢰성과 효과에 대한 태도가 증가(p=.001)한 반면, 남학생의 경우에는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성 태도가 개방적인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성 관련 매체를 접한 경험이 있는 학생이 성에 대해 개방적인 태도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1편의 연구에서는 1회의 성 교육만을 실시하여 성 태도의 변화를 기대하기 어려웠지만 다른 연구에서는, 4주간의 프로그램 진행 후 성 지식과 태도, 성적 자율성이 증가했음이 나타났다. 또한 강의와 시뮬레이션 교육을 조합한 교육프로그램에서 간호학생들이 가상의 환자에게 성 지식과 성 행동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성 역할에 대한 인식, 성지식과 성태도가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논 의

본 연구는 한국의 대학생을 위한 성교육 프로그램의 서술적 연구 및 중재 연구를 통합적 문헌고찰을 통해 분석하고 평가하여 추후 한국 대학생을 위한 성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을 근거자료를 제시하고자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한국의 대학생을 위한 기존의 성교육 프로그램과 관련된 논문들에 대한 분석을 실시한 결과를 통해, 논의에서는 첫째, 성교육 프로그램 전에 성교육 요구도가 필요함을 확인하고, 둘째, 중재형태를 분석하였으며, 셋째, 성교육 프로그램 내용에 관련된 항목을 내용에 따라 다섯 가지로 분류하고, 마지막으로 성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첫 번째 속성은 성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전에 학생들의 성교육 요구도를 사정하는 것이다. 세 편의 연구에서 성교육 프로그램 실시 전에 성교육 요구도를 사정하여 프로그램에 반영하였는데[A7, A12, A15], 이처럼 교육대상자의 교육 요구가 반영된 경우 성교육 내용은 더욱 효과적일 수 있다[A15]. 전국대학생 6,000명이 참여한 연구에서 희망하는 교육 주제는 피임법이 가장 높았으며, 올바른 이성교제, 남녀의 신체적, 심리적 특성과 차이, 배란/월경/몽정/사정에 대한 지식, 성병예방 및 치료, 성폭력 예방과 대처 등의 순서로 요구도가 높게 나타났다 [A13]. 남·녀 간의 성교육 요구도에서는 차이가 있었는데 남학생의 경우는 성행위 그리고 여학생은 임신, 피임, 성기호 등이었다[A7]. 대학생들의 성교육에 관한 요구는 단순한 육체적 성보다는 관계적인 성, 사회적인 성에 더 관심이 많았다[A7]. 이는 과거에 생물학적인 성에 기반을 둔 교육에서 벗어나 사회적 관계도 포함한 성교육을 통하여, 즉 더 포괄적으로 성을 이해하려는 측면을 보여준다[A9]. 성교육의 목표는 성인기에 있는 대학생들에게 성에 대한 올바른 개념과 과학적 지식을 습득하게 함으로써 자신의 성에 대해 이해하고 바람직한 성 가치관을 함양하여 스스로 책임 있는 성행동을 결정할 수 있는 것이라고 하였다[A9]. 또한 대학생들의 관심은 실제적으로 활용가능한 성교육 내용에 있었다. 특히, 대학생들은 성 행동의 과정, 결과와 관련된 성적 자율성, 의사소통, 성병 예방 교육, 생식기 관리 등 실질적인 내용에 대한 요구도가 높았다. 실제로 문헌 고찰한 연구에서도 알 수 있듯이 이러한 대상자들의 요구도 등을 반영하여, 2005년 이후 부터는 기본적인 성 지식, 성 태도 이외에도 성 행동, 성 매개 질환, 피임법, 생식기 관리, 성적 자율성 등의 실질적인 주제를 성교육에 포함하였다.

둘째, 성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중재를 제공한 연구에 대한 분석결과를 통해 향후 프로그램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12편의 중재연구는 대부분 그룹으로 교육을 실시하였다. 교육 형태는 대부분의 연구에서 강의식을 기반으로 하고 시연, 실습, 동영상 시청, 토론 등의 다양한 교수학습방법을 적용하였다. 중재 기간은 1회에 최소 90분 이상, 1주에서 15주로 다양하였고, 대부분 연구자에 의해서 교육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교육 방법을 통해 대부분의 연구에서 성 지식(예: 콘돔 사용지식, 성병관련 지식, 피임 지식)의 증가와 성 태도의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나, 5주의 단기 프로그램을 적용 후 콘돔 사용에 대한 태도를 측정한 한 편의 연구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A1]. 이는 일반적인 성 지식, 성 태도 등은 성교육을 통해 향상될 수 있으나, 콘돔 사용 의도 등 실질적인 상황에 대한 성 태도는 단기간에 변화하기 어려운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기존의 성교육 방법을 분석한 결과 3주 이내로 실시한 단기 교육 프로그램에서는 성지식의 향상은 있었으나 성 태도의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A3].

