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 론
연구의 필요성
연구 방법
연구 설계
연구 대상
연구 도구
● 주사바늘자상
● 주사바늘자상 예방행위에 대한 지각된 유익성
● 주사바늘자상에 대한 지각된 장애성
● 주사바늘자상 예방행위에 대한 태도
● 주사바늘자상 예방행위에 대한 주관적 규범
● 주사바늘자상 예방행위에 대한 지각된 행위통제
● 주사바늘자상 예방행위 이행의도
● 주사바늘자상 예방행위 수행도
자료 수집 방법
자료 분석 방법
• SPSS 18.0 프로그램으로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서술적 통계, 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α, 연구 변수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 coefficient를 산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은 주성분 분석과 직교회전법을 이용하였다.
• 연구도구의 확인적 요인분석은 AMOS 18.0을 이용하여 요인부하량과 임계비를 검증하고 2단계 접근법(Two-step approach)에 의해 구조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 본 연구의 가설적 모형이 자료에 적합한지의 여부를 평가하기 위한 적합도 검증은 χ2 검증, χ2/df, 기초적합지수(goodness of fit index, GFI), 조정적합지수(adjusted goodness of fit index, AGFI), 근사오차평균자승의 이중근(root mean square error of approximation, RMSEA), 평균제곱잔차제곱근 (root mean-square residual, RMR), 비교적합 지수(comparative fit index, CFI), 표준적합지수(normed fit index, NFI), 비표준적합지수(non-normed fit index, NNFI)를 이용하였다.
• 연구모형의 총효과와 직접효과, 간접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모집단으로부터 무작위로 추출한 표본데이터를 대상으로 재표본추출을 통해 표준오차를 추정하는 방법인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사용하였다.
• 간호 업무상황이 바쁜집단과 보통집단으로 다른 두 집단에 대한 주사바늘자상 예방행위 수행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업무상황을 조절변수로 하는 다중집단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대상자의 제 특성
주요변인의 서술적 통계 및 다중공선성 분석
측정모형의 검증
● 확인요인분석과 신뢰성 분석
● 상관계수와 분산추출지수
<Table 1>
Descriptive Statistics of Variables
<Table 2>
Correlation Matrix Table
가설적 모형의 검증
● 가설적 모형의 적합도 검증
● 가설적 모형의 모수치 추정
● 직접효과, 간접효과, 총효과 검증
<Table 3>
Hypothetical of Standardized Regression Weights
Pathway hypothesis | Estimate | SE | CR | SMC | Result | |
---|---|---|---|---|---|---|
Behavior | ← Intention | 0.61 | 0.06 | 6.34*** | 0.66 | Accept |
←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 0.26 | 0.07 | 2.84** | Accept | ||
Intention | ← Attitude | 0.15 | 0.11 | 2.15* | 0.52 | Accept |
← Subjective norm | 0.10 | 0.09 | 1.41 | Reject | ||
←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 0.63 | 0.09 | 7.60*** | Accept | ||
Attitude | ← Perceived benefit | 0.65 | 0.06 | 9.12*** | 0.42 | Accept |
← Perceived barrier | -0.00 | 0.03 | -0.07 | Reject | ||
Subjective norm | ← Perceived benefit | 0.65 | 0.07 | 9.63*** | 0.41 | Accept |
← Perceived barrier | 0.02 | 0.04 | 0.36 | Reject | ||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
← Perceived benefit | 0.36 | 0.10 | 4.66*** | 0.16 | Accept |
← Perceived barrier | -0.10 | 0.06 | -1.34 | Reject |
<Table 4>
Direct Effect, Indirect Effect, and Total Effect in Path Model
조절효과 분석
<Table 5>
Nursing Situation according to the Effect Analysis
Pathway hypothesis |
Busy business situations |
Normal business situations |
Significance test |
|||
---|---|---|---|---|---|---|
Estimate(β) | CR | Estimate(β) | CR | CR | ||
Behavior | ← Intention | 0.71 | 5.91*** | 0.46 | 2.89** | -1.01 |
←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 0.22 | 2.03* | 0.36 | 2.16* | 0.32 | |
Intention | ← Attitude | 0.29 | 3.10** | -0.06 | -0.59 | -2.78 |
← Subjective norm | 0.01 | 0.06 | 0.18 | 1.72 | 1.01 | |
←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 0.60 | 5.69*** | 0.68 | 5.17*** | -0.95 | |
Attitude | ← Perceived benefit | 0.72 | 7.81*** | 0.54 | 4.91*** | -1.04 |
← Perceived barrier | -0.03 | -0.34 | 0.02 | 0.22 | 0.38 | |
Subjective norm | ← Perceived benefit | 0.62 | 6.98*** | 0.69 | 6.54*** | 1.39 |
← Perceived barrier | -0.01 | -0.07 | 0.07 | 0.79 | 0.65 | |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
← Perceived benefit | 0.33 | 3.09** | 0.40 | 3.43*** | 0.78 |
← Perceived barrier | -0.06 | -0.53 | -0.17 | -1.55 | -0.7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