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낙상예방교육이 입원아동 보호자의 낙상관련 지식과 예방행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Pediatric Inpatient Fall Prevention Education on Caregivers’ Fall-related Knowledge and Preventive Behaviors

Article information

J Korean Acad Soc Nurs Educ. 2017;23(4):398-408
1)Doctoral Student, Department of Nursing, Dong-A University
2)Professor, Department of Nursing, Dong-A University
Park So Yeon1), Ju Hyeon Ok2)
1)동아대학교 간호학과 박사과정생
2)동아대학교 간호학과 교수 enfanju@dau.ac.kr
Ju, Hyeon Ok Department of Nursing, College of Medicine, Dong-A University 32 Daesingongwon-ro, Seo-gu, Busan 49201, Korea. Tel: 82-51-240-2689 Fax: 82-51-240-2920 E-mail: enfanju@dau.ac.kr
Received 2017 August 07; Revised 2017 September 10; Accepted 2017 September 19.

Trans Abstract

Purpos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effect of pediatric fall prevention education with leaflets and picture books on the fall-related knowledge and preventive behaviors in caregivers of inpatient children.

Methods

This study i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design. It divided 62 caregivers of inpatient children aged 5 and under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in P general hospital located in B City.

Results

Fall related knowledge score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increased by 2 points after the intervention and the score in the comparison group was increased by 0.1 points. The difference after the intervention in fall related knowledge scores between the two group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7.67, p<.001). The fall related prevention behavior 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 increased by 9.3 points after the intervention, and the score of the comparison group increased by 2.5 points. The difference in the scores of fall related prevention behaviors between the two group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5.71, p<.001).

Conclusion

Pediatric inpatient fall prevention education using leaflets and picture books can improve caregivers' fall-related knowledge and preventive behaviors. In turn, this can reduce children's falls in pediatric wards in general hospitals.

서  론

연구의 필요성

환자안전은 의료기관이 반드시 갖추어야 할 필수 요건이다. 환자 안전사고의 주요 발생 항목 중 하나인 낙상은 넘어지거나 떨어져서 몸을 다치는 것을 의미하며, 입원 환자의 경우 낙상 발생으로 인해 손상을 입게 되면 입원기간의 연장, 통증, 장애 및 예기치 않은 치료 등과 관련된 심각한 문제를 초래하게 된다(Razmus, Wilson, Smith, & Newman, 2006). 국제의료기관 평가위원회인 The Joint Commission (2015)에 따르면 환자 안전 문제 중 낙상은 흔한 것이며, 노인이나 허약한 상태의 환자뿐 아니라 의학적 상태나 연령 등의 문제로 발생 가능하다고 하였다. 국내 의료기관 평가인증원은 의료 질 향상과 환자안전이 최우선이라는 목표를 가지고 주요 지표에 낙상 위험도 평가, 위험 환자 분류 및 예방 활동 운영 등을 평가항목으로 포함하고 있다(Lee & Shin, 2012).

Oliver, Healey와 Haines (2010)의 연구에서 미국의 의료기관 내 안전사고 중 낙상의 비율이 38%를 차지하고 있으며, The Joint Commission (2015)의 사건 발생 감시 데이터베이스에 보고된 낙상 관련 자료에 따르면 대부분의 낙상은 병원에서 발생하였으며, 낙상 환자들 중 63%가 사망하였다. 미국의 26개 어린이병원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재원일 1000일당 0.4-3.8건의 낙상이 발생하였으며(Child Health Corporation of America [CHCA] Nursing Falls Study Task Force, 2009), 국내의 한 연구에서는 1000명의 입원 환아 당 0.63-2.45건의 낙상이 발생한다(Shin, Shin, Kim, & Kim, 2005)고 보고되었다. 아동의 경우 낙상에 대한 정의가 명확하지 않고 상해를 입지 않았거나 경미한 수준의 손상을 입은 경우 보고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어 실제 발생은 더 많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Cooper & Nolt, 2007). Schaffer 등(2012)의 연구에서는 낙상한 아동의 58.5%가 손상이 있었으며, 이들 중 17%가 낙상으로 인한 이차적인 치료가 필요하였다. 낙상으로 인해 환자는 신체적 손상을 경험할 뿐 아니라, 회복 과정에서 추가적인 검사나 수술, 재활치료 등이 요구되며 이로 인해 재원기간이 연장되고, 관련된 추가비용과 시간적인 소모가 발생한다(Bergland & Wyller, 2004).

낙상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질환, 행동장애, 시력장애, 불안, 혼돈이나 섬망, 요실금 등의 내적 요인이 있으며, 부적절한 보행이나 주변 환경과 관련된 외적인 요인이 있다(Evans, Hodgkinson, Lambert, & Wood, 2001). 입원 아동의 낙상 관련 요인으로는 연령, 성별, 응급실이나 물리치료실 등의 환경 특성(Cooper & Nolt, 2007)과 정맥주사용 수액 라인, 장소를 이동하는 검사, 전신쇠약 및 과다활동(Cho, Song, & Cha, 2013) 등으로 보고되고 있다. 또한 약물의 사용, 새로운 환경, 의학적 상태 등이 병원에서의 낙상 위험을 증가시킨다(Cooper & Nolt, 2007). 국내 입원 아동을 대상으로 한 최근 연구에 따르면 낙상 발생 위험 예측 요인이 신체 발달 수준, 연령, 약물 및 신경학적 질환 순으로 나타났다(Shin, Kim, Kim, Son, & Bang, 2014).

여러 연구에서 적절한 사정과 조기 예방을 위한 교육이 낙상예방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Chung, 2013; Cooper & Nolt, 2007; Graf, 2011; Kim & Jeong, 2015) 낙상 예방을 위해서는 지식과 예방 행위를 습득하도록 교육하는 것이 중요하다. 아동은 위험 상황이나 요인에 대한 판단력이 낮고, 조절 능력이 저하되어 있어 아동의 낙상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아동을 돌보는 보호자를 대상으로 낙상 관련 위험요인에 대한 교육 및 주의가 필요하다. 특히 최근의 연구에 따르면 아동낙상관련 요인 중 가장 중요한 것은 보호자와 의료인의 주의, 관심 및 추가 교육 등이라고 하였다(Cho et al., 2013).