이러한 결과를 통해 성교육은 단순히 1회 성 단기 프로그램이 아닌 장기 프로그램을 통해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실제로 대부분의 중재연구에서는 1회성이 아닌 최소 1주부터 16주 간 교육을 실시하였다. 또한 수요자인 대학생의 요구를 반영하여 교양과목 등의 정규 교과과정으로 편성하여 교육을 실시하거나[A5], 여러 대학 간에 공통된 사이버 캠퍼스 교양과목을 제공하거나[A3], 여러 대학에 생식건강기관을 설립하여 전문적이고 공통된 내용의 성교육을 실시한 연구도 있었다[A12]. 이러한 결과를 통해 연구 목적 혹은 교육 내용에 따라 최소 몇 주 이상의 교육 프로그램이 효과적인지에 관한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대학생 시기의 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교수학습방법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동안 실시되어 온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성교육은 교육자 중심의 주입식 강의가 대부분이며 성 지식만을 부분적으로 제공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지만[A7], 문헌 고찰을 통해 살펴본 2005년 이후의 연구에서는 강의에 추가하여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교육을 하려는 시도를 볼 수 있었다. 현 시대의 대학생은 소셜 미디어(social medias), 멀티미디어를 사용하고, 인터넷 등을 용이하게 사용하는 세대이다. 따라서 기존의 성교육 방식인 강의를 기본적으로 제공하면서, 동영상 등의 내용을 삽입하여 대상자가 흥미를 잃지 않도록 하고, 특정한 주제와 관련해서는 시범과 실습을 병행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예를 들면 피임법에 관련해서 강의와 시범을 실시하였는데, 교육을 받은 집단에서 성 지식과 성적 자율성이 향상되었고, 교육에 대한 만족도 또한 높게 나타났다(Shin, Chun, Cho, & Cho, 2005). 이들 세대는 정보기술의 사용에 익숙하므로, 대학의 학습관리 시스템(learning management system)을 이용한 교육 내용의 적절한 결합과 배분이 능률적이었다[A15]. 사이버 캠퍼스를 이용한 온라인 교양 수업을 제공하였으며[A3], 기존의 강의식 수업과 온라인 수업을 결합한 블렌디드 러닝(blended learning) 기법을 이용하여 대상자가 미리 학습내용을 온라인 강의를 통해 숙지한 후, 수업시간에 대상자가 학습내용을 발표하였다. 이를 통해 대상자의 교육 내용의 이해 정도를 확인하고, 교육 시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였다[A6]. 이는 교육 목표의 인지적 영역을 분석, 적용, 평가의 상위수준으로 높이기 위한 것으로 학습자들이 많이 말하고, 생각하고, 행동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학습법이다(Kim & Lee, 2015). 이처럼 성에 대한 가치관이 정립되는 시기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할 경우에는 성교육은 단순한 지식 전달 뿐만 아니라 학생들이 직접 참여하고 활동하며, 생각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발표, 토론 등의 학습법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Kim & Lee, 2015).

문헌 고찰한 연구들에서 피임법의 실습, 임부 체험, 성병과 관련된 사진과 사례를 이용한 비디오의 활용, 토론 등 다양한 매체의 활용과 직접 체험 활동에 대해 학생들의 만족도가 높았고, 더 오래 기억이 남는다고 하였다. 특히 간호학생들의 경우는 성병관련 사례를 통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미래의 간호사로서의 가상의 환자에게 교육을 제공하였는데, 평가를 통해 성 지식과 안전한 성 행동에 대해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지식을 활용하기에 더 좋았고 안전한 성행위에 대한 책임감을 깨닫게 하였다고 보고하였다[A8]. 이처럼 간호학생의 경우 성 지식의 전달 뿐만 아니라 시뮬레이션 등의 교육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임상적 역량(competency)를 함양할 수 있도록 하여 효율적으로 나타났다[A9]. 본 문헌고찰에서는 교양과목을 통해 성교육을 배우는 학생들의 전공은 대부분 심리학이나 보건학 등을 전공하고 있었고 간호학 학생들도 포함되어 있었다. 따라서 성교육을 실시할 때 전공과목 특성상 성교육과 상대적으로 관련이 적었던 분야인 자연과학, 공학 등을 전공하고 있는 학생들의 성교육 요구도를 조사하고, 이에 부합되는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교양과목이나 특강 등의 교육을 실시하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다. 또한 각 학생의 전공인 교육, 공학, 체육 등에 따라 성지식에 대한 배경지식이 다르고, 교육에 대한 접근방법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를 고려하여 추후 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더 효과적일 것이다.

셋째, 성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공통적으로 다음의 다섯 가지 주제로 분류될 수 있었는데 성 지식, 성 태도, 성 행동, 성적 자율성, 결혼과 성이였다.

