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Intrinsic Motivation, and e-Learning Strategies on Learning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in Blended e-Learning Environment

블렌디드 이러닝(Blended e-learning)환경에서 간호대학생의 내재동기, 이러닝 학습전략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Article information

J Korean Acad Soc Nurs Educ. 2013;19(1):16-23
Han, Ji-Young Department of Nursing Silla University San 1-1 Gwaebop-dong Sasang-gu Busan South Korea, 617-736 Tel: 82-51-999-5872 Fax: 82-51-999-5176 E-mail: hanjy@silla.ac.kr
Received 2012 August 27; Revised 2012 November 24; Accepted 2013 January 10.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intrinsic motivation and e-learning strategies on nursing students' learning satisfaction in blended e-learning environment. Method: The survey was performed with 111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who have taken community health nursing in 1 university. The data was collected by questionnaires and were analyzed with the IBM SPSS statistics 20.0,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Results: The mean score for intrinsic motivation was 3.25, for e-learning strategies, 3.56, and for learning satisfaction, 3.69.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mong intrinsic motivation, e-learning strategies, and learning satisfaction. The regression model explained 41.4% of learning satisfaction. Both intrinsic motivation and e-learning strategies were significant predictor of learning satisfaction. Conclusion: In order to improve the learners' learning achievement and learning satisfaction in blended e-learning environment, intrinsic motivation should be strengthen and e-learning strategies should be developed.

서 론

연구의 필요성

원격교육에 인터넷이 도입되면서 이러닝이 활성화되었으나, 콘텐츠 전달 위주로 운영되고 교수자와 동료 학생들 간의 상호작용이 부족하여 학습에 대한 구속성이 상대적으로 적어 학습자들의 참여율과 만족도가 떨어진다고 평가되었던 바,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 교수자나 동료 학생들과 충분히 상호작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 블렌디드 러닝이 등장하게 되었다(Shin & Woo, 2011). 블렌디드 이러닝(Blended e-learning)이란 이러닝과 면대면 수업을 혼합한 강의로서, 이러닝을 통하여 면대면 수업에서 부족한 교육활동을 활용하고, 면대면 수업을 통하여 이러닝에 부족한 교육적 유용성을 보완해 줌으로써 학습효과를 높이고자 하는 교수방법이다(Lee, 2008).

블렌디드 이러닝은 교수자 중심의 정형화된 교육에서 벗어나 학습자 중심의 자기주도적 학습을 지원할 수 있는 융통성을 제공해 줄 수 있어(Khan, 2004), 현재 많은 대학들이 블렌디드 러닝을 전략적으로 도입하는 경향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실습과 이론을 병행해야 하는 간호대학생에게 있어서 블렌디드 이러닝은 이러닝으로 반복적인 학습이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시간을 적절히 활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자기주도적 학습을 이끌어 낼 수 있으며, 면대면 수업으로 지금까지 드러난 이러닝의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어 매우 활용성이 높은 학습법이라고 생각된다.

블렌디드 이러닝에서는 학습자에 의해 주도적으로 학습이 이루어지므로 학습자의 개성, 동기, 사전경험, 학습능력 등과 같은 학습자의 개인적인 특성에 따라서 학습효과가 달라질 수 있다. 특히 이러닝은 학습과정 전반에 걸쳐 학습자 스스로 의사결정을 하도록 요구하기 때문에 고도의 자기조절 학습능력을 요구한다(Leem, 1999). 즉 이러닝 학습환경에서 학습자들은 자신들의 학습과정을 스스로 계획하여야 하며 이를 모니터하면서 성찰, 조절할 수 있어야 한다(Lin, 1994). 따라서 학습전략은 면대면 학습에서보다 온라인 학습에서 더 중요하다고 할 수 있으며, 학습자가 효과적으로 자신의 학습과정을 통제하고 규제할 수 있다면 이러닝 환경이 지닌 융통성, 개방성 그리고 폭넓은 선택의 가능성은 학습자들에게 교육적으로 많은 도움이 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Loomis, 2000; Lee, 2002).

