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Uncertainty and Depression in Mothers of Hospitalized Children

입원 환아 어머니의 불확실성과 우울의 관계

Article information

J Korean Acad Soc Nurs Educ. 2013;19(2):265-272
Yoo, Kyung Hee Department of Nursing, College of Medicine, Soonchunhyang University 366-1, Ssangyong Dong, Cheon An 330-090, Korea Tel: 82-41-570-2492 Fax: 82-41-570-2498 E-mail: kyunghee@sch.ac.kr
Received 2013 April 26; Revised 2013 May 13; Accepted 2013 May 17.

Abstract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uncertainty and depression in hospitalized children's mothers. Methods: The subjects were 175 mothers of children who were hospitalized in pediatric unit. A self report questionnaires were used to measure the variables. Variables were uncertainty and depression. In data analysis, SPSSWIN 20.0 program was utiliz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Results: Reliability of instruments were found cronbach's alpha=.85~.86. Uncertainty correlated positively with depression(r=.422, p<.010).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pression according to birth order(F=6.58, p=.002), mothers' age(F=6.57, p=.002), education level(F=3.97, p=.021) and mothers' job(t=19.18, p<.001), monthly income(F=4.234, p=.006) and family type(t=7.49, p=.007). In multiple regression, uncertainty, mothers' job and family type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depression in hospitalized children's mothers explaining 30.9%. Conclusions: Uncertainty and depression were significant variables in hospitalized children's mothers. The strategy of nursing intervention which decrease depression in mothers must be developed by decreasing level of uncertainty in mothers of hospitalized children.

서 론

연구의 필요성

아동의 입원은 가족구성원 모두에게 위기감을 주어 가족의 기능을 일시적으로 마비시키거나 가족구성원 역할이나 가족 기능에 구조적인 변화를 초래하게 된다. 또한 자녀가 입원한 경우 어머니가 환아와 함께 병상 생활을 하며 환아 간호에 참여하는 것은 어머니와 환아에게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오므로 환아 간호에는 어머니의 참여가 필수적이다(Park, 2003).

자녀가 질환으로 입원을 하게 되면 어머니는 부모 역할에 대한 죄책감과 낯선 병원 환경이나 불확실한 미래 및 자녀가 당하는 고통이나 가정에 대한 책임감 등으로 인해 심한 심리적인 고통을 느끼며, 특히 환아를 돌보는 어머니는 환아 곁에 상주하면서 환아와 함께 입원 생활의 전 과정에 참여하기 때문에 환아에게 이루어지는 검사 및 처치의 경험을 통하여 우울, 불안 및 좌절감 등을 겪게 되며, 이러한 어머니의 정서는 환아에게도 직접 전달되어 환아의 회복이나 정서 안정 및 아동의 성장 발달 측면에 있어서도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Koo, 2002; Oh, 1997; Park, 2003; Wolfer & Visintainer, 1975).

불확실성은 질병 상황에 대한 설명이 정확하지 않고, 진단이 불명확하며, 치료 및 질병의 진행과정에 대한 정보의 부족 등으로 자신의 질병, 치료 및 입원이라는 사건에 대해 주관적인 판단을 형성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를 말한다(Mishel, 1981). 이러한 불확실성으로 인하여 환자 및 보호자들은 자신이 처한 상황에 대한 원인과 치료효과에 대해 잘못된 견해를 갖게 되며, 상황을 더욱 위협적인 것으로 인지하게 되어 자신의 대처 능력을 과소 평가하게 되며, 결국 환자는 자신의 질병과 관련된 사건을 스스로 통제할 수 없으며, 그 결과를 예측할 수 없다고 판단하게 되어 미래에 대한 계획을 세우지 못하고, 희망과 삶의 의미를 잃게 되어 더욱 더 심각한 우울에 빠지게 된다고 하였다(Webater & Christman, 1988).

또한 Mishel (1983)은 입원한 아동의 부모가 지각하는 불확실성에 대해서도 성인 환자와 구별하여 불확실성 이론을 제시하였는데, 즉, 아동 입원으로 인해 부모가 지각하는 불확실성은 아동의 질병이나 입원 사건에 대한 중요성을 정의할 수 없게 하거나 미래를 정확하게 예측할 수 없음으로 인하여 사건이나 상황에 대해 적절하게 대처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결국 부모는 우울이나 불안 등 부적응적인 정서상태에 이른다고 하였으며, 어떤 상황에 잘 대처할 수 있는지는 그 상황에서 불확실성을 해결할 수 있는 능력에 달려 있다고 하였다.