우리나라의 낙상 관련 연구는 대부분 노인이나 성인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Kang & Song, 2015; Shin et al., 2005), 아동과 관련된 연구는 아동 입원환자의 낙상 위험 예측 요인(Cho et al., 2013), 낙상 위험 예측 도구개발(Shin et al., 2014) 및 낙상예방교육의 효과(Park, 2011) 등 몇 편에 불과한 실정이다. 낙상 예방 프로그램을 적용한 연구로는 외국의 경우 포스터나 비디오 등 시청각 자료와 게시물 등을 이용한 연구(Chen et al., 2014; Cooper & Nolt, 2007; Silva et al., 2016) 등이 있었고, 국내에서는 입원 아동의 보호자를 대상으로 파워포인트와 동영상을 이용하여 1:1 교육을 50분 동안 시행한 연구(Park, 2011)가 한 편 시도되었다. 파워포인트와 동영상을 이용한 교육은 일회성이라는 제한점이 있으며, 반복교육을 위해서는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므로 우리나라의 바쁜 간호사들이 실제적으로 사용하기에는 현실적으로 어려운 점이 있다. 현재 국내 의료기관에서 시행하는 아동 낙상 예방교육은 입원 아동의 낙상 요인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여 성인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개발되었다. 대부분의 경우 입원 시 일괄적으로 제공하는 입원생활 안내문 리플릿 내에 그 내용이 간략하게 포함되어 있으며, 공통 환자군에 적용할 수 있는 낙상 위험요소와 낙상 예방 안전지침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아동에서 발생하는 낙상은 그 특성 및 관련 요인이 성인과 다르므로(Razmus et al., 2006) 적용하기에 적절하지 않다. 입원한 아동의 낙상 요인에 대한 최신 문헌을 바탕으로 입원 아동의 낙상 관련 특성을 반영하고, 간호사들이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아동의 경우 스스로를 돌보는 능력이 부족하므로 입원 시 부모나 가까운 친척이 주 보호자로 아동 곁에서 간호를 하게 된다. 간호사는 교육자로서 보호자에게 낙상을 예방하기 위한 교육을 제공하여 병원 내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적극적인 중재를 해야 한다. 입원 아동의 낙상 위험요인 및 낙상이 잘 발생할 수 있는 상황에 대한 교육을 통해 낙상 관련 지식을 제공하고, 낙상예방을 위한 주의사항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낙상을 예방하는 행위를 증진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입원 아동의 낙상 특성과 낙상 요인 등을 반영하여 반복적으로 이용 가능한 입원아동의 낙상예방을 위한 교육용 리플릿과 그림책을 개발하여 적용한 후 그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아동의 보호자에게 리플릿과 그림책을 이용하여 입원아동의 낙상을 예방하기 위한 교육을 실시한 후 보호자의 낙상관련 지식과 예방행위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 가설

∙ 가설 1: 아동낙상예방교육을 받은 실험군과 일상적인 입원환자교육을 받은 대조군은 입원 시와 퇴원 시의 낙상에 대한 지식 점수에서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 2: 아동 낙상예방교육을 제공받은 실험군과 일상적인 입원환자교육을 제공받은 대조군은 입원과 퇴원 시의 낙상예방 행위 점수에서 차이가 있을 것이다.

연구 방법

연구 설계

본 연구는 입원 아동의 보호자에게 아동의 낙상예방을 위한 교육용 자료로 리플릿과 그림책을 개발하여 적용한 후, 낙상 관련 지식과 예방행위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 설계에 의한 유사 실험 설계이다.

연구 대상

본 연구의 대상은 B시에 소재한 일 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 병동에 2013년 8월 15일부터 10월 15일까지 입원한 아동의 보호자였다. Cooper와 Nolt (2007)의 연구에서 입원 아동의 낙상은 영아기와 유아기에 호발하나, 5세 이상이 되면 감소하는 형태가 보인다고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연구 대상을 5세 이하의 입원아동을 돌보는 보호자로 제한하였다. 또한 한글을 읽고 쓰는 것이 가능하며, 정신질환이나 인지장애가 없어 본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실험 연구에 참여함을 서면으로 동의한 보호자로 한정하였다. 실험 처치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대조군을 먼저 표집하였으며, 대조군이 모두 퇴원하고 난 후 실험군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표본의 크기는 G*power 3.0으로 산출하였다. 표본의 효과 크기는 본 연구와 유사한 Park (2011)의 연구에서 실험군과 대조군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계산한 결과 0.8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표본 수는 독립 t-test, 양측검정, 효과크기 0.8, 유의수준 .05 그리고 검정력 0.8로 설정하여 계산한 결과 총 52명 각 군 당 26명으로 산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탈락률을 고려하여 각 군 당 31명씩 총 62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도구

● 일반적 특성

보호자의 일반적 특성은 6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연령, 성별, 아동과의 관계, 최종 학력, 직업 및 낙상예방 교육경험 등을 포함하였다. 입원아동의 일반적 특성 6문항으로 연령, 성별, 출생순위, 입원기간, 진단명과 입원경험 등으로 구성하였다.

● 낙상관련 지식

Kim (2002)이 개발한 낙상 관련 지식측정도구를 바탕으로 Park (2011)이 문헌고찰을 근거로 아동의 특성을 고려하여 수정 보완한 후 아동간호학전공 교수 2인과 아동병동 수간호사 1인으로부터 내용타당도를 검정받은 도구를 이용하였다. 낙상 관련 지식은 낙상의 정의, 위험 요인과 약물복용 등의 사항 등 총 9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렇다’, ‘아니다’로 응답하게 하였으며, 정답은 1점, 오답은 0점 처리하였다. 점수가 높을수록 지식수준이 높음을 의미한다.