이러닝 학습전략으로는 전통적인 면대면 학습전략인 학습스타일, 시간관리, 사회성, 목표설정, 정보추구, 자신감 입증 등을 그대로 활용하면서 다중토론전략이나 온라인 정보처리에 요구되는 전략들과 같은 학습전략들이 활용되고 있으며, 그 외에도 선택, 표현, 집단 상호작용, 정보의 조직과 관련된 영역에서 학습전략이 필요하다(Eastmond, 1993). 이러닝 학습자들은 면대면 학습 상황과 달리 온라인상에서 이루어지는 의사소통과 학습기술에 대한 적절한 준비를 갖추어야 한다(Watkins, Leigh, & Triner, 2004).

내재동기는 어떤 행동을 하게 하는 힘의 근원이 개인 내부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활동 자체가 주는 즐거움과 흥미 때문에 과제를 하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외적 요인과 상관없이 자신의 기능을 발달시키고 학습과 관련된 활동을 하려는 선천적인 성향이며, 활동에 대한 참여에서 오는 즐거움, 만족 등 활동 그 자체 때문에 어떤 활동을 하는 것과 관련된다(Kim, 2002). 내재동기가 높을수록 도전적인 과제를 선호하고 호기심이나 흥미 때문에 과제를 수행하고 과제물을 스스로 해결하려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내재동기는 학업성취와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인다(Lepper, Corpus, & Iyenga, 2005). 따라서 내재동기는 교육 목표를 성취시키는 수단인 동시에 그 자체가 하나의 교육목표이기도 하다(Kwon & Kim, 2003).

간호학에서의 블렌디드 러닝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블렌디드 러닝을 이용하여 임상실습 오리엔테이션 프로그램의 효과와 보건교육학을 블렌디드 이러닝으로 운영한 후 이러닝에 대한 학습자의 지각정도와 학습만족도를 본 연구(Han & Lee, 2010; Yi, 2008), 이러닝을 활용하여 실무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평가, 임상수행능력 향상(Kim, Kim, & Hwang, 2005; Yang, 2006)에 대한 연구들로 블렌디드 이러닝을 활용한 연구가 매우 미흡하며 특히 학습자들의 내재동기와 이러닝 학습전략이 학습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에 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 기존의 면대면 수업에 이러닝 방법을 통합한 블렌디드 이러닝을 지역사회간호학 Ⅰ·Ⅱ에 적용하여 학습자의 내재동기, 이러닝 학습전략, 학습만족도와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고 학습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규명함으로써, 앞으로의 간호학에 있어서 블렌디드 이러닝의 활용성을 검토하고 교육효과를 개선 및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블렌디드 이러닝 환경에서 지역사회간호학 Ⅰ·Ⅱ를 적용하여 학습자의 내재동기, 이러닝 학습전략 및 학습만족도를 파악하고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확인하고자 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학습자의 일반적 특성, 내재동기, 이러닝 학습전략 및 학습만족도 정도를 파악한다.

• 학습자의 내재동기, 이러닝 학습전략, 학습만족도와의 상관관계를 확인한다.

• 학습자의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한다.

용어 정의

● 내재동기

내재동기는 활동 자체의 고유한 만족감을 위해 그 활동을 하는 것을 말하며, 이는 내재적으로 동기화된 행동은 일정 형태의 강화나 보상과는 독립적으로 발생한다고 할 수 있다(Ryan & Deci, 2000). 본 연구에서는 Ryan (1982)의 ‘Intrinsic Motivation Inventory'를 수정한 Song (2008)의 도구로 측정한 점수를 의미한다.

● 이러닝 학습전략

이러닝 학습전략은 웹의 자원을 활용하여 잘 설계된 학습자 중심인 이러닝에서 학습과정 중에 일어나는 인지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정의적 측면을 모두 고려한 학습방법이다(Lee, 2002). 본 연구에서는 Lee (2002)의 도구로 측정한 점수를 의미한다.