따라서 간호사가 입원한 환아의 부모에게 질병과 관련된 치료 경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중요한 의사결정과정을 도와주기 위한 활동은 부모의 불확실성을 감소시켜주며, 그 결과 부모들의 상황에 대한 통제력과 경험에 대한 예측력을 증가시켜주어 우울을 감소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Yoo, 1993).

이러한 불확실성 개념을 환아 어머니나 가족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한 국내외 논문들(Min, 1994; Oh, 1997; Park 등, 2000; Kim, 2001; Kim, 2003; Koo, 2002; Park, 2003)은 주로 불확실성이 불안, 대처 및 간호요구 등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다고 보고하였는데, 불확실성과 우울의 관계를 다룬 연구는 주로 만성 성인 환자인 암, 루푸스, 혈액종양 및 투석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여(Han, 2008; Kim, 2012; Lee, 2004; Lee, Ham, & Kim, 2001; Yoo, 1994; Yun, 2011), 입원 환아 어머니나 부모를 대상으로 불확실성과 우울을 다룬 연구는 국외에서 1편(Shannon & Lee, 2008)밖에 없어, 성인 만성 환자와 달리 자녀가 입원한 상태에서 어머니가 지각하는 우울에의 관련 요인이나 선행 요인을 설명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입원 환아 어머니를 대상으로 불확실성과 우울의 정도를 살펴보고, 두 변수간의 상관관계 및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찾아내어 입원 환아 어머니의 우울을 감소시키기 위해 간호사가 환아 어머니에게 정보를 제공하며 상담 및 교육을 수행하는 역할을 모색해보고, 입원 환아 어머니의 우울 중재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입원 아동 어머니를 대상으로 불확실성과 우울 정도 및 환아와 어머니의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우울의 차이를 알아보고, 관련 변수들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며, 입원 환아 어머니의 우울에 영향을 주는 변수들의 영향을 규명함으로써, 입원 환아 어머니의 우울 감소를 위해 간호사의 정보제공, 상담 및 교육적 역할을 모색해보며, 우울 중재프로그램 개발에 기틀을 제공하고자 하며,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

• 입원 환아 어머니가 지각하는 불확실성과 우울 정도를 파악한다.

• 입원 환아 및 어머니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우울의 차이를 파악한다.

• 입원 환아 어머니가 지각하는 불확실성과 우울 및 관련 변수들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한다.

• 입원 환아 어머니가 지각하는 우울에 영향을 주는 변수들을 파악한다.

용어 정의

● 불확실성

• 이론적 정의 : 불확실성은 질병과 관련된 상황의 의미를 정확히 판단할 수 없다고 느끼는 지각이다(Mishel, 1981).

• 조작적 정의 : Mishel (1983)이 입원한 환아의 부모를 대상으로 개발한 PPUS(Parents' Perception of Uncertainty Scale)의 도구를 수정하여 총 27문항으로 측정한 점수를 말한다.

● 우울

• 이론적 정의 : 자기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의 결과를 의미한 것으로, 근심, 침울함, 실패감, 무력감 및 무가치함을 나타내는 정서 장애를 의미한다(Battle, 1978).

• 조작적 정의 : Radloff (1977)에 의해 개발된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Depressed Mood Scale(CES-D)도구로 측정한 점수를 말한다.

연구 방법

연구 설계

본 연구는 소아과에 입원한 환아 어머니를 대상으로 환아 질환에 대한 불확실성과 우울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고,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 변수들의 영향을 파악하는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연구 대상자

본 연구의 대상자는 P시 및 C시에 소재한 대학병원 소아과에 입원한 환아 어머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본 연구의 취지와 목적을 어머니에게 설명한 후 스스로 참여를 허락한 어머니 180명에게 서면동의서를 받고, 설문지를 주어 응답하게 한 후 설문지를 수거하였다.

