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 론
연구의 필요성
연구 가설
• 가설 1. ARCS모형 적용 온라인 기반 지역사회정신간호학실습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기존의 지역사회정신간호학 현장실습에 참여한 대조군에 비해 학습동기와 하위영역인 주의집중, 관련성, 자신감 및 만족감 점수가 열등하지 않을 것이다.
• 가설 2. ARCS모형 적용 온라인 기반 지역사회정신간호학실습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기존의 지역사회정신간호학 현장실습에 참여한 대조군에 비해 지역사회정신간호지식 점수가 열등하지 않을 것이다.
• 가설 3. ARCS모형 적용 온라인 기반 지역사회정신간호학실습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기존의 지역사회정신간호학 현장실습에 참여한 대조군에 비해 의사소통수행능력 점수가 열등하지 않을 것이다.
• 가설 4. ARCS모형 적용 온라인 기반 지역사회정신간호학실습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기존의 지역사회정신간호학 현장실습에 참여한 대조군에 비해 학습자기효능감 점수가 열등하지 않을 것이다.
연구 방법
연구 대상
연구 도구
● 학습동기
● 지역사회정신간호지식
● 의사소통수행능력
● ARCS모형 적용 온라인 기반 지역사회정신간호학실습 프로그램
Table 1
Session | Topics | Time (minutes) | Learning contents | Learning methods | ARCS strategies | |
---|---|---|---|---|---|---|
1 | Orientation & identification of metal health welfare project | 60 | Orientation for practical training | Lecture (ZOOM) | A3, R1 | |
90 | Orientation to center | Watching video | A1, R1, C1 | |||
90 | Result report of previous year | Watching video | A1, A2 | |||
60 | Lunch time | |||||
120 | Participating on online psychiatric rehabilitation program (dancing, singing, gardening, etc.) | Activity & observation (ZOOM) | ||||
60 | Project plan of this year | Watching video | A1, A2 | |||
60 | Performance record & reflection daily record | Writing document | ||||
2 | Psychiatric nursing process | 60 | Field instructor’s coaching | Lecture, Q&A (ZOOM) | A2, A3, R1, R2 | |
120 | Nursing assessment & nursing diagnosis for case | Writing document | ||||
60 | Nursing performance scenario & video example* | Writing document & watching video | A1, R1 | |||
60 | Lunch time | |||||
60 | Role play utilizing nursing performance scenario | Role playing (ZOOM) | C2, S1 | |||
120 | Nursing plan & nursing performance scenario | Writing document | A1, R1, S1 | |||
60 | Performance record & reflection daily record | Writing document | ||||
3 | Home visit | 60 | Supervisor’s coaching | Lecture (ZOOM) | A3, R1 | |
60 | Home visit senario & video example* | Reading document & watching video | A1, R1 | |||
90 | Home visit report & writing scenario | Writing document | A1, R1, S1 | |||
60 | Lunch time | |||||
Psychiatric health promotion | 60 | psychiatric health promotion education for the elderly | Watching video | A1, A2, R1 | ||
90 | Peer lifeguard education for adolescent | Watching video | ||||
60 | Disaster crisis management education | Watching video | ||||
60 | Performance record & reflection daily record | Writing document | ||||
4 | Cooperation between health care teams | 60 | Field instructor’s coaching | Q&A (ZOOM) | A3, R1, R2 | |
60 | Administrative work management education | Watching video | A1 | |||
90 | Cooperative meeting (team leader/case conference) | Watching video | A1, R3 | |||
60 | Lunch time | |||||
Psychiatric rehabilitation | 150 | Participating on online psychiatric rehabilitation education (medicine & symptom management, recurrence management education, etc.) | Lecture (ZOOM) | A1, A3 | ||
60 | Writing activity therapy plan | Writing document | A1, R1, S1 | |||
60 | Performance record & reflection daily record | Writing document | ||||
5 | Case conference | 60 | Nursing assessment for case | Experience of Gather counseling room (individual) | Writing document | A1, S1, S3 |
120 | Nursing diagnosis & plan | Writing document | ||||
60 | Nursing performance scenario | Writing document | ||||
60 | Lunch time | |||||
180 | Conference (presentation for case report) | Presentation & feedback (ZOOM) | C3, S1, S2, S3 | |||
60 | Checklist, reflection daily record, practice reflection record, etc. | Writing document |
A1=perceptual arousal; A2=inquiry arousal; A3=variability, C1=learning requirements; C2=success opportunities; C3=personal control; R1=goal orientation; R2=motive matching; R3=familiarity; S1=intrinsic reinforcement; S2=extrinsic rewards; S3=equity
* Used the one developed by Kim and Park [23] with permission
연구 진행 절차
● 연구의 윤리적 고려
● 사전조사
● 실험처치
Table 2
자료 분석 방법
연구 결과
일반적 특성의 동질성 검증 및 종속변수의 사전 동질성 검증
Table 3
ARCS모형 적용 온라인 기반 지역사회정신간호학실습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
Table 4
• 가설 1. ‘ARCS모형 적용 온라인 기반 지역사회정신간호학실습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기존의 지역사회정신간호학 현장실습에 참여한 대조군에 비해 학습동기와 하위영역인 주의집중, 관련성, 자신감 및 만족감 점수가 열등하지 않을 것이다’를 검정한 결과 학습동기 전체 점수(F=0.13, p=.724)와 하위영역인 주의집중(F=0.02, p=.881), 관련성(F=0.29, p=.591), 자신감(F=0.29, p=.592) 및 만족감(F=0.05, p=.819) 모두 두 군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지지되었다. 학습동기의 중재효과는 전체는 .00, 주의집중은 .00, 관련성은 .01, 자신감은 .01, 만족감은 .00으로 매우 낮은 효과크기를 보였다.
• 가설 2. ‘ARCS모형 적용 온라인 기반 지역사회정신간호학실습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기존의 지역사회정신간호학 현장실습에 참여한 대조군에 비해 지역사회정신간호지식 점수가 열등하지 않을 것이다’를 검정한 결과 두 군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지지되었다(F=3.89, p=.056). 지역사회정신간호지식의 중재효과는 .10으로 중간 이상의 효과크기를 보였다.
• 가설 3. ‘ARCS모형 적용 온라인 기반 지역사회정신간호학실습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기존의 지역사회정신간호학 현장실습에 참여한 대조군에 비해 의사소통수행능력 점수가 열등하지 않을 것이다’를 검정한 결과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여 지지되었으며, 중재 프로그램의 효과가 더 좋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F=6.23, p=.017). 의사소통수행능력의 중재효과는 .15로 매우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 가설 4. ‘ARCS모형 적용 온라인 기반 지역사회정신간호학실습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지역사회정신간호학 현장실습에 참여한 대조군에 비해 학습자기효능감 점수가 열등하지 않을 것이다’를 검정한 결과 두 군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지지되었다(F=0.47, p=.499). 학습자기효능감의 중재효과크기는 .01로 매우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