● 낙상예방행위

낙상예방행위는 낙상의 위험을 줄이기 위한 행동지침을 준수하는 것으로, Kim (2008)의 연구에서 노인을 대상으로 개발한 도구를 본 연구자가 아동의 특성을 고려하여 수정한 후 소아과 병동의 수간호사, 소아과 전문의 1인, 아동간호학 교수 1인에게 검토를 받은 후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수정한 문항의 예를 들면 ‘침대 옆 탁자의 물건은 쉽게 꺼내고, 떨어지지 않도록 손이 닿기 쉬운 곳에 둔다’를 ‘아동의 관심을 끄는 물건을 침대 옆 탁자나 바닥에 두지 않는다’ 등으로 수정하였고, 그 외 각 문항의 주요 내용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조사 등을 아동의 상황에 맞게 수정하였다. 본 도구는 총 11문항의 4점 척도로 점수가 높을수록 낙상예방행위의 실천정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도구의 내적 신뢰도는 Kim (2008)의 연구에서 Cronbach's alpha=.68이었으며, 본 연구에서는 .69이었다.

입원아동의 낙상예방을 위한 교육자료 개발

입원 아동의 낙상을 예방하기 위한 교육 자료는 아동의 낙상관련 위험요인에 대한 선행연구(Cooper & Nolt, 2007; Evans et al., 2001; Schaffer et al., 2012), 한국 소비자원 보고서(Korea Consumer Agency [KCA] Repository, 2012) 및 미국 아동 건강 협의체 낙상 연구 전략팀(CHCA Nursing Falls Study Task Force, 2009)에서 제시한 소아낙상 예방전략 등을 참고로 하여 리플릿(Figure 1)과 그림책(Figure 2) 두 종류를 개발하였다. 리플릿은 총 4페이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낙상의 정의와 발생 가능한 상황, 예방 및 대처에 대한 내용을 글과 표로 간결하게 기술하였다. 그림책은 총 20페이지로 되어있으며, 구체적 내용은 Table 1과 같다. 도입부에는 낙상의 정의와 낙상 호발 연령, 아동에서 낙상 발생 상황 및 위해 현황(Evan et al., 2001; KCA Repository, 2012)을 표와 그래프를 이용하여 제시하였다. 예방부분에서는 그림과 간단한 설명을 이용하였으며, CHCA Nursing Falls Study Task Force (2009)에서 제시한 소아낙상예방전략 등을 참고로 하였다. 이에 포함된 내용으로는 아동의 연령에 따른 낙상의 위험성을 강조하고, 병실에서 침상을 이용할 때, 복도를 보행할 때 그리고 휠체어나 유모차 등의 이동 수단을 이용 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낙상에 대해 보호자가 할 수 있는 예방 행위 등이 제시되어 있다. 그림책의 마지막 부분에서는 사고 발생 시 대처 부분으로 병원에서 아동이 낙상을 한 경우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에 대한 내용을 그림과 설명으로 제시하였다.

Figure 1.

Examples of Reflet on Inpatient Pediatric Fall Education.

Figure 2.

Examples of Picture Book on Inpatient Pediatric Fall Education.

Contents of Inpatient Pediatric Fall Prevention Program

그림책과 리플릿은 내용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간호학 전공 교수 1인, 소아과 병동 수간호사 1인, 소아과 병동 근무 경험이 5년 이상인 간호사 2인,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1인에게 검증을 받았으며, 국문학 전공자 1인에게 가독 용이성과 전체적인 구성에 대한 검증을 받았다.

실험 처치

연구에 앞서 병동 내에서 입원 업무를 주로 담당하는 간호사 3인을 연구 보조원으로 참여시켰다. 연구 보조원은 연구 기간 동안 환자의 입원 업무를 담당하도록 배정하였다. 연구 보조원의 소아병동 근무경력은 평균 3년이었으며 연구기간 동안 보조원들이 대상자에게 교육 프로그램을 동일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2회에 걸쳐 입원 아동 낙상 발생에 대한 교육을 시행하였고, 시범교육을 실시한 후 상호 의견 교환을 통해 교육내용 및 방법의 수준을 통일시켰다. 교육내용 및 방법에 대한 체크리스트를 만들어 입원 아동 보호자 3명을 대상으로 모의 교육을 실시하여 연구 보조원 간의 교육내용 일치 여부를 확인하여 동질 한 내용의 교육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하였다. 모의 교육에 참여한 보호자는 본 연구에서 제외하였으며 해당 아동이 퇴원한 후 본 연구를 시작하였다.

입원아동 낙상예방 교육은 연구자가 개발한 교육 자료인 리플릿(Figure 1)과 그림책(Figure 2)을 이용하여 낙상관련 지식, 병원에서 발생하기 쉬운 아동의 낙상 사례 및 예방행위와 낙상 발생 시 대처 등에 대한 내용을 아동의 보호자에게 제공하는 것이다. 사전조사를 실시 한 후 연구 보조원이 본 연구를 위해 개발한 그림책과 리플릿을 제공하며 내용을 구두로 설명하였다. 먼저 그림책을 보면서 낙상의 정의, 원인, 발생현황, 낙상이 발생하는 상황 및 예방행위 등을 천천히 설명하였고, 중간 중간 질문과 대답을 병행하였다. 리플릿을 이용해서 한 번 더 중요한 사항을 점검하였다. 교육이 소요된 시간은 10분 정도였으며, 그림책은 병실 내 텔레비전 옆 선반과 간호사실 옆 책장에 비치하여 접근성이 용이하도록 하였고, 리플릿은 언제든지 볼 수 있도록 침상 곁에 비치하였다. 최소 2회 이상 리플릿을 반복해서 학습하도록 권장하였고, 사후 조사 전에 한 번 더 확인하였다.