● 학습만족도

학습만족도란 학습자 자신의 노력의 결과가 자신의 기대에 일치하는 정도라고 할 수 있으며(Keller, 1987), 본 연구에서는 Keller (1987)의 ‘The Course Interest Survey’ 중 만족도 관련 항목과 블렌디드 러닝 만족도 문항을 수정 보완한 Jung (2005)의 도구로 측정한 점수를 의미한다.

연구 방법

연구 설계

본 연구는 지역사회간호학Ⅰ·Ⅱ를 수강하는 간호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사전에 학습자들의 내재동기를 확인 후 블렌디드 이러닝으로 운영하고 학기가 끝난 시점에서 이러닝 학습전략과 학습만족도를 파악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이들 요인이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가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 및 자료 수집 방법

본 연구의 대상은 P시에 위치한 4년제 간호학과에서 2010년 2학기에 개설된 지역사회간호학 Ⅰ·Ⅱ를 수강한 간호대학생 2, 3학년을 대상으로 연구목적과 자료수집과정을 설명하고 연구수행에 대한 동의와 허락을 얻은 후 연구에 참여하기를 동의한 대상에게서 자료수집을 시도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10년 9월 1일부터 2010년 12월 20일까지였으며, 구조화된 설문지는 자기기입법을 이용하여 있는 그대로 솔직하게 답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응답을 원하지 않는 경우 언제라도 철회할 수 있음을 알리고 비밀보장을 위해 익명으로 조사되었다. 표본수는 G power 3.1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예상 대상자수는 다중회귀분석에 필요한 효과크기 .15, 유의수준 .05, 검정력 .95로 하였을 때 107명으로 제시되어 본 연구의 대상자수 111명은 필요한 표본수를 충족시켰다(Faul, Erdfelder, Lang, & Buchner, 2007).

연구 진행 방법

지역사회간호학Ⅰ·Ⅱ는 간호학 전공과목으로 지역사회간호학Ⅰ은 2학년, 지역사회간호학Ⅱ은 3학년 교과과정으로 각각 2학점에 해당된다. 먼저, 중간고사와 기말고사 기간인 2주를 제외한 13주차에 걸쳐 교과 내용을 분석하여 온라인 콘텐츠에 해당되는 내용을 선정하고 이에 대한 강의 자료를 개발하였다. 온라인 학습에 해당되는 내용들에 대해 동영상 강좌를 작성하고 이를 사이버대학 강의실에 올려 학습자가 정해진 기간에 맞추어 자기주도적인 학습을 하도록 하였다(Figure 1, Figure 2). 지역사회간호학Ⅰ은 이러닝 수업 6주, 면대면 수업 7주로 운영되었으며, 지역사회간호학Ⅱ은 이러닝 수업 5주, 면대면 수업 8주로 운영되었다.

<Figure 1>

Community health nursing Ⅰ contents

<Figure 2>

Multimedia animation lectures

연구 도구

● 내재동기

학습자의 내재동기는 Ryan (1982)의 ‘Intrinsic Motivation Inventory'를 수정한 Song (2008)의 도구를 사용하였다. 흥미/즐거움, 가치/유용성, 인지된 선택권의 세 가지 영역의 총 9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문항은 ‘전혀 그렇지 않다’ 1점에서 ‘매우 그렇다’ 5점까지 5점 Likert척도로 되어 있으며 부정적인 문항은 역산으로 처리하였다. Song (2008)의 연구에서 Cronbach' alpha는 .80 - .84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82(흥미 .83, 가치 .80, 선택권 .70)로 나타났다.

● 이러닝 학습전략

이러닝 학습전략 수준은 Lee (2002)의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자기주도전략(6문항), 표현전략(4문항), 다중토론관리전략(4문항), 사회성전략(2문항), 과부하관리전략(6문항), 정보처리전략(5문항), 비동시성관리전략(4문항), 시간관리전략(3문항), 정보해독전략(12문항), 자신감입증전략(1문항), 긍정적 태도수립전략(1문항)으로 총 48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Lee (2002)의 연구에서 Cronbach' alpha는 .90이었으며 본 연구에서도 .90으로 나타났다.