연구 도구

● 불확실성

소아과에 입원한 환아 어머니가 지각하는 불확실성 측정은 Mishel(1983)이 개발한 PPUS(Parents' Perception of Uncertainty Scale)을 사용하였으며, 이 도구는 입원한 환아의 질환과 관련한 부모의 불확실성의 지각정도를 측정하며, 본 자료수집 전에 사전 조사하여 응답자가 이해하기 어려워하는 문항은 수정 및 삭제하여 총 27문항을 사용하였으며 각 문항 당 4점 평정 척도로 구성되어 있다. 각 문항의 점수 범위는 1점∼4점으로 도구의 점수는 최소 27점에서 최고 108점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불확실성이 높다. 본 연구에서의 Cronbach's α=.85였다.

● 우울

울은 환자의 정서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으로서, Radloff (1977)에 의해 개발된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Depressed Mood Scale(CES-D)도구로 측정하였다. 이 도구는 우울의 증상에 대한 역학적인 조사에 사용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되었으며, 지난 한 주일동안에 나타난 증상의 빈도를 질문하여 현재의 우울 상태를 파악하고 총 2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문항 당 점수의 범위는 1점 - 4점이고 점수가 많을수록 우울 정도가 심하다. 이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다양한 환경이나 모집단을 이용하여 연구한 결과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가 높다고 보고되었다(Craig와 Van Natta, 1976; Lee 등, 2002; Lee, 2006). 본 연구에서의 신뢰도는 Cronbach's α=.86이었다.

자료 수집 방법

자료수집기간은 2012년 1월 5일부터 3월 20일까지로, 소아과에 입원한 환아 어머니에게 연구의 목적과 취지를 설명하고 연구에의 참여를 허락한 어머니에게 서면 동의를 받은 후 설문지를 배부하고 바로 수거하였으며, 설문에의 응답시간은 10-15분이 소요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모두 180부였으나 응답 누락이 있는 설문지 5부를 제외하고 총 175부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 분석 방법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을 위하여 SPSSWIN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로 분석하였으며, 환아 어머니가 지각하는 불확실성과 우울 정도는 평균, 표준편차 분석, 환아와 어머니의 특성에 따른 우울 정도의 차이 검정은 t 검정 및 ANOVA와 Scheffe로 분석, 연구변수들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어머니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은 multiple regression을 이용하였으며 이때 독립변수의 처리방식은 단순입력방식(enter)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

입원한 환아 및 어머니의 특성

본 연구의 대상자 중 소아과에 입원한 환아 특성으로 성별은 여아보다 남아가 많아 64%를 차지하였고, 연령은 영아가 가장 많아 39.4%, 그 다음이 유아로 32.6%였으며, 학령전기, 학령기 및 청소년기 아동의 순이었고, 환아의 평균 연령(개월수)은 30.06개월이었다. 또한 출생 순위는 첫째가 가장 많아 46.9%였고, 그 다음이 둘째로 43.4%였다. 입원한 환아 질환 종류는 호흡기계질환이 가장 많았고, 위장관계, 열성질환, 비뇨기계와 신경계 등의 순이었다.

환아 어머니의 특성으로 학력은 고졸이 가장 많아 56.0%를 차지하였고, 대졸, 대학원졸 등의 순이었고, 종교는 기독교가 가장 많았다. 또한 가족 월수입은 100만원과 200만원사이와 200만원과 300만원사이라고 응답한 경우가 각각 36.0%였다. 어머니의 73.7%가 미취업인이었고, 연령은 30대가 가장 많아 62.9%였으며, 가족 형태는 핵가족이 88.0%였다(Table 1).

Characteristics of hospitalized children & their mother (N=175)

어머니가 지각하는 환아 질환에 대한 불확실성과 우울 정도

어머니가 지각하는 환아 질환에 대한 불확실성 점수 범위는 31점에서 84점으로 평균 점수는 53점이었으며 불확실성 측정도구의 만점인 108점에 대하여 49.0%를 차지하였다.

또한 어머니의 우울 점수 범위는 24점에서 73점으로 평균 점수는 45.35점이었으며 우울 측정도구의 만점인 80점에 대하여 56.6%를 차지하였다(Table 2).