자료 수집 기간 및 방법

자료 수집은 2013년 8월 15일부터 2013년 10월 15일까지 B시에 소재한 일 대학교병원 소아 병동에서 진행하였다. 자료 수집에 앞서 조사기관 임상시험센터 연구윤리심의위원회(IRB)의 승인(E-2013052)과 간호부의 승인을 받았다. 연구 대상자에게 연구의 목적, 방법 및 절차를 설명하고 연구 진행과정에서 원하면 언제든지 중단이나 거부할 수 있으며, 중단하더라도 불이익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점을 설명하였다. 연구 대상자에게 서면 동의서를 받고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대조군의 자료수집이 끝난 후에 실험군에게 사전조사, 실험처치 및 사후조사 순으로 실시하였다. 모든 설문지는 비치지 않는 종이봉투 안에 넣어 회수하였다.

● 대조군 자료수집

대조군은 2013년 8월 15일부터 2013년 9월 15일까지 입원한 아동의 보호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의 목적, 방법 및 절차에 대해 설명한 후 연구에 동의한 자에게 입원 1시간 이내 일반적 특성과 낙상관련 지식과 예방행위에 대한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설문 작성이 끝난 후 연구 보조원이 입원 환자의 낙상 예방 지침이 포함되어있는 입원생활 안내문과 병원 내 환자안전 표준 지침 부착물을 제공하고 내용을 구두로 설명하였다. 사후 조사는 퇴원하기 전날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고 바로 회수하였다.

● 실험군 자료수집

실험의 확산을 막기 위하여 2013년 9월 15일 이전에 입원한 환자가 모두 퇴원하고 난후 2013년 9월 20일부터 2013년 10월 15일까지 실험군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 하였다. 연구에 동의한 실험군에게 입원 1시간 이내 일반적 특성과 낙상관련 지식과 예방행위에 대한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사전조사가 끝난 후 실험처치를 하였고, 사후 조사는 퇴원하기 전날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고 바로 회수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 백분율, 평균 및 표준편차로 산출하였다. 두 군 간의 동질성 검증은 χ2-test와 t-test를 이용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낙상관련 지식과 낙상 예방행위의 차이는 두 집단 간 낙상관련 지식점수가 동질하지 않아 전후 차이점수를 이용한 독립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군과 대조군의 동질성 검정

대상자와 아동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실험군과 대조군의 동질성 검정 결과는 Table 2와 같다. 낙상관련 교육을 받은 경험은 실험군의 경우 29.0%, 대조군의 경우 54.8%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χ2=4.20, p=.050). 그 밖의 일반적 특성 변수는 두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아동의 평균 연령은 실험군 2.0±1.48세, 대조군 2.1±1.46세 이었으며, 주 양육자는 어머니였다. 아동의 입원기간은 두 군 모두 평균 4일 이었으며, 호흡기계 질환으로 입원한 아동이 가장 많았다. 종속변수의 동질성 검정 결과 낙상예방행위 점수는 두 군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낙상관련 지식은 대조군의 점수(5.00±1.63)가 실험군의 점수(4.10±1.38)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나(t=-3.05, p=.048) 두 집단의 사전 동질성을 확보하지는 못하였다(Table 3).

Homogeneity Test of General Characteristics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N=62)

Homogeneity Test of Independent Variables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N=62)

아동낙상예방교육 효과 검증

가설 1 ‘아동낙상예방교육을 받은 실험군과 일상적인 입원환자교육을 받은 대조군은 입원 시와 퇴원 시의 낙상에 대한 지식 점수에서 차이가 있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낙상관련 지식의 사전점수가 동질성이 확보되지 않아 집단 간 중재 전후의 차이 값을 이용한 t-test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험군의 낙상에 대한 사전 지식 점수는 4.10±1.38점, 사후 점수는 6.10±1.35점으로 전후 차이는 2.00±2.00점이었다. 반면 대조군의 사전점수는 5.00±1.63, 사후점수는 5.10±1.50점으로 전후 차이는 0.10±0.54점이었다. 실험군의 지식점수는 중재 후 약 2점 증가한 반면 대조군의 점수는 전후 차이가 없었으며, 두 집단 간 전후 점수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t=7.67, p<.001)(Table 4).

Knowledge and Prevention Behavior Related to Inpatient Fall Prevention between the Two Groups

(N=62)

가설 2 ‘아동낙상예방교육을 제공받은 실험군과 일상적인 입원환자교육을 제공받은 대조군은 입원 시와 퇴원 시의 낙상예방행위 점수에서 차이가 있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 실험군의 낙상예방행위 점수는 28.10±5.48점, 사후 점수는 37.40±2.96점으로 전후 차이는 9.30±6.06점이었다. 반면 대조군의 사전점수는 30.70±6.06점, 사후점수는 33.20±4.86점으로 전후 차이는 2.50±3.53점이었다. 실험군의 점수는 중재 후 약 9.3점정도 상승하였고, 대조군의 점수는 2.5점 상승하여 두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5.71, p<.001)(Table 4).