● 학습만족도

학습만족도는 Keller (1987)의 ‘The Course Interest Survey’ 중 만족도에 해당하는 7개 항목에 블렌디드 러닝 만족도의 항목을 추가하여 수정한 Jung (2005)의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총 1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문항은 ‘전혀 그렇지 않다’ 1점에서 ‘매우 그렇다’ 5점까지 5점 Likert척도로 되어 있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그 영역에 대해 높게 인지함을 의미한다. 원 도구의 Cronbach' alpha는 .75이었으며 본 연구에서는 .81이었다.

자료 분석 방법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20.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학습자들의 일반적 특성, 내재동기, 이러닝 학습전략 및 학습만족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범위 등 서술적 통계를 산출하였다. 각 변수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를 구하였으며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Multiple regression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대상자는 간호학과 2학년 54명, 3학년 57명으로 모두 111명이었으며, 이 중 5명이 남학생(4.5%)이며 106명이 여학생(95.5%)이었다. 블렌디드 수업이 처음인 학생이 24명(21.6%), 1강좌 수강 경험자가 25명(22.5%), 2강좌 수강 경험자가 45명(40.5%), 3강좌 수강 경험자가 9명(8.1%), 4강좌 수강 경험자가 8명(7.2%)으로 대부분이 이전에 블렌디드 수업이나 이러닝 수업을 받아 본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의 내재동기, 이러닝 학습전략 및 학습만족도

학습자들의 내재동기는 5점 만점에 3.25(±0.53)점으로 하부 영역에서는 가치가 가장 높았으며 흥미, 선택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닝 학습전략은 3.56(±0.38)점으로 11개의 하위영역 중 자신감입증 4.52(±0.72)점, 긍정적 태도전략 4.36(±0.81)점, 시간관리 4.33(±0.65)점 순으로 높았으며, 표현전략 2.91(±0.78)점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학습자의 학습만족도는 3.69(±0.53)점으로 나타났다<Table 1>.

Degree of intrinsic motivation, e-learning strategies, and learning satisfaction (N=111)

내재동기, 이러닝 학습전략 및 학습만족도와의 관계

변수들과의 상관관계는 <Table 2>와 같다. 내재동기, 이러닝 학습전략, 학습만족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 이러닝 학습전략과 학습만족도의 관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r=.604 p<.001).

Correlation among intrinsic motivation, e-learning strategies, and learning satisfaction (N=111)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회귀분석을 실시하기 전에 잔차의 등분산성, 정규분포성, 다중공선성(multicollinerarity)를 진단한 결과, Durbin Watson는 1.932로 2에 가까워 잔차에 대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차한계(tolerance)는 0.898로 0.1이상이었고, 분산확대인자(VIF)가 1.114로 10이상을 넘지 않아 다중공선선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인 학년과 이전의 블렌디드 학습경험을 더미처리하여 회귀분석한 결과 두 변수 모두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변수로 밝혀져 최종회귀분석에서는 내재동기와 이러닝 학습전략 두 변수를 독립변수로 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Table 3>와 같다. 분석결과 내재 동기(β=.258, t=3.35, p=.001)와 이러닝 학습전략(β=.522, t=6.78 p<.001) 모두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들 변수의 종속변수에 대한 설명력은 41.4%이었다(F=39.93, p<.001).