성 지식에 관한 내용은 2000년대 이전 및 초반에는 생물학적 성에 주로 초점을 맞추었으나, 2005년 이후의 출간된 문헌 고찰한 연구들은 사회적인 성 등 광범위한 개념을 포함한 교육내용을 원하는 대학생의 요구도를 반영하여 성교육을 실시하고 있었다. 성교육적 의미에서 성(sexuality)은 단순히 생식에 관한 본능이나 기능을 일컫는 것이 아니라, 더 광범위한 개념으로서 개인의 성적 건강의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 측면에 관한 책임감 있는 결정을 하는 능력과 관련이 있다고 하였다. 따라서 성의 개념은 인간의 총체적인 면을 내포하며, 생리적, 정신적, 사회문화적, 윤리적인 인간의 성행동의 관점을 포함한다고 할 수 있다[A7].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성교육은 미래의 건강한 부부가 되기 위한 그리고 가족생활의 기초가 될 수 있으므로, 성 지식의 측면에서 단편적인 내용만을 제공하기 보다는 심도 있고 포괄적인 장기 성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하였다[A3]. 이러한 부분에서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성교육은 중,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와는 차별성이 있다. 중, 고등학생의 경우에는 성 건강에 대한 지식의 정도가 낮았고, 대부분 가정이나 학교에서 성교육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교육에 대한 요구도는 중, 고등학생 모두에서 상황별 대처 방법을 가장 배우고 싶어 했으며, 중학교의 경우 남·녀의 성 심리차이, 이성 교제, 결혼가정 등에 대한 요구도가 높았고, 임신중절 및 자기 결정권 등에 대한 요구도는 낮았으며, 고등학생의 경우는 피임방법, 성 개념과 중요성, 스킨십과 성교, 에이즈와 성 매개 감염병의 순이었다(Lee & Song, 2015).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다른 연구에서도 학교에서 배우고 싶은 성교육은 남학생의 경우는 피임방법과 임신 중절, 에이즈와 성병의 순이었고, 여학생의 경우는 결혼과 가정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피임방법과 임신 중절이었으나, 여학생의 경우 에이즈와 성병에 대한 관심도는 낮았다(Lee et al., 2015). 이를 통해 개인의 성별과 연령에 따라 성교육 요구도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중, 고등학교 혹은 대학교에 맞는 적절한 시기에 요구도에 알맞은 성교육이 이루어져야 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 등을 분석한 것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필요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향후 연구에서는 실제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성교육에 대한 대학생들의 요구도를 반영한 콘돔 사용, 성병과 관련된 지식, 피임과 낙태, 성 정보 매체의 습득 방법 등에 대한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성 지식 교육이 필요하다. 문헌고찰을 통한 연구들에서 성 지식을 측정하는 문제, 생식기관에 대한 지식 및 관리, 데이트 폭력 등 다양한 주제를 포함하였다. 그리고 교육자의 연구 목적에 따라 성지식을 측정할 때 성병 예방(Kim & Lee, 2015) 혹은 피임 지식[A14]만 측정한 경우도 있었다. 이는 교육자의 연구 목적 혹은 제공된 성교육 중재 내용에 따라 성지식의 측정이 달라짐을 의미하며, 연구목적에 적합한 성 지식을 측정할 수 있는 민감한 도구가 사용되거나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성 태도와 관련한 도구에서는 성행동 및 피임행동, 음란 매체에 대한 태도 등을 측정하였는데, 점수가 높을수록 성에 대한 태도가 개방적임을 의미했다. 성 태도는 남학생이 상대적으로 개방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여성은 보수적인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와 관련해서 성별에 따른 차별화된 성교육이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Cho (2006)의 연구에서는 모형을 통한 콘돔사용과 관련하여 역할극을 실시하도록 했는데, 여학생의 경우에서만 콘돔의 신뢰성과 효과성, 콘돔 사용과 관련된 당혹감에 태한 태도에 대한 점수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남학생의 경우에는 교육 전, 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는데, 이는 남학생의 기존의 성경험 비율이 여학생보다 높기 때문이라고 해석되었다[A1]. 따라서 성별에 따라 교육의 효과가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고, 성별 및 기존 성 행동 경험에 따른 차별적인 교육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이는 또한 전통적 유교권 문화를 따르고 있는 우리나라에서 성적인 상호작용과 관련하여 여성이 상대적으로 소극적인 행동을 취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A1]. 우리나라의 가부장제도에서는 성적 행동에 관해서 남성에게는 보다 허용적이며, 여성에게는 엄격한 기준을 적용한다. 따라서 남성은 지배적이며 주도적인 존재로 여겨지는 반면 여성은 수동적인 존재로 표현되고 있으므로, 현대 상황에 맞게 성 이중 기준이 재정립되어야 할 것이다(Kim, 2011). 특히 여대생의 콘돔 협상 및 사용과 관련된 점수의 향상은 이러한 양성 평등의식을 고양하는 성교육의 목표와도 일치된다고 하였다[A1].