논  의

아동은 성인과 달리 발달 과정상의 미숙함으로 인해 낙상이 흔히 발생하게 된다. 특히 병원에 입원한 아동은 질병으로 인한 신체적 변화뿐만 아니라 환경적 변화를 경험하게 되어 낙상 발생의 위험이 크다. 낙상은 예방이 가장 중요한 간호가 된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주로 노인을 위한 낙상예방프로그램은 많이 개발되어 있으나 아동의 낙상에 대한 관심이 부족하여 아동낙상예방 프로그램은 드문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5세 이하 아동을 둔 보호자를 대상으로 아동낙상예방교육을 적용하여 아동낙상관련 지식과 예방행위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 책자 개발 당시 국내 관련 문헌이 부족하여 외국의 입원아동 낙상관련 요인에 대한 문헌을 기초로 하여 낙상예방교육을 위한 리플릿과 그림책을 제작하였다. 리플릿은 침상 곁에 두고 보호자가 반복적으로 확인하기 위한 것이며, 그림책은 보호자와 아동 모두에게 이해도를 증진시키기 위해 제작하였다. 외국의 경우 여러 가지 다양한 입원아동낙상예방 프로그램이 개발되었다. 교육용 카드나 포스터(Tung, Liu, Yang, Syu, & Wu, 2009)를 이용하거나 30분 정도 분량의 동영상을 제공(Silva et al., 2016)하거나 웹베이스를 이용(Chow et al., 2016)하는 등의 방법이 사용되었다. 국내에서는 입원 아동의 보호자를 대상으로 낙상 사례를 제시하는 교육을 파워포인트와 동영상을 이용하여 1:1로 3차례 50분 동안 시행한 연구(Park, 2011)가 한 편 시도되었다. Kim (2008)은 낙상 예방연구에서 반복 교육의 필요성을 시사하였으며, 국외 연구에서도 입원 아동 낙상예방을 위해 아동 뿐 아니라 보호자에게 장기간 정보를 제공하고 의사소통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였다(Bagnasco, Sobrero, Sperlinga, Tibaldi, & Sasso, 2010; Silva et al., 2006). 그러나 파워포인트나 동영상을 이용한 교육은 일시적이며, 여러 차례의 반복 교육은 한국의 바쁜 임상현장에서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국내의 경우 입원아동 낙상에 대한 정보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은 실정이고(Cho et al., 2013), 대부분의 병원이 성인용 낙상위험 예측 평가도구를 사용하거나, 아예 낙상 위험예측평가를 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Shin et al., 2014). 입원환자 교육 시에는 성인 아동 구분 없이 미끄럼 방지 및 침대 난간 올리기 등의 내용만 간략하게 포함하고 있는 현 실정에서, 입원아동의 발달 과정상의 특성을 고려하여 반복적으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낙상예방 교육용 그림책과 리플릿을 개발한 것에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교육 책자와 리플릿을 이용하여 낙상예방교육을 제공받은 실험군의 낙상관련 지식은 4.10(±1.38)점에서 6.10(±1.35)점으로 증가하였다. 그러나 낙상예방이 포함된 일상적인 입원환자교육을 제공받은 대조군의 낙상관련지식은 0.10(±0.54)점 증가하여 현재의 일상적인 입원환자교육이 입원아동 보호자의 낙상관련 지식에 기여하는 정도는 낮다고 볼 수 있다. 대조군의 낙상관련 사전 점수가 실험군에 비해 다소 높았던 점은 있었으나, 사후 점수 역시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높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 개발한 교육프로그램이 일상적인 낙상예방교육보다 보호자의 낙상관련지식을 향상시키는데 더 효과적이었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입원아동 낙상예방교육을 위한 리플릿 및 그림책은 소아에서 낙상이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을 그림과 도표를 이용해 설명함으로써 보호자들이 쉽게 받아들일 수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와 같은 도구로 측정한 Park (2011)의 연구에서도 파워포인트와 동영상을 이용한 반복 교육이 아동 부모의 낙상 관련 지식을 증가시켰다. Lee, Yip, Goh, Chiam과 Ng (2013)은 보호자가 상주하는 병원 시스템인 싱가포르의 한 소아과 병동에서 포스터를 이용하여 보호자에게 입원아동 낙상예방교육을 실시한 결과 보호자의 낙상예방관련 지식 및 인식이 증가하였다. Silva 등(2016)은 부모나 보호자의 정보 부족 및 부주의는 아동의 사고빈도를 증가시켜 손상을 초래하기 때문에 이들의 아동에 대한 관찰 및 주의집중이 매우 중요하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책자와 리플릿을 이용한 낙상예방교육을 제공받은 실험군의 낙상예방행위점수는 28.10(±5.48)점에서 37.40(±2.96)점으로 9.30(±6.06)점 증가하였으며, 대조군의 점수는 30.70(±6.06)점에서 33.20(±4.86)점으로 2.50(±3.53)점 증가하였다. 파워포인트와 동영상을 이용하여 낙상사례별 교육을 실시한 Park (2011)에서도 실험군의 낙상예방행위점수가 대조군의 점수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Shin 등(2014)의 연구에서 2006년부터 2009년까지 3년 8개월 동안 일 어린이 병원의 낙상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보호자가 옆에 있었던 경우에도 낙상 발생률이 82.2%였고, 보호자가 아동과 함께 있더라도 주시하지 않아 낙상한 경우가 약 71%에 이른다고 하였다. 따라서 현재 입원 시 모든 대상자에게 실시되고 있는 침대 난간 올리기, 병실에 있는 물건 치우기 등의 내용을 통한 낙상예방교육의 효과를 재고해 보아야 하며, 낙상이 발생한 상황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였다(Shin et al., 2014). 본 연구는 소아과 병동에서 낙상이 발생하는 실제 상황을 그림으로 제시하면서 교육을 함으로써 보호자들이 낙상의 위험상황과 심각성을 인지하여 낙상예방행위에 더 신경을 쓰게 되고 실천하게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Chung (2013)의 연구에서 낙상관련 지식은 낙상예방행위와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다고 하였고, Lee 등(2013)의 연구에서는 포스터를 이용한 낙상예방교육 후 3세 이하 아동의 낙상 발생 빈도를 50% 감소시켰다고 하였다. Tung 등(2009)은 대만의 일 병원 소아 응급실에서 보호자 교육이 포함된 아동낙상예방 프로그램을 시행한 결과, 시행 전 1년 간 낙상 건수는 15건, 시행 당해 낙상 건수는 3건이었고, 그 다음 해에는 낙상 건수가 0건으로 나타나, 아동낙상예방을 위해서는 아동을 돌보는 보호자 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하며, 일회성 단순 교육이 아니라 사고 발생 상황에 대한 자세한 안내 및 반복 교육을 위한 포스터나 리플릿 등의 교육 자료가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Joint Commission (2015)에서는 낙상예방교육이 침상 바로 옆에서 반복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이야기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교육 자료를 간호사가 1회 제공하고 난 후 보호자가 쉽게 접근 할 수 있는 곳에서 언제든지 이용할 수 있게 리플렛을 비치하여 반복적인 교육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입원아동 낙상에 대한 연구가 드문 국내 상황에서 아동의 낙상위험요인을 고려하고, 간호사의 업무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낙상예방교육용 책자와 리플릿을 개발한 것에는 의의가 있으나 다음과 같은 제한점이 있다. 본 연구의 교육용 자료를 개발할 당시에 국내 입원아동 낙상위험요인에 대한 연구가 없어 외국의 문헌을 중심으로 검토하였으므로, 국내 입원아동의 낙상관련 위험요인을 교육프로그램에 제대로 반영하였다고 보기 어렵다.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입원아동의 낙상위험요인을 고려하고, 간호사의 업무 효율성 향상에 기여하고자 입원아동 보호자를 위한 아동낙상예방 교육용 리플릿과 그림책을 개발하여 적용한 후, 낙상관련 지식과 예방행위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B시에 소재한 일 대학교병원 소아과 병동에 입원한 5세 이하 아동의 보호자였으며, 대조군에게는 기존의 병동에서 사용하는 낙상예방교육이 포함된 일상적인 입원환자교육을 수행하였고, 실험군에게는 본 연구에서 개발한 리플릿과 그림책을 이용하여 아동낙상예방교육을 수행하였다.