Influencing factor of learning satisfaction (N=111)

논 의

전통적 수업방식에 이러닝을 병행하는 블렌디드 이러닝은 이론뿐만 아니라 실습을 병행해야 하기 때문에 시간적으로 매우 제한을 받는 간호대학생에게 효율적인 교수학습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간호학 전공과목인 지역사회간호학Ⅰ·Ⅱ를 블렌디드 이러닝으로 운영하고 학습자들의 내재동기, 이러닝 학습전략 및 학습만족도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간호학에 있어서 블렌디드 이러닝의 활용성에 대해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학습자들의 내재동기는 5점 만점에 3.25점으로, 대학생을 대상으로 5점 만점에 3.15점으로 나타난 Kim & Jung (2011)의 연구결과와 유사하며, 대기업의 교육기관 수강생들을 대상으로 7점 만점에 5.33점으로 나타난 Song (2008)의 연구보다 낮았다. 또한 내재동기의 하위영역에서 가치/유용성이 가장 높고 흥미, 그리고 인지된 선택 순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Song (2008)의 연구결과와 유사하다. 하위영역 중 지각된 선택에서 점수가 낮게 나타난 것은 교과목이 전공필수과목으로 선택의 여지가 없었기 때문이라 생각되며, 개별대상자의 과목에 대한 흥미와 관심정도에 따라 내재동기는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Chu, 2010).

이러닝 학습전략은 5점 만점에 3.56점으로 이는 3.53점으로 나타난 Kim (2007)의 연구결과와 유사하다. 11개의 하위영역에서는 자신감 입증, 긍정적 태도수립, 시간관리 전략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표현전략이 가장 낮게 나타났는데 이러한 결과는 이전 선행연구에서의 결과와 유사한 결과로(Kim, 2007; Lee, 2002; Ryu, 2009), 자신감입증, 긍정적 태도수립전략은 잘 사용하고 있으나 표현전략을 잘 활용하지 않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블렌디드 이러닝을 계획할 때 이러닝 메시지 등을 통해 학습자의 능동적인 참여를 유도하여 학습자의 상호작용을 향상시켜야 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 학습만족도는 3.69점으로 3.58점으로 나타난 Jung (2005)의 연구결과보다 조금 높게 나타났으며 전반적으로 학습만족도는 높은 편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간호학에 있어서 블렌디드 수업의 활용 가능성을 보여준 것으로, 앞으로 보다 효과적인 수업을 하기 위해 다양한 방식의 블렌디드 수업이 간호학의 여러 과목에서 시도되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내재동기, 이러닝 학습전략 및 학습만족도와의 관계에서는 서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이러닝 학습전략과 학습만족도와 상관관계정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내재동기와 학습만족도와의 정적상관관계는 학습에 있어서 내재동기가 높으면 학습을 쉽게 수행하며 주의집중도와 학업성취도가 높아진다는 이전의 연구결과들을 지지하는 결과이며(Bandura, 1986; Chu, 2010; Pintrich & Schunk, 1996), 이는 궁극적으로 학업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내재동기와 학습전략와의 정적상관관계는 내재동기가 높을수록 학습전략을 적극적으로 사용함을 보여주었으며(Chu, 2010; Kim & Jung, 2011), 학습전략을 잘 활용할수록 학업성취도와 학습만족도와도 관계가 있음을 지지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Hwang & Choi, 2006).

내재동기와 이러닝 학습전략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파악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내재동기와 이러닝 학습전략 모두 유의한 예측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는 블렌디드 이러닝에서 내재동기와 이러닝 학습전략의 중요성을 제시한 결과로, 내재동기가 높을수록 이러닝 학습전략을 잘 활용할수록 학습만족도는 높아진다(Hwang & Choi, 2006; Lee, 2002; Pintrich & Schunk, 1996) 따라서 학습자들의 학습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내재동기를 강화시키고 이러닝 학습전략을 잘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개발하여야 할 것이다. 이러한 전략으로는 언제 어디서나 학습을 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 환경을 제공해 주고 다양한 형태로 통합된 학습 자료들을 학습자에게 제시해 줌으로써 학습에 관심을 증가시키고 스스로 학습계획을 세우게 함으로써 내재동기를 강화시킬 수 있으며, 콘텐츠 전달 위주로 운영되어 발생되었던 이러닝의 단점을 웹의 게시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면대면 수업으로 상호보완함으로써 학생들의 만족도를 높여줄 수 있을 것이다(Chen, Lou, & Lou, 2001).