성 행동에 관련된 내용을 측정한 연구는 성 지식, 성 태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었으며, 생식건강증진 행위를 성별에 따른 차이를 고려하여 다른 문항으로 측정하였다. 일부 연구에서는 직접적인 질문 등을 포함하여, 성지식과 성 태도에서 나아가 실제로 어떠한 성 행동을 하는지 측정하였다[A1, A4] 이처럼 성교육을 통해 현재의 성 지식과 성적 자율성과 같은 인식에 미치는 영향, 성 태도를 아는 것도 중요하지만 실제적으로 어떻게 성 행동에 영향을 미쳤는지 알아보는 향후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초기 성인에게 있어서 성 정체성, 친밀감 혹은 자율성 등은 성을 긍정적으로 형성하게 하는 요소이다. 특히 성적 자율성은 성인으로서의 관련 의사결정을 내리는데 개인의 의지와 조절을 의미하며, 이는 초기 성인기의 건전한 성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매우 중요한 개념이라고 하였다[A2] (Parkes, Henderson, Wight, & Nixon, 2011). 이러한 측면에서 성적 자율성을 성지식, 성태도와 함께 혹은 별도로 교육을 실시한 것은 성교육과 관련하여 중요한 진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성교육을 실시할 때 남·녀의 성교육 요구도가 다르게 나타난 것에 비해 두 연구를 제외하고는[A2, A9] 대부분의 연구에서 남·녀 학생을 함께 성교육을 실시하였다. 한 연구에서는 여대생들이 성적 관계에서 수동적으로 결정하여 임신, 낙태 등의 원치 않는 결과를 초래 할 수 있는 위험성이 있어 여대생만을 대상으로 성교육을 실시하였다[A2]. 여대생들은 10주 동안의 중재를 제공받기 전에 이미 성지식 점수가 높았으므로 성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교육 제공 후 성지식에는 별다른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여학생들의 성적 자율성은 중재 전, 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성적 자율성은 자신감, 자기조절, 가치 부여 등의 외적 동기화 과정을 통하여 피임, 임신 및 성병 예방, 성교 여부 결정, 성욕구 조절 등에 관한 내적 조절능력이 형성되도록 돕는다[A2]. 따라서 이러한 프로그램을 통해 성적 자율성을 길러주는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결혼과 성에 관련해서는 사랑유형, 관계의 만족, 성에 관한 의사소통 등을 측정하는 내용이 포함되었다[A3, A5]. 실제로 성태도 중 결혼관은 생식건강 증진행위와 관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A15]. 한 연구에서 이성을 포함한 그룹을 구성한 연구를 통해, 이성관계의 발전, 결혼 준비 등 포괄적인 결혼과 성과 관련된 주제를 배우고, 자연스러운 의사소통을 실습하였다 [A5], 이러한 교육은 상대적으로 이성경험이 적었던 학생들에게 이성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기회를 마련해주고 자연스럽게 성교육을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 도움이 되었다고 본다. 또한 단순히 지식에 기반한 성교육 보다, 인관관계 및 상호기술, 성 건강 등 다양한 주제를 포괄적으로 포함한 경우에서 [A3, A5]. 이러한 연구들의 중재 결과 성 지식, 성 태도, 성적 의사소통, 이성 관계 만족 등이 중재 후에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므로[A3, A5], 단순한 생물학적 성 지식에 초점을 맞춘 성교육 보다는 생물학적, 사회학적, 관계학적 측면을 함께 고려한 포괄적인 성교육을 제공했을 때 효과가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추후에도 이러한 종합적인 성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것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또한 문헌 고찰한 연구들에서 성 지식, 성 태도에 관한 연구가 상대적으로 많은 반면, 성 행동, 성적 자율성, 결혼과 성 등에 관한 연구는 이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적어서 이에 관한 추후 연구를 실시하여 종합적인 성교육을 실시했을 때의 교육 효과를 보는 연구가 더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15편의 한국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성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통합적 고찰을 통해 도출된 주요 속성인 ‘성교육 요구도 사정의 중요성’, ‘효과적인 성교육 프로그램 만들기’, ‘성교육 프로그램의 내용’은 추후 초기 성인기인 대학생을 위한 성교육 제공에 또한 이에 수반되는 간호 중재에 반영할 수 있는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근거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 도출한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교에서 혹은 간호사들의 전문 인력을 바탕으로 대학생을 위한 체계적이고 포괄적인 성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진행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결론 및 제언

본 연구에서는 통합적 고찰 방법을 이용하여 대학생 성교육 프로그램의 서술적 기술 및 중재 와 관련된 논문을 분석하여 15편의 논문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결과, 현재 대학생을 대상으로 제공하는 성교육 프로그램의 속성 및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중재 프로그램에서 성 지식, 성 태도에 대한 교육을 제공하고 있었고, 일부 연구에서 피임법, 성매개 감염, 임신 등의 실질적인 내용을 추가로 교육하고 있었다. 둘째, 성교육 요구도는 성별 간에 차이가 있었다. 성 지식은 여학생이 점수가 더 높은 반면, 성 태도는 남학생이 더 개방적인 것으로 나타나 성별에 따른 차별화된 교육이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일회성의 교육보다 일정기간 이상의 장기간의 교육을 실시한 프로그램이 효과적이었다. 넷째, 생물학적 성 지식 이외에도 관계적, 사회적인 성을 추가하여 교육하였을 때 전반적으로 성 지식, 성 태도, 의사소통 등 효과가 있음이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부분을 보완하여 간호사 혹은 전문가 집단을 통해 성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 초기 성인기 혹은 대학생들의 건전한 성 행동 및 성 태도를 형성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대학생 성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해서 몇 가지를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성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전에 성별 및 연령 등의 개인적 특성을 고려한 성교육 요구도를 사정하여 추후 이에 맞춘 교육 프로그램이 제공되도록 한다. 둘째, 피임법, 성병 예방, 성적 자율성 등 실제적으로 활용가능한 성교육이 이루어져야 하고 향후에는 성교육을 받은 후에 실질적으로 성 행동에 변화가 있었는지를 추적 조사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몇 주 이상의 장기적인 성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교육을 제공하며, 다양한 교수학습방법 등을 이용하여 학생들의 흥미를 높이고 참여를 유도한다. 마지막으로, 생물학적인 성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아닌 사회적, 관계적 측면을 고려한 포괄적인 성교육을 실시하고 이에 따른 효과를 측정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References

1.

Cho, E. J. (2006). Effect of sex education on condom attitudes and condom use intention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dramaturgical interaction approach.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7(2), 223-234.

2.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6). How you can prevent sexually transmitted disease. Retrieved from https://www.cdc.gov/std/prevention/default.htm

.
3.

Do, E. S., & Seo, Y. S. (2013). Factor influencing sexual autonomy i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2), 129-136.

. 10.7739/jkafn.2013.20.2.129.
4.

Farrington, E. M., Bell, D. C., & DiBacco, A. E. (2016). Reasons people give for using (or not using) condoms. AIDS and Behavior, 20(12), 2850-2862.

. 10.1007/s10461-016-1352-7.
5.

Gough, D. (2007). Weight of evidence: A framework for the appraisal of the quality and relevance of evidence. Research Papers in Education, 22(2), 213-228.

. 10.1080/02671520701296189.
6.