Means for uncertainty and depression of children's mothers

환아 및 어머니 특성에 따른 어머니의 우울 정도의 차이 검정

소아과에 입원한 환아 특성과 환아 어머니의 특성에 따라 환아 어머니의 우울 정도에 차이가 있는 지를 검정한 결과는 <Table 3>과 같았다. 즉, 환아 어머니의 우울 정도는 환아 출생순위(F=6.58, p=.002)와 어머니의 연령(F=6.57, p=.002)과 어머니의 학력(F=3.97, p=.021), 가족 월수입(F=4.23, p=.006), 어머니 직업 유무(t=19.18, p=.000) 및 가족 형태(t=7.49, p=.007) 등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 외 환아 연령, 입원기간 및 환아 성별 등과 어머니 종교 등에 따라서는 어머니의 우울 정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Depression according to children and their mother's characteristics

연구 변수들간의 상관관계

본 연구에서 소아과에 입원한 환아 어머니가 지각하는 우울과 관련 변수들과의 상관관계는 <Table 4>와 같았다. 환아 어머니가 지각하는 우울은 불확실성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r=.422, p<.010), 환아의 출생순위(r=-.272, p<.010), 어머니 연령(r=-.208, p<.010)과 학력(r=-.164, p<.050) 및 가족 월수입(r=-.190, p<.010) 등과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Table 4).

Correlation among variables

입원 환아 어머니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본 연구에서 어머니들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Table 5>와 같았다. 입원 환아 어머니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어머니의 우울과 유의한 관계를 보였던 변수들을 독립변수로 투입하여 multiple regression을 한 결과, 어머니의 불확실성(β=.351, p<.001), 가족형태(β=-.156, p=.020) 및 어머니의 직업 유무(β=.158, p=.026) 등이 어머니가 지각하는 우울을 유의하게 예측하였으며, 이들 독립변수들의 건강증진생활양식에 대한 총 설명력은 30.9%였다.