본 연구는 간호학의 전공교과목에 있어서 블렌디드 이러닝으로 운영시 학습자의 내재동기, 이러닝 학습전략 및 학습만족도를 확인함으로써 간호교육에 있어서 블렌디드 이러닝의 활용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일개의 대학의 특정 교과목을 수강한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그 결과를 일반화하는 데 신중을 기해야 할 것이며, 추후 연구에서는 여러 대학을 대상으로 여러 교과목에 블렌디드 이러닝을 적용한 후 그에 대한 활용성을 확인해 보아야 한다. 더불어 블렌디드 이러닝을 운영하는 데 있어서 다양한 콘텐츠 개발이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전공교과목인 지역사회간호학 Ⅰ·Ⅱ에 블렌디드 이러닝을 적용하여 학습자의 내재동기와 이러닝 학습전략 및 학습만족도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내재동기와 이러닝 학습전략이 학습만족도에 어떠한 향을 미치는 지에 확인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결과 학습자들의 내재동기, 이러닝 학습전략, 학습만족도는 중간이상의 점수를 나타냈으며, 내재동기, 이러닝 학습전략 그리고 학습만족도간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내재동기가 강할수록 이러닝 학습전략을 잘 활용할수록 학습만족도가 높았다. 회귀분석결과 본 연구에서 사용된 회귀모형은 유의하였으며(F=39.93, p<.001), 내재동기(β=.260, t=3.35, p=.001)와 이러닝 학습전략(β=.511, t=6.78, p<.001)이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예측요인으로 41.4%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효과적인 수업전략으로 블렌디드 이러닝에 대한 활용 가능성을 보여준 것이라 볼 수 있으며, 적절히 활용하였을 때 보다 질적인 수업을 하는 데 큰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결과를 일반화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교과목에서 블렌디드 이러닝을 적용한 추후연구가 필요하며, 학습자들의 특성을 고려한 콘텐츠 개발이 필요하며 그 효과를 확인할 것을 제언한다.