Haßler, B., Major, L., & Hennessy, S. (2016). Tablet use in schools: A critical review of the evidence for learning outcomes. Journal of Computer Assisted Learning, 32(2), 139-156.

. 10.1111/jcal.12123.
7.

Haruna, H., Hu, X., Chu, S. K. W., Mellecker, R. R., Gabriel, G., & Ndekao, P. S. (2018). Improving sexual health education programs for adolescent students through game-based learning and gasifi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15(9), 1-26.

. 10.3390/ijerph15092027.
8.

Hong, C. M., & Hwang, E. H. (2013). Relationships among sexual attitudes, sexual knowledge and social support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3(8), 240-249.

. 10.5392/JKCA.2013.13.08.240.
9.

Jaung, A. H., Jung, Y. J., & Kim, M. Y. (2015). Affecting factors sexual experience amo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6(1), 555-563.

. 10.5762/KAIS.2015.16.1.555.
10.

Jo, H. Y., Kim, Y. H., & Son, H. M. (2014). Development of a scale to measure reproductive health promoting behavior of undergraduates.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31(5), 29-43.

. 10.14367/kjhep.2014.31.5.29.
11.

Kim, I. O., Yeom, G. J., & Kim, M. J. (2018). Development a sex education program with blended learning for university students.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4(4), 443-453.

. 10.4094/chnr.2018.24.4.443.
12.

Kim, J. A., & Lee, J. Y. (2014). Analysis of actual condition and the related predicting factors for sexual experience of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 40(3), 71-80.

.
13.

Kim, K. H., & Cho, E. N. (2016).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contraceptive self-efficacy scale: Focused on women university student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2(3), 151-161.

. 10.4069/kjwhn.2016.22.3.151.
14.

Kim, M. Y., & Cho, S. H. (2012). Affecting factors of contraception use among Korean male adolescents: Focused on alcohol, illicit drug, internet use, and sex education. Stress, 20(4), 267-277.

15.

Kim, N. H., Park, Y. J., & Jung, H. S. (2015). Relationships among sexual knowledge, attitude and sexual behavior that university students perceived. Journal of Psychology and Behavior, 7(2), 17-42.

16.

Kim, Y. C., & Lee, E. C. (2015). An effect of blended action learning program on the self directed learning skill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5(11), 658-671.

. 10.5392/JKCA.2015.15.11.658.
17.

Kim, Y. G. (2011). The effects of university students' sexual double standard, sexual subjectivity, sexual meaning on their sexual behaviors. Forum for Youth Culture, 27, 8-37.

18.

Lee, G. Y., & Song, S. H. (2015). Influencing factors on sexual knowledge among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1(3), 406-416.

. 10.5977/jkasne.2015.21.3.406.
19.

Lee, H. S., Jung, B. Y., Lee, Y. H., Seong, W. S., Ha, J. W., Lee, G. Y., et al.. (2015). A study on the level of sex education, sexual knowledge, sexual attitude and sexual allowance among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Education & Culture, 21(3), 231-252.

. 10.24159/joec.2015.21.3.231.
20.

LoBiondo-Wood, G., & Haber, J. (2017). Nursing research: Methods and critical appraisal for evidence-based practice (9th ed). St. Louis, MO: Elsevier, Mosby.

21.

Moher, D., Liberati, A., Tetzlaff, J., Altman, D. G., & The PRISMA Group (2009).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The PRISMA Statement. PLoS Medicine, 6(7), e1000097.

. 10.1371/journal.pmed.1000097.
22.

Muhwezi, W. W., Katahoire, A. R., Banura, C., Mugooda, H., Kwesiga, D., Klepp, K. I. et al. (2015).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adolescents, parents and school administrators regarding adolescent-parent communication on sexual and reproductive health issues in urban and rural Uganda. Reproductive Health, 12(110), 1-16.

. 10.1186/s12978-015-0099-3.
23.

Parkes, A., Henderson, M., Wight, D., & Nixon, C. (2011). Is parenting associated with teenagers' early sexual risk- taking, autonomy and relationship with sexual partners? Perspectives on Sexual and Reproductive Health, 43, 30-40.

10.1363/4303011.
24.

Shin, Y. H., Chun, Y. K., Cho, S. M., & Cho, Y. R. (2005). The effects of a sex education program on knowledge related to sexually transmitted diseases and sexual autonomy among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Nursing, 35(7), 1304-1313.

10.4040/jkan.2005.35.7.1304.
25.

Sohn, A. R., & Chun, S. S. (2015). Comparing sexual attitude, sexual initiation and sexual behavior by gender in Korean college students. Korean Association of Health and Medical Sociology, 18, 73-100.

26.

Song, J. E., & Chae, H. J. (2010). Knowledge and educational need about contraceptives according to sex in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6(4), 399–408.

. 10.4069/kjwhn.2010.16.4.399.
27.

Stanger-Hall, K. F., & Hall, D. W. (2016). Abstinence-only education and teen pregnancy rates: Why we need comprehensive sex education in the U.S. PLoS ONE, 6(10), 1-11.

. 10.1371/journal.pone.0024658.
28.

Whittemore, R., & Knafl, K. (2005). The integrative review: Updated methodology. Journal of Advanced Nursing, 52(5), 546-553.

. 10.1111/j.1365-2648.2005.03621.x.
29.

Yang, Y. K. (2012). A study on knowledge, attitudes, and need for sex education in high school student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8(3), 159-169.

. 10.4069/kjwhn.2012.18.3.159.
30.