리플릿과 그림책을 이용한 입원아동 낙상예방교육을 실시한 후 실험군의 낙상관련지식과 낙상예방행위가 대조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기존의 일상적이고 아동의 낙상위험요인을 고려하지 않은 교육에 비해 본 연구에서 개발한 낙상예방 교육용 리플릿과 그림책을 활용한 교육중재가 낙상관련지식 및 낙상예방행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 국내 입원아동 보호자에게 적용한 그림책과 리플릿이 낙상관련 지식과 예방행위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간호사들이 바쁜 업무로 인해 반복적인 교육을 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아동을 돌보는 보호자들이 반복적으로 자가학습을 하는 것은 아동의 낙상예방에 기여할 것으로 생각되므로 병원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할 것을 권장 한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입원아동의 낙상위험요인을 고려한 다양한 형태의 교육 자료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국내 병원 환경에서의 아동 낙상위험요인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야 한다.

Acknowledgements

본 연구는 2013년 부산대학교병원 간호부 연구비 지원에 의해 수행되었음.

This study was supported by research funds from the Department of Nursing,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in 2013.

References

1.

Bagnasco, A., Sobrero, M., Sperlinga, L., Tibaldi, L., & Sasso, L. (2010). Accidental falls in hospitalized children: An analysis of the vulnerabilities linked to the presence of caregivers.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Hygiene, 51(2), 92-96.

Bagnasco A., Sobrero M., Sperlinga L., Tibaldi L., et al, Sasso L.. 2010;Accidental falls in hospitalized children: An analysis of the vulnerabilities linked to the presence of caregivers.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Hygiene 51(2):92–96.
2.

Bergland, A., & Wyller, T. B. (2004). Risk factors for serious fall related injury in elderly women living at home. Injury Prevention, 10(5), 308-313.

. Bergland A., et al, Wyller T. B.. 2004;Risk factors for serious fall related injury in elderly women living at home. Injury Prevention 10(5):308–313. 10.1136/ip.2003.004721.
3.

Chen, X., Yang, J., Peek-Asa, C., Chen, K., Liu, X., & Li, L. (2014). Hospital-based program to increase child safety restraint use among birthing mothers in China. PloS one, 9(8), e105100.

. Chen X., Yang J., Peek-Asa C., Chen K., Liu X., et al, Li L.. 2014;Hospital-based program to increase child safety restraint use among birthing mothers in China. PloS one 9(8)e105100. 10.1371/journal.pone.0105100.
4.

Child Health Corporation of America Nursing Falls Study Task Force. (2009). Pediatric falls: State of the science. Pediatric Nursing, 35(4), 227-231.

Child Health Corporation of America Nursing Falls Study Task Force. 2009;Pediatric falls: State of the science. Pediatric Nursing 35(4):227–231.
5.

Cho, M. S., Song, M. R,. & Cha, S. K. (2013). Risk factors for pediatric inpatient fal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3(5), 595-604.

Cho M. S., Song M. R., et al, Cha S. K.. 2013;Risk factors for pediatric inpatient fal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3(5):595–604. 10.4040/jkan.2013.43.5.595.
6.

Chow, C. B., Wong, W. H. S., Leung, W. C., Tang, M. H. Y., Chan, K. L., Or, C. K., et al. (2016). Effectiveness of a technology-based injury prevention program for enhancing mothers’ knowledge of child safety: Protocol for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MIR Research Protocols, 5(4), e205.

. Chow C. B., Wong W. H. S., Leung W. C., Tang M. H. Y., Chan K. L., Or C. K.. et al 2016;Effectiveness of a technology-based injury prevention program for enhancing mothers’ knowledge of child safety: Protocol for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MIR Research Protocols 5(4)e205. 10.2196/resprot.6216.
7.

Chung, M. S. (2013). The effects of fall prevention education on the fall-related knowledge and prevention activity of the elderly hospitalized in internal medicine department.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20(2), 102-111.

Chung M. S.. 2013;The effects of fall prevention education on the fall-related knowledge and prevention activity of the elderly hospitalized in internal medicine department.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20(2):102–111. 10.5953/jmjh.2013.20.2.102.
8.

Cooper, C. L., & Nolt, J. D. (2007). Development of an evidence‐based pediatric fall prevention program. Journal of Nursing Care Quality, 22(2), 107-112.