Influencing factors on depression of children's mothers

논 의

본 연구에서 입원 환아 어머니의 우울 정도는 도구 만점인 80점에 대하여 56.6%를 차지하였는데 이는 Song (2006)의 혈우병 환아 어머니의 우울이 전체 도구의 53.2%를 차지한 결과와 Lee (2006)의 뇌성마비 아동 어머니의 우울이 36.25%를 차지한 결과보다 높았고, 그 외 Lee 등(2001)의 연구에서 암환자의 우울 정도가 도구의 25.0%를 차지한 결과와 Yoo (1993)의 요통, 위궤양 및 폐결핵 등의 만성질환자 우울 정도가 도구의 54.7%를 차지한 결과보다 높았는데 이는 소아과에 입원한 환아의 질병이 대부분 갑작스런 발병이고, 본 연구 대상자의 환아 출생 순위가 첫째와 둘째인 경우가 많기 때문에 어머니의 양육 경험 부족으로 당황하기 쉽고, 심리적 부담이나 우울 등 부정적인 정서가 컸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 입원한 환아 어머니가 경험한 불확실성 정도가 도구 전체의 49%를 차지한 결과는 암 환아 어머니나 가족을 대상으로 불확실성을 조사한 연구들 즉, Koo (2002)의 연구에서는 도구의 57.7%, Park 등(2000)의 연구에서는 54.7%, Park (2003)의 연구에서 56.0%, Oh (1997)의 연구에서 59.25%, Kim (2001)의 연구에서는 58.75%, Kim (2003)의 연구에서는 54.0%, Min (1994)의 연구에서는 재발로 다시 입원하여 치료를 받는 환아 가족군에서의 불확실성 정도가 51.7% 등으로 나타나, 불확실성 도구 전체 값의 50.0%이상을 차지한 결과들과 비교해볼 때 낮은 편이었는데, 이는 본 연구에서 환아들의 약 70.3%가 기관지염 등 호흡기계 감염과 소화기계 질환인 장염의 경우로서 급성기 감염 시기가 지나면 열이 내리는 등, 증상이 호전되는 양상을 보이는 점 등이 관련된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환아 및 어머니의 일반적 특성이 우울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환아 출생순위와 어머니 연령과 학력, 가족 월수입, 가족 형태 및 어머니 직업 유무 등이었다. 즉, 어머니의 우울 정도는 입원 환아 출생 순위가 첫째인 경우 가장 컸고, 어머니의 학력과 연령이 낮을수록, 가족 월수입이 낮을수록, 핵가족인 경우와 어머니가 무직인 경우에, 어머니의 우울 정도는 유의하게 더 높았는데, 어머니의 직업 유무는 경제적인 소득과 연결된 부분으로서, 이같은 결과는 뇌성마비 환아를 집에서 돌보며 복지관을 방문하는 어머니를 대상으로 연구한 Lee (2006)는 어머니의 우울에 유의한 영향 요인이 직업 유무(p=.043)라고 하여 본 연구 결과와 일치하였고, Kim과 Park (2009)의 영유아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우울이 월평균 소득과 가족지지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소득이 낮은 경우와 가족 지지를 받지 못하는 경우에서 우울이 유의하게 높아, 본 연구 결과와 일치하여 지지되었다. 향후에도 반복 연구를 통하여 어머니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함으로써, 환아 어머니들이 경험하는 우울의 인과성을 설명하는 이론적인 근거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환아 어머니가 지각하는 환아 질환에 대한 불확실성과 우울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는데, 이는 HIV에 감염된 어머니를 대상으로 연구한 Shannon & Lee (2008)의 연구에서도 불확실성과 우울이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고 하여 지지되었다. Lee 등(2001)의 성인 암환자의 경우 불확실성과 우울의 상관관계는 r=.344(p<.010)이었으며, Yoo (2003)의 만성질환자에서는 r=.479(p<.010), Wineman (1990)이 다발성 경화증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개인이 인지한 불확실성과 우울은 직접적인 정적 관계가 있었다고 보고한 내용과 Christman 등(1988)이 심근 경색증 환자들을 대상으로 불확실성과 정서적 장애와의 관계를 연구한 결과, 심근 경색증 환자들은 퇴원 후에도 불확실성을 경험하며 불확실성을 경험할수록 정서적 장애도 많이 경험한다고 보고한 결과 등과 일치하였다. 이와같이 불확실성이 입원 환아 어머니와 성인 암 환자 및 만성질환자 등 다양한 대상자에서 우울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일관성있게 보여 준 결과를 통하여 불확실성이 우울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변수임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입원 환아 어머니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변수는 불확실성이었고, 그 외 어머니의 무직과 핵가족이 어머니의 우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왔는데, 이러한 결과는 현재까지의 선행 연구들에서는 우울에의 예측 요인을 분석한 연구가 없어서 결과를 직접 비교하기는 어렵지만, 앞으로 다양한 대상자를 통하여 반복 연구를 함으로써 연구 결과의 일관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의 결과 비교를 통하여, 소아과에 입원한 어머니의 불확실성과 우울 정도는 만성질환자나 만성 환아 어머니가 지각하는 정도보다 높아서, 임상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야 할 변수로 생각되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 중 어머니가 지각하는 불확실성은 우울에 가장 영향력 있는 요인으로서, 임상에서 간호사가 어머니에게 환아 질환에 대한 불확실성의 하부 요인인 애매함, 모호함, 불분명함 및 불예측적인 부분에서 정확한 정보 제공 및 상담과 교육을 통하여 어머니가 지각하는 우울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될 수 있다고 본다. 우울에의 예측 요인은 현재까지 이루어진 연구 편수가 적어 앞으로 급성 및 만성 질환아 어머니를 대상으로 활발한 연구를 통하여 입원 환아 어머니의 우울을 설명하는 이론적인 근거를 가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결론 및 제

본 연구는 소아과에 입원한 환아 어머니를 대상으로 불확실성과 우울 정도와 두 변수간의 상관관계 및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찾아내어 입원 환아 어머니의 우울을 감소시킬 수 있는 중재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자료수집기간은 2012년 1월 5일부터 3월 20일까지 2개 대학병원에서 기관장의 허락을 받아 연구에의 참여를 서면동의한 환아 어머니를 대상으로 자료수집하여 최종 175부를 분석하였다.

사용된 연구도구는 Mishel (1983)이 개발한 불확실성 측정도구와 우울측정을 위한 CES-D도구였으며, 도구의 신뢰도 Cronbach's α는 각각 .85와 .86이었다.

본 연구 결과, 어머니가 지각하는 환아 질환에 대한 불확실성 정도는 도구의 만점인 108점에 대하여 평균 53점이었으며, 어머니의 우울 정도는 80점 만점에 평균 45.35점이었다.