Yeom, G. J., & Kim, I. O. (2018). A study about research of needs for development of sex education program on university entrants. Korean Parent Child Health Journal, 21(1), 11-19.

.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Figure 1.

Flow diagram of the articles retrieved and selection process.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Included Studies

(N=15)

Variables Categories n (%)
Participants College students
Woman college students
14 (93.3)
1 (6.7)
Grade Fresh college students
All grade students
1 (6.7)
14 (93.3)
Publication year 2000~2009
2010~2015
2016~2019
4 (26.7)
7 (46.6)
4 (26.7)
Major field of researchers Nursing
Health care
psychology
11 (73.3)
3 (20.0)
1 (6.7)
Research design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One group pre-post test design
Descriptive study
Compromise experimental group-control group pre-post test design
6 (40.0)
5 (33.3)
3 (20.0)
1 (6.7)
Sample size Below 100
101-300
301-500
Above 501
7 (46.6)
6 (40.0)
1 (6.7)
1 (6.7)
Ethical consideration Yes
N/A
8 (53.3)
7 (46.7)
Main variables Sexual knowledge
Sexual attitude
Sexual behavior
Sexual autonomy
Sex & married
11 (73.3)
12 (80.0)
2 (13.3)
5 (33.3)
2 (13.3)

N/A=not applicable.

Table 2.

The List of Reviewed Articles

(N=15)

No. Authors Title Journal Gough's weight of evidence (a,b,c-d)
A1 Cho, E. J. (2006) Effect of sex education on condom attitudes and condom use intention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dramaturgical interaction approach.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7(2), 223-234. H,H,M-H
A2 Chun, N. M. (2012) Effect of sexual education program on female college students' sexual knowledge and sexual autonomy.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8(2), 108-116. H,H,H-H
A3 Eom, H. J., & Lee, J. W. (2011) Online sex education for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Family Therapy, 19(1), 127-150. H,H,M-H
A4 Jeon, G. S., Lee, H. Y., & Rhee, S. J. (2004) Sexual knowledge, attitudes and behaviors of Korea college students and effects of sexual education on sexual knowledge and attitudes.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1(1), 45-68. H,H,H-H
A5 Kim, H. S. (2010) The development and effect of marriage and sex education program using a university liberal-art course. Korean Journal of Psychological Association, 29(4), 1017-1032. H,H,M-H
A6 Kim, I. K., Yeom, G. J., & Kim, M. J. (2018) Development and effects of as sex education program with blended learning for university students.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4(4), 443-453. H,H,H-H
A7 Kim, K. S. (2001) Development of sexuality education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on the basis of sexual awareness. Journal of Family Relations, 6(1), 181-201. H,H,H-H
A8 Kim, M. O., & Shin, M. H. (2016)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simulation-problem-based learning for sex education. Computers, Informatics, Nursing, 34(1), 17-25. H,H,M-H
A9 Lee, S. H. (2010) Development of sexuality education program to improve sexual attitude of college women. Journal of Kyungpook Nursing Science, 14(1), 167-186. H,H,M-H
A10 Park, M. J. (2016) Gender difference in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for the prevention of sexually transmitted disease among college students STD knowledge, susceptibility, and sexual autonomy.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8(4), 482-290. H,H,H-H
A11 Shin, K. R., Park, H. J., & Cha, C. Y. (2011) Sexual education during the school-aged years influences sexual attitudes and sexual health in college: A comparative study from Korea. Nursing and Health Sciences, 13, 328-334. H,H,H-H
A12 Shin, K. R., Park, H. J., & Hong, C. M. (2010) Effects of an educational program about reproductive health promotion on sexual knowledge and attitudes of university students from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ic Adult Nursing, 22(4), 448-456. H,H,H-H
A13 Shin, Y. H., Chun, Y. K., Cho, S. M., & Cho, Y. R. (2005) The effects of a sex education program on knowledge related to sexually transmitted diseases and sexual autonomy among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Nursing, 35(7), 1304-1313. H,H,H-H
A14 Song, J. E., Park, S. M., & Park, J. O. (2014) Effects of sexual autonomy enhancement program for university students in South Korea. Journal of Public Health, 22, 165-174. H,H,H-H
A15 Yeom, G. J., & Kim, I. O. (2018) A study about research of needs for development of sex education program on university entrants. Korean Parent Child Health Journal, 21(1), 11-19. H,H,M-H

a=methodological trustworthiness; b=methodological relevance; c=topic relevance; d=overall scores; H=high; M=medium.

Table 3.

Summary of Studies Included in the Integrative Review

(N=15)