Cooper C. L., et al, Nolt J. D.. 2007;Development of an evidence‐based pediatric fall prevention program. Journal of Nursing Care Quality 22(2):107–112. 10.1097/01.ncq.0000263098.83439.8c.
9.

Evans, D., Hodgkinson, B., Lambert, L., & Wood, J. (2001). Falls risk factors in the hospital setting: A Systematic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Practice, 7(1), 38-45.

. Evans D., Hodgkinson B., Lambert L., et al, Wood J.. 2001;Falls risk factors in the hospital setting: A Systematic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Practice 7(1):38–45. 10.1046/j.1440-172x.2001.00269.x.
10.

Graf, E. (2011). Magnet children's hospitals: Leading knowledge development and quality standards for inpatient pediatric fall prevention programs. Journal of Pediatric Nursing, 26(2), 122-127.

. Graf E.. 2011;Magnet children's hospitals: Leading knowledge development and quality standards for inpatient pediatric fall prevention programs. Journal of Pediatric Nursing 26(2):122–127. 10.1016/j.pedn.2010.12.007.
11.

Kang, Y. O., & Song, R. (2015). Identifying characteristics of fall episodes and fall-related risks of hospitalized patients.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22(3), 149-159.

Kang Y. O., et al, Song R.. 2015;Identifying characteristics of fall episodes and fall-related risks of hospitalized patients.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22(3):149–159. 10.5953/jmjh.2015.22.3.149.
12.

Kim, C. G. (2002). An analysis of fall incidence rate and its related factors of fall in in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im C. G.. 2002. An analysis of fall incidence rate and its related factors of fall in inpatients et al.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3.

Kim, M. Y. (2008). Fall-related knowledge and prevention behavior among hospitalized elderly in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eimyung University, Taegu.

Kim M. Y.. 2008. Fall-related knowledge and prevention behavior among hospitalized elderly inpatients et al. Keimyung University; Taegu:
14.

Kim, Y. L., & Jeong, S. H. (2015). Effects of nursing interventions for fall prevention in hospitalized patients: A meta-analysi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5(4), 469-482.

. Kim Y. L., et al, Jeong S. H.. 2015;Effects of nursing interventions for fall prevention in hospitalized patients: A meta-analysi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5(4):469–482. 10.4040/jkan.2015.45.4.469.
15.

Korea Consumer Agency Repository. (2012) A study on the occurrences of accidents among children. Retrieved December 10, 2016, from http://www.kca.go.kr/brd/m_46/view.do?seq=760&srchFr=&srchTo=&srchWord=&srchTp=&itm_seq_1=3&itm_seq_2=0&multi_itm_seq=0&company_cd=&company_nm=&page=13

. Korea Consumer Agency Repository. 2012. A study on the occurrences of accidents among children Retrieved December 10, 2016. from http://www.kca.go.kr/brd/m_46/view.do?seq=760&srchFr=&srchTo=&srchWord=&srchTp=&itm_seq_1=3&itm_seq_2=0&multi_itm_seq=0&company_cd=&company_nm=&page=13.
16.

Lee, K. S., & Shin, M. K. (2012). Goals and assignments of healthcare accreditation program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55(1), 7-16.

. Lee K. S., et al, Shin M. K.. 2012;Goals and assignments of healthcare accreditation program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55(1):7–16. 10.5124/jkma.2012.55.1.7.
17.

Lee, Y. L. G., Yip, W. K., Goh, B. W., Chiam, E. P. J., & Ng, H. P. C. (2013). Fall prevention among children in the presence of caregivers in a paediatric ward: A best practice implement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Evidence‐Based Healthcare, 11(1), 33-38.

. Lee Y. L. G., Yip W. K., Goh B. W., Chiam E. P. J., et al, Ng H. P. C.. 2013;Fall prevention among children in the presence of caregivers in a paediatric ward: A best practice implement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Evidence‐Based Healthcare 11(1):33–38. 10.1111/1744-1609.12003.
18.

Oliver, D., Healey, F., & Haines, T. P. (2010). Preventing falls and fall-related injuries in hospitals. Clinics in Geriatric Medicine, 26(4), 645-692.

. Oliver D., Healey F., et al, Haines T. P.. 2010;Preventing falls and fall-related injuries in hospitals. Clinics in Geriatric Medicine 26(4):645–692. 10.1016/j.cger.2010.06.005.
19.

Park, K. H. (2011). The effects of the precautional education of fall on the fall-related knowledge, attitude and precautional activity of guardians of hospitalized child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Park K. H.. 2011. The effects of the precautional education of fall on the fall-related knowledge, attitude and precautional activity of guardians of hospitalized children et al.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20.

Razmus, I., Wilson, D., Smith, R., & Newman, E. (2006). Falls in hospitalized children. Pediatric Nursing, 32(6), 568-572.

. Razmus I., Wilson D., Smith R., et al, Newman E.. 2006;Falls in hospitalized children. Pediatric Nursing 32(6):568–572.
21.

Schaffer, P. L., Daraiseh, N. M., Daum, L., Mendez, E., Lin, L., & Huth, M. M. (2012). Pediatric inpatient falls and injuries: A descriptive analysis of risk factors. Journal for Specialists in Pediatric Nursing, 17(1), 10-18.

Schaffer P. L., Daraiseh N. M., Daum L., Mendez E., Lin L., et al, Huth M. M.. 2012;Pediatric inpatient falls and injuries: A descriptive analysis of risk factors. Journal for Specialists in Pediatric Nursing 17(1):10–18. 10.1111/j.1744-6155.2011.00315.x.
22.

Shin, H. J., Kim, Y. N., Kim, J. H., Son, I. S., & Bang, K. S. (2014). A pediatric fall-risk assessment tool for hospitalized children.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3), 215-224.

Shin H. J., Kim Y. N., Kim J. H., Son I. S., et al, Bang K. S.. 2014;A pediatric fall-risk assessment tool for hospitalized children.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3):215–224. 10.4094/chnr.2014.20.3.215.
23.