또한 환아 어머니의 우울 정도는 환아 출생순위와 어머니의 특성인 연령, 학력, 직업 유무, 가족 월수입 및 가족 형태 등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한편 소아과에 입원한 환아 어머니가 지각하는 불확실성은 어머니의 우울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r=.422, p<.010), 어머니가 지각하는 우울에의 유의한 영향 변수들은 불확실성, 직업유무 및 가족형태(핵가족, 대가족) 등이었으며, 이들의 우울 설명력은 30.9%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하여 불확실성은 소아과에 입원한 환아 어머니가 지각하는 우울에 중요한 변수로 고려되어져야 함을 알 수 있었으며, 입원한 환아에게 이루어지는 모든 검사와 치료 과정을 충분히 설명하고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환아 어머니가 지각하는 불확실성을 감소시켜주고, 궁극적으로 어머니의 우울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에, 입원 환아 어머니의 부정적인 정서인 우울을 감소시키기 위한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기반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References

1. Battle J.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Depression. Psychological Report 1978;42:745–746. 10.2466/pr0.1978.42.3.745.
2. Craig T. J, Van Natta P. A. Recognition of Depressed Affect in Hospitalized Psychiatric Patients Staff and Patient Perception. Diseases of the Nervous System 1976;37:561–566.
3. Christman N. J, McConnell E. A, Pfeiffer C, Webster K. K, Schmitt M, Ries J. Uncertainty, Coping and Distress following Myocardial Infarction: Transition from Hospital to Home. Research in Nursing & Health 1988;11:71–82. 10.1002/nur.4770110203.
4. Kim E. J. A study on the uncertainty, educational needs of mothers and the degree of nurse's educational performances perceived by mothers whose children was in hospital.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sun University. Kwangju 2003;
5. Kim H. J. Anxiety, depression and uncertainty in cancer patients participating in clinical trials of anticancer drug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012;
6. Kim M. Y, Park D. Y. Parenting Stress, Depression and Verbal Abuse of Infant's Moth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Health Nursing 2009;15(4):375–382. 10.4094/jkachn.2009.15.4.375.
7. Kim O. A study on mother's perception of uncertainty and nursing need concerning child's hospitaliz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ang 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eon 2001;
8. Koo H. Y. Uncertainty and Anxiety in Families of Hospitalized Childr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2002;8(1):67–76.
9. Lee H. J, Eo Y. S, Park N. H, Lee G-Z. Factors Discriminating Nurses' Depression among Personal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2;32(6):867–877.
10. Lee J. W. Depression and related Factors in Mothers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Journal of Korean Society Maternal Child Health 2006;10(1):69–78.
11. Lee S. Y. Uncertainty, anxiety and depression of hematology patient to isolation unit. Unpublished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Seoul 2004;
12. Lee Y. J, Ham E. M, Kim K. S. A Correlational Study on Uncertainty, Coping and Depression of Cancer Pati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1;31(2):244–256.
13. Min Y. S. A Correlational Study on Uncertainty and Coping in Families of Children with Canc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1994;24(4):529–544.
14. Mishel M. H. The Measurement of Uncertainty in Illness. Nursing Research 1981;30(5):258–263. 10.1097/00006199-198109000-00002.
15. Mishel M. H. Parent' Perception of Uncertainty concerning their Hospitalized Child. Nursing Research 1983;32(6):327–328. 10.1097/00006199-198311000-00002.
16. Oh J. A. A study on perception of uncertainty and coping effort of hospitalized children's moth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997;
17. Park K, Kam S, Hah J. O, Park K. S, Kang Y. S, Kim S. W. Uncertainty, Stress and Anxiety of Mothers about Disease of Child. Journal of Korean Society Maternal Child Health 2000;4(2):219–231.
18. Park I. S.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disease-related uncertainties in the mothers of hospitalized children and their coping strategi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ejeon University. Daejeon 2003;
19. Radloff L. S.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1977;1:385–401. 10.1177/014662167700100306.
20. Shannon M, Lee K. HIV-infected Mothers' Perceptions of Uncertainty, Stress, Depression and Social Support during HIV Viral Testing of Their Infants. Archives of Women's Mental Health 2008;11(4):259–267. 10.1007/s00737-008-0023-8.
21. Song Y. A, Kang H. S, Kim W. O. A Study of Relationship Knowledge,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of Mothers with Hemophilic Childre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06;12(2):150–155.
22. Yoo M. R. A study on the depression and uncertainty of chronic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993;
23. Yun S. J. The uncertainty and related factors in dialysis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wandong University. Gangreung 2011;
24. Webater K. K, Christman N. J. Perceived Uncertainty and Coping post Myocardial Infarction. Western Journal of Nursing Research 1988;10(4):386–400.
25. Wineman N. M. Adaptation to Multiple Sclerosis: the Role of Social Support, Functional Disability and Perceived Uncertainty. Nursing Research 1990;39(5):294–299. 10.1097/00006199-199009000-00013.
26. Wolfer J. A, Visintainer . Pediatric Surgical Patients's Stress Responses and Adjustments. Nursing Research 1975;24(4):244–248.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Table 1>