No. Authors (year) Research Design Subjects
(n=total sample size)
Purpose Main variables Key findings
A1 Cho, E. J. (2006) On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College students (n=94) To identify the effects of sexual health education on condom attitudes ∙ Condom attitude
∙ Condom use intension
Female students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hanges in condom attitude. no significant in intension use a condom after intervention.
A2 Chun, N. M. (2012)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College students (Cont. n=30; Exp. n=29)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 sexual education program on female college students' sexual knowledge and sexual autonomy in South Korea. ∙ Sexual knowledge
∙ Sexual autonomy
The 5-week sex education program was effective in increasing the sexual autonomy of female college students.
A3 Eom, H. J., & Lee, J. W. (2011)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college students (Cont. n=192; Exp. n=192) To develop and evaluation an online sex education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 Sexual knowledge
∙ Sexual attitude
∙ Sex communication
The 16weeks online sex program was effective in increasing the sexual knowledge, sexual attitude, and sexual communication.
A4 Jeon, G. S., Lee, H. Y., & Rhee, S. J. (2004) Compromise experimental group-control group pre and post test design college students (Cont. n=113; Exp. n=100)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 sexual education program college students' sexual knowledge and attitude, and sexual behavior in Korea. ∙ Sexual knowledge
∙ Sexual attitude
∙ Sexual behavior
The sexual education program was effective increasing college students’ accurate sexual knowledge, but had little effect on their attitudes.
A5 Kim, H. S. (2010) Pretest and posttest design Nursing students (n=47) To evaluate sexual health knowledge and provide sex education to nursing students using the simulation-problem based learning. ∙ Sex-role orientation
∙ Sex-Role ideology
∙ Sexual knowledge
∙ Sexual attitude
The simulation-problem based learning was effective to improve students' gender-role perception, sex-related knwoledge, and sexual attitude.
A6 Kim, I. K., Yeom, G. J., & Kim, M. J. (2018) Non 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design University students (n=68) To develop sexual education program based on blended learning methods and to evaluate the effect. ∙ Sex knowledge
∙ Sexual autonomy
∙ Justification of violence
Researchers created an sexual education program. The experimental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n sex-related knowledge, sexual autonomy, and justification of violence than the control group.
A7 Kim, K. S. (2001) Pretest and posttest design (Longitudinal) College students (n=342)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xuality education programs for college students ∙ Sex-role attitude
∙ Sexual consciousness
∙ Sexual knowledge
The program was very effective in improving modernized sex-role attitudes, sexual consciousness, and sexual knowledge.
A8 Kim, M. O., & Shin, M. H. (2016) Pretest and posttest design Nursing students (n=47) To evaluate sexual health knowledge and provide sex education to nursing students using the simulation-problem based learning. ∙ Sexual knowledge
∙ Sexual attitude
The simulation-problem based learning was effective to improve students' gender-role perception, sex-related knwoledge, and sexual attitude.
A9 Lee, S. H. (2010)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College students (Cont. n=82; Exp. n=93) To develop and evaluate effect of the sex education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 Sexual attitude The 30 hours sexual program was significant change on sexual attitude.
A10* Park, M. J. (2016) Descriptive study College students (n=268) To examine the impact of self-efficacy in the prevention of sexually transmitted disease(STD) knowledge of and susceptibility to the sexually transmitted disease ∙ STD knowledge
∙ STD susceptibility
∙ Self-efficacy for STD prevention
∙ Sexual autonomy
Self-efficacy for STD prevention showed a full mediating effect between STD susceptibility and sexual autonomy.
A11* Shin, K. R., Park, H. J., & Cha, C. Y. (2011) A descriptive and comparative design College students (n=5,789) To examine the long-term effects of sex education that were provided to Korean college students. ∙ Sexual attitudes (perception, behaviors, virginity, sexual double standard, and pornography) The results show that the role of school nurses should be expanded by redesigning the contents of the sex education program based on students gender and age and providing education in the community settings utilizing midwives.
A12 Shin, K. R., Park, H. J., & Hong, C. M. (2010)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College students (n=79) To examine the effects of an educational program on the promotion of reproductive health on sexual knowledge and attitudes of college students in South Korea. ∙ Sexual knowledge
∙ Sexual attitudes
The results show that reproductive health program increase sexual knowledge and change the sexual attitude of college students.
A13 Shin, Y. H., Chun, Y. K., Cho, S. M., & Cho, Y. R. (2005)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College students (Cont. n=23; Exp. n=18)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 sex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Health Belief Model on students' knowledge on STDs and sexual autonomy among college students in South Korea. ∙ Knowledge of sexual transmitted diseases and sexual autonomy Sexual education program within the theoretical framework were foun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students' knowledge of STDs and sexual autonomy.
A14 Song, J. E., Park, S. M., & Park, J. O. (2014)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College students (Cont. n=77, Exp. n=79)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o enhance sexual autonomy among college students in South Korea. ∙ Contraception knowledge
∙ Contraception attitude
∙ Sexual autonomy
The findings show that the sexual autonomy enhancement program is effective in improving contraception knowledge, attitude, and sexual autonomy of Korean college students.
A15* Yeom, G. J., & Kim, I. O. (2018) A exploratory cross- sectional survey Freshman College students (n=118) To explore the experiences and needs about sexual education of university in Korea. ∙ Sexual knowledge
∙ Sexual attitude
∙ Reproductive health
∙ promotion behavior
Sex education program, composed of knowledge, attitude and behavior should be interesting and helpful in order to fit current trends and fulfill university entrants’ needs.

* Non experimental study design; Cont.=control group; Exp.=experiment group; STD=sexual transmitted disease.

Table 4.