Shin, K. R., Shin, S. J., Kim, J. S., & Kim, J. Y. (2005). The effects of fall prevention program on knowledge, self-efficacy, and preventive activity related to fall and depression of low-income elderly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5(1), 104-112.

. Shin K. R., Shin S. J., Kim J. S., et al, Kim J. Y.. 2005;The effects of fall prevention program on knowledge, self-efficacy, and preventive activity related to fall and depression of low-income elderly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5(1):104–112. 10.4040/jkan.2005.35.1.104.
24.

Silva, E. C. S., Fernandes, M. N. de F., Sá, M. C. N., Mota de Souza, L., Gordon, A. S. de A., Costa, A. C. P. de J., et al. (2016). The effect of educational intervention regarding the knowledge of mothers on prevention of accidents in childhood. The Open Nursing Journal, 10, 113-121.

. Silva E. C. S., Fernandes M. N. de F., Sá M. C. N., Mota de Souza L., Gordon A. S. de A., Costa A. C. P. de J.. et al 2016;The effect of educational intervention regarding the knowledge of mothers on prevention of accidents in childhood. The Open Nursing Journal 10:113–121. 10.2174/1874434601610010113.
25.

The Joint Commission. (2015). Preventing falls and fall-related injuries in health care facilities. Sentinel Event Alert/Joint Commission on Accreditation of Healthcare Organizations, 55, 1-5.

The Joint Commission. 2015;Preventing falls and fall-related injuries in health care facilities. Sentinel Event Alert/Joint Commission on Accreditation of Healthcare Organizations 55:1–5.
26.

Tung, T. H., Liu, M. C., Yang, J. Y., Syu, W. Y., & Wu, H. P. (2009). Useful methods in preventing accidental falls from the bed in children at the emergency department. European Journal of Pediatrics, 168(11), 1323-1326.

. Tung T. H., Liu M. C., Yang J. Y., Syu W. Y., et al, Wu H. P.. 2009;Useful methods in preventing accidental falls from the bed in children at the emergency department. European Journal of Pediatrics 168(11):1323–1326. 10.1007/s00431-009-0928-x.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Funded by :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igure 1.

Examples of Reflet on Inpatient Pediatric Fall Education.

Figure 2.

Examples of Picture Book on Inpatient Pediatric Fall Education.

Table 1.

Contents of Inpatient Pediatric Fall Prevention Program

Subject Contents Method Time
Leaflet

Orientation

Prevention & coping
Definition of falls down
Causes of fall down
Fall prevention behavior
Lecture

3min

Picture book

Orientation

Introduction
Definition of falls down
Current state
Lecture,
graph,
Illustration
2min

Prevention

Factors of falls
Situation of falls
Fall prevention behavior
Lecture,
Illustration
5min

Coping
Coping in hospital fall
Lecture,
Illustration
3min

Table 2.

Homogeneity Test of General Characteristics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N=62)

Participants Variables Categories Exp.(n=31) Cont.(n=31) χ2 or t p
n(%) or Mean±SD n(%) or Mean±SD
Caregivers Age(year) <35 19(61.3) 22(71.0) -0.47 .639
≥35 12(38.7) 9(29.0)
33.4±5.18 32.7±4.79
Gender Male 5(16.1) 2(6.5) 1.45 .425
Female 26(83.9) 29(93.5)
Caregiver’s relationship Father 5(16.1) 2( 6.5) - .255*
Mother 25(80.6) 29(93.5)
Relative or other 1(3.2)
Education level ≦College 7(22.6) 13(41.9) 2.66 .174
> University 24(77.4) 18(58.1)
Occupation Yes 19(61.3) 14(45.2) 1.62 .309
No 12(38.7) 17(54.8)
Education on falls Yes 9(29.0) 17(54.8) 4.20 .050
No 22(71.0) 14(45.2)
Children Age(year) ≦1 12(38.7) 11(35.5) 0.24 .813
≥2 19(61.3) 20(64.5)
2.0±1.48 2.1±1.46
Gender Male 14(45.2) 17(54.8) 0.58 .612
Female 17(54.8) 14(45.2)
Birth order First 15(48.4) 17(54.8) 0.26 .800
≥Second 16(51.6) 14(45.2)
Hospitalization periods(day) <5 19(61.3) 13(41.9) 2.33 .204
≥5 12(38.7) 18(58.1)
4.1±1.12 4.8±2.3
Disease Respiratory 16(51.6) 18(58.1) - .889*
Neurology 8(25.8) 7(22.6)
Urinary-digestive 7(22.6) 6(19.4)
Experience of hospitalization Yes 13(41.9) 22(71.0) 4.17 .073
No 18(58.1) 9(29.0)

Fisher’s Exact test

Exp.=Experimental group; Cont.=Control group

Table 3.

Homogeneity Test of Independent Variables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N=62)

Variables Exp.(n=31) Cont.(n=31) t p
Mean±SD Mean±SD
Knowledge 4.10±1.38 5.00±1.63 -3.05 .048
Prevention behavior 28.10±5.48 30.70±6.06 -1.91 .065

Exp.=Experimental group; Cont.=Control group

Table 4.

Knowledge and Prevention Behavior Related to Inpatient Fall Prevention between the Two Groups

(N=62)

Variables Exp.(n=31) Cont.(n=31) t p
Pre-test Post-test Difference Pre-test Post-test Difference
Mean±SD Mean±SD Mean±SD Mean±SD Mean±SD Mean±SD
Knowledge 4.10±1.38 6.10±1.35 2.00±2.00 5.00±1.63 5.10±1.50 0.10±0.54 7.67 <.001
Prevention behavior 28.10±5.48 37.40±2.96 9.30±6.06 30.70±6.06 33.20±4.86 2.50±3.53 5.71 <.001

Exp.=Experimental group; Cont.=Control gro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