References

1. Bandura A.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1986;
2. Chen Y, Lou H, Luo W. Distance learning technology adoption: A motivational perspective. Journal of Computer Information Systems 2001;42(2):38–43.
3. Chu H. Y. A study on the effect of english learning motivation and strategies used by college students on their learning achievement. Unpublished master's dissertation, Yeungnam University, Daegu 2010;
4. Eastmond D. V. Adult learning of distance students through computer conferenc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New York: Syracuse University 1993;
5. Faul F, Erdfelder E, Lang A. G, Buchner A. G power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 Research Methods 2007;39:175–191. 10.3758/BF03193146.
6. Han J. Y, Lee E. H. Learner`s perception and learning satisfaction on e-learning in the university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2010;13(6):69–77.
7. Hwang J. Y, Choi M. S. Learning achievement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according to learners` background variables and learning strategies in online teacher training. Journal of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2006;12(2):255–274.
8. Jung H. S. Effects of self-directedness, task values, and learning types on learner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Unpublished master's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005;
9. Keller J. M. Strategies for stimulating the motivation to learn. Performance & Instruction 1987;26(8):1–7. 10.1002/pfi.4160260802.
10. Khan B. H. e-Learning Strategies. Seoul: Seohyunsa 2004;
11. Kim A. Y. Validation of taxonomy of academic motivation based on the self-determination theory. Journal of Korean Educational Psychology Research 2002;16(4):169–187.
12. Kim H. J, Jung J. H. Relations among Teaching Factors, Student`s Interest, Enjoyment, Intrinsic Motivation, Student Learning. Journal of Korean Educational Psychology Research 2011;25(3):569–589.
13. Kim J. S, Kim M. S, Hwang S. K. Development of an e-learning education program for preventing nursing errors and adverse events of operating room nurse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05;17(5):697–708.
14. Kim M. Y. E-learning strategies affecting the levels of participation,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in the university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2007;10(4):93–102.
15. Kwon E. J, Kim S. I. The effect of achievement goals and types of feedback on intrinsic motivation and perceived competenc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2003;41(4):341–364.
16. Lee I. S. Relationships between e-learning strategies and learning achievement.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002;18(2):51–67.
17. Lee O. H. A study on achievement of blended learning and face-to face learning.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008;15(1):1–27.
18. Leem J. H. The theoretical back grounds of webbased education from the viewpoint of interaction.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1999;15(3):29–54.
19. Lepper M. R, Corpus J. H, Iyengar S. S.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al orientations in the classroom: Age differences and academic correlate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005;97(2):184–196. 10.1037/0022-0663.97.2.184.
20. Lin X. Metacognition: Implications for research in hypermedia-based learning environment.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373736 1994;
21. Loomis K. D. Learning style and asynchronous learning: Comparing the LASSI model to class performance. Journal of Asynchronous Learning Networks 2000;4(1):23–32.
22. Pintrich P. R, Schunk D. H. Motivation in Education: Theory, research, and applications.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1996;
23. Ryan R. Control and informational in the intrapersonal sphere: An extension of cognitive evaluation theor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982;43:450–461. 10.1037//0022-3514.43.3.450.
24. Ryan R. M, Deci E. L.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the facilitation of intrinsic motivation. social development, and well-being. American Psychologist 2000;55(1):68–78. 10.1037//0003-066X.55.1.68.
25. Ryu E. J. A study on background variables, learning styles and e-learning strategies of university students in e-learning environment. Unpublished master's dissertation, Sookmyung Womans University, Seoul 2009;
26. Shin Y. J, Woo A. J. The effects of a blended learning inquiry laboratory course. Journal of Yeolin Education Research 2011;19(2):121–140.
27. Song S. J. The prediction of academic achievement and participation of the e-learning course by intrinsic motivation, the level of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hievement goals. Unpublished master's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008;
28. Yang J. J. Effects of web-based multimedia contents for mechanical ventilator practice on knowledge and clinical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06;18(2):231–239.
29. Yi Y. J. Effects of a blended learning orientation program for clinical practicums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nursing Education 2008;14(1):30–37. 10.5977/JKASNE.2008.14.1.030.
30. Watkins R, Leigh D, Triner D. Assessing readiness for e - learning. Performance Improvement Quarterly 2004;17(4):66–79.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Figure 1>

Community health nursing Ⅰ contents

<Figure 2>

Multimedia animation lectures

<Table 1>

Degree of intrinsic motivation, e-learning strategies, and learning satisfaction (N=111)

Variables Mean±SD
Intrinsic motivation 3.25±0.53
Interest/ Enjoyment 3.27±0.66
Value/Usefulness 3.86±0.61
Perceived choice 2.61±0.78
e-Learning strategies 3.56±0.38
Self-direction 3.45±0.56
Expression 2.91±0.78
Multiple discussion 3.00±0.81
Sociability 2.97±0.86
Overload management 3.00±0.47
Information management 3.60±0.61
Asynchronicity management 3.02±0.75
Time management 4.33±0.65
Information interpretation 3.14±0.44
Self-efficacy 4.52±0.72
Positive attitude 4.36±0.81
Learning satisfaction 3.69±0.53

<Table 2>

Correlation among intrinsic motivation, e-learning strategies, and learning satisfaction (N=111)

Variables Intrinsic
motivation
e-Learning
strategies
Learning
satisfaction
r (p)
Intrinsic motivation 1
e-Learning strategies .319
(<.001)
1
Learning satisfaction .425
(.001)
.604
(<.001)
1

<Table 3>

Influencing factor of learning satisfaction (N=111)

Unstandard coefficients Standard coefficients t p
B SD β
Variables 0.287 0.38 0.75 .591
Intrinsic motivation 0.256 0.08 .258 3.35 .001
e-Learning strategies 0.723 0.11 .522 6.78 <.001
R2= .425, AdjR2= .414 F= 39.93 (p<.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