Major Contents of Intervention Studies

(N=12)

No. Author
(year)
Intervention Outcomes Statistic
significance
Effect
size (d)
Objectives Methods
Type & Providers Contents (Duration /
# of session)
Control group
1 Cho (2006) Group intervention: lecture based sex education by the instructor. Sex education (Five weeks) Verbal sex education was provided to the control group. Condom attitude Only two themes (reliability and effectiveness and embarrassment about negotiation and us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mong female students (p=.001; p=.04) - The lecture based sex program composed of five themes: 1) knowing to sex, gender, sexuality. 2) knowing to reliability and effectiveness of condom use, 3) overcoming stigma attached to condom user, 4) overcoming embarrassment about the purchase of condoms, and 5) overcoming embarrassment about negotiations and use of condoms. Lecture using Power Point, video, discussion, and role play.
Condom use intension No (Female p=.35, male p=.50) -
2 Chun (2012) Group intervention: lecture based sex education by instructors. Sex education (Five week, total 15 hours) Verbal sex education was provided to the control group. Sexual knowledge No (p=.80) - The sex education program was consisted of five topics: program overview, women and sexual health, pregnancy and health, labor, delivery and health, and women's reproductive health. Lecture and discussion
Sexual autonomy Yes (p=.01) 0.17
3 Eom et al. (2011) Group intervention: developed online sex education program by instructors Sex education divided into 10 topics during 16 weeks (N/A). Online sex education program was provided to the control group. Sexual knowledge Yes (p<.001) 0.85 The online program composed of four categories: human development, human relation and mutual technology, sexual attitude, and sexual health and social culture. Video, homework, and discussion.
Sexual attitude Yes (p<.001) 0.35
Sex communication Yes (p<.001) 0.32
4 Jeon et al. (2004) Group intervention: lecture based sex education by the instructor. Sex education (One time a week, total 14 weeks) Three week sexual education program was provided to the experimental group. Sexual knowledge Yes (p<.001) 0.97 The sex education program was consist of four main categories: sexual intercourse, sexual double standards, abortion, and AIDS. Lecture
Sexual attitude Yes (p=.005) 0.10
5 Kim (2010) Group intervention: lecture based sex education by the instructor. Sex education (16 weeks) Developed sex education was provided to the experimental group. Love-style Yes (p<.01) 0.41 Sex education focusing on marriage and sexuality. Lecture
Relational satisfaction Yes (p<.05) 0.58
Sexual knowledge Yes (p<.001) 1
6 Kim et al. (2018) Group intervention: online sex education by instructors. Sex education (Two hours a week, total three weeks). Developed online sex education was provided to the experimental group. Sex knowledge Yes (p<.001) 1.62 The developed online sex program composed of eight topics: sex and love, dating, dating violence, marriage, human sex and reproduction, contraception, STD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genitalia. Online lecture using Power Point, video, discussion, simulation, and quiz.
Sexual autonomy Yes (p=.02) 0.38
Justification of violence Yes (p=.02) 0.63
7 Kim (2001) Group intervention: lecture based sex education by the instructor. In class sex education (15 weeks, total 45 hours) Developed sex education with blended learning was provided to the experimental group. Sex-role attitude Yes (p<.001) Sex education emphasized biolog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aspects of sexuality including concept of sexuality and culture, gender imbalance, sexual intercourse, dating, marriage, pregnant and delivery, contraceptive method, sexual problems, sexual behavior, and sexual value and ethics. Lecturer using Power Point, discussion, video tape recorder, and overhead projector.
Sexual consciousness Yes (p<.001)
Objective sexual knowledg Yes (p<.001)
Subjective sexual knowledge Yes (p<.001)
8 Kim et al. (2016) Group intervention: simulation-problem-based learning (S-PBL) program by two instructors One PBL package and two simulation scenarios (4 hours) The experimental group additionally attended S-PBL program. Gender role perception No (p=.884) - The S-PBL program composed of four sections: orientation, group discussion, simulation, and debriefing, focusing on demonstrating important clinical events and nursing skills in obstetric and gynecological nursing. Lectures (6hrs), simulation-problem based learning (4hrs): group discussion, simulation, and debriefing.
Sexual knowledge Yes (p=.016) 1.14
Sexual attitude Yes (p=.028) 1.10
9 Lee (2010) Group intervention: lecture based sex education by the instructor. Sex education (Two hours per 2 times a week, total 30 hours) Developed sex education was provided to the experimental group. Sexual attitude Yes (p<.001) 0.52 The sex education was composed of four sections: sexual values, essence of sexuality, sexual activities, and sexual problem. Video, discussion, presentation, check list, and reflective journal.
10 Shin et al. (2010) Group intervention: lecture based reproductive health promotion program by experts from women's health, nursing, psychology, and sexology. Reproductive health promotion program (Two hours a week, total 4 days total 8 hours)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reproductive health promotion education. Sexual knowledge Yes (p=.001) The reproductive health promotion sex education was consist of four contents: 1) meaning of sex and sexual violence, 2) characteristics of reproductive organ, contraceptive methods and venereal disease, 3) healthy relationship, and 4) intercourse, disorders of sexual function, coping of sexual disfunction and sexual minorities. Lecture, practice, role play, and discussion.
Sexual attitudes Yes (p=.017)
11 Shin et al. (2005) Group intervention: lecture based sex education by the instructor. Sex education (4 weeks, 90 minuets each)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four sessions of sex education. Knowledge of sexual transmitted diseases Yes (p<.001) 1.75 The sex eudcation program composed of four sections: 1) sex, gender, and sexuality, 2) dangerous sex, 3) for safe sex, and 4) right sex for you and me. Lecture, discussion, practice, presentation, and quiz.
Sexual autonomy Yes (p=.021) 0.76
12 Song et al. (2014) Group intervention: lecture based sex education by the instructor. The sexual autonomy enhancement program (4 weeks, 90 minuets each)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four sessions of sex education. Contraception knowledge Yes (p<.001) 0.12 Four sections of sexual autonomy enhancement program. Lecture using Power Point, discussion, practice, and Question & Answer
Contraception attitude Yes (p<.001) 0.24
Sexual autonomy Yes (p=.019) 0.13

PBL=problem-based learning.

AIDS=acquired immunodeficiency syndro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