Characteristics of hospitalized children & their mother (N=175)

Subjects Characteristics Category n(%) Mean±SD
Children Sex Male 112(64.0)
Female 63(36.0)
Age(month) 1-12(Infant) 69(39.4) 30.06±32.62
13-36(Toddler) 57(32.6)
37-72(Preschooler) 33(18.9)
73-144(Schooler) 13( 7.4)
145-192(Adolescent) 3( 1.7)
Order of birth 1st 82(46.9)
2nd 76(43.4)
3rd 15( 8.6)
4th 2( 1.1)
Diagnosis Respiratory Infection 97(55.4)
Gastroenteritis 26(14.9)
Acute febrile disease 21(12.0)
Neuropathy 15( 8.6)
Nephropathy 16( 9.1)
Children's
mothers
Education level High school 98(56.0)
College 70(40.0)
College above 7( 4.0)
Religion Christian 54(30.9)
Catholic 11( 6.3)
Buddhist 36(20.6)
None 74(42.3)
Monthly income
(KRW)
≤One million 6( 3.4)
One million-Two million 63(36.0)
Two million-Three million 63(36.0)
Three millon≤ 43(24.6)
Job yes 46(26.3)
no 129(73.7)
Age (year) 21-30 55(31.4) 32.66±4.29
31-40 110(62.9)
41-50 10( 5.7)
Famly type Nuclear family 154(88.0)
Big family 21(12.0)

<Table 2>

Means for uncertainty and depression of children's mothers

Variables No. of items Range Mean±SD(Total) Mean±SD(Item)
Uncertainty 27 31-84 53.00±10.15 2.65±.50
Depression 20 24-73 45.35± 9.68 2.25±.49

<Table 3>

Depression according to children and their mother's characteristics

Characteristics Category n Mean±SD t or F
(p)
Scheffe
Order of birth 1st 82 54.13±11.13a 6.58
(.002)
a>c
2nd 76 52.67± 9.06b
3rd or above 17 49.05± 9.15c
Mother's age 21-30 55 48.84±10.42a 6.57
(.002)
a>bc
31-40 110 44.12± 8.93b
41-50 10 39.69± 8.03c
Education level High school 98 46.36± 9.33a 3.97
(.021)
a>c
College 70 44.87± 9.66b
College above 7 36.06±10.75c
Monthly income ≤One million 6 47.07± 7.29a 4.23
(.006)
bc>d
One million-Two million 63 46.31± 9.93b
Two million-Three million 63 47.23± 9.60c
Three million≤ 43 40.96± 8.57d
Mother's job Yes 46 40.24± 8.83 19.18
(.000)
No 129 47.17± 9.34
Family type Nuclear family 154 46.08± 9.57 7.49
(.007)
Big family 21 40.03± 8.99

<Table 4>

Correlation among variables

Uncertainty Depression Order of Birth Children's
age(month)
Mother's age Education
level
Depression .422**
Order of Birth -.133* -.272**
Children's age(month) .106 .121 -.206
Mother's age -.083 -.208** .342** .383**
Education level -.007 -.164* .070 -.025 .174*
Monthly Income -.157* -.190** .163* .097 .297** .142*

* p<.05 ** p<.01

<Table 5>

Influencing factors on depression of children's mothers

Variables Cumulated R2 Standardized
beta
t p
.309
Uncertainty .351 5.319 <.001
Family type -.156 -2.346 .020
Mother job .158 2.248 .026
Order of birth -.132 -1.886 .061
Mother's education level -.102 -1.518 .131
Mother's age -.069 -.964 .336
Monthly Income -.052 -.753 .4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