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Acad Soc Nurs Educ Search

CLOSE


J Korean Acad Soc Nurs Educ > Volume 25(4); 2019 > Article
간호대학생의 발언행동, 자아존중감과 성지식이 성적자기주장에 미치는 영향

Abstract

Purpose

The study was done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voice behavior, self-esteem and sexual knowledge on sexual assertiveness of nursing college students.

Methods

A structured self-report questionnaire was used to measure voice behavior, self-esteem, sexual knowledge and sexual assertiveness. During March, 2019, data were collected from 133 nursing students in D city and G city.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linear regression with the SPSS/WIN 25.0 program.

Results

Voice behavior and self-esteem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sexual assertiveness of participants, while voice behavior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self-esteem of participants. Also, self-esteem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sexual assertiveness in nursing college students. The predictor explained 12% of their sexual assertiveness.

Conclusion

The finding indicates that self-esteem is an important factor for sexual assertiveness of nursing students. It is also expected that self-esteem can further promote their sexual assertiveness.

서 론

연구의 필요성

성(性)에 대한 개방적 가치관과 문화 유입은 우리사회의 성 인식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이는 자아정체성을 확립해나가는 대학생에게도 영향을 미쳐서 그들의 성역할 혼돈으로 이어지면서 많은 사회적 문제로 나타나기도 한다(Choi & Ha, 2004; Lee, Kim, & Choi, 2013). 우리나라 대학생들은 대학입시 위주의 교육에 집중되어 오다가 대학입학 이후 갑자기 개방적인 성 문화에 노출되는 경향이 높다. 이는 간혹 이성교제에 관심이 높아지는 시기의 대학생들에게 적절한 성보호 제도를 마련해주지 못한 채 성에 대한 정보를 무분별하게 수용하여 다양한 신체적 혹은 정신적 건강문제를 야기할 수도 있다(Kim, Moon, & Kang, 2013; Shim, 2016).
한편 2017년 10월 미국 영화계에서 시작된 미투운동(MeToo Movement)이 한국에서는 2018년 1월 한 여성 법조인이 성폭력 실상을 고발하면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SNS)를 통해 빠르게 확산되었다. 성폭행이나 성희롱을 청산하기 위한 해시태그운동인 미투 캠페인으로 말미암아 성적자기주장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게 되었다. 성적자기주장이란 원치 않은 성적인 상황에서 자신의 거부 의사를 표현하여 자신 성 건강을 보호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Choi, 2005). 이에 더하여 성적 상황에서 균형적인 자신의 감정, 자부심, 사회적으로 당당함을 추구할 수 있는 자율성이 내포된 개념이므로 성적자기주장을 증진시킴에 있어서 자기주장은 필수적 요소이며, 의사소통기술과 성적 자기결정권을 아우른다고 할 수 있다(Kim & Park, 2015; Kim et al., 2013; Lee & Lee, 2006). 성에 대한 가치관을 정립한 사람이라 하더라도 친밀한 관계에서 적절한 성적자기주장에 어려움이 있다면 후회나 자아존중감 저하 등의 부정적 정서를 경험할 가능성 또한 높다(Kim et al., 2013).
원치 않은 성적인 상황에서 거부 의사를 표현할 수 있는 성적자기주장은 성적 의사소통의 행동 전략이기도 하기 때문에(Kim, 2015), 일반적인 상황에서의 자기주장능력이 성적 상황에서 거부의사를 표현하는 성적자기주장과 무관하지 않을 수 있다(Kim et al., 2013). 그런데 성폭력 피해자가 피해사실을 주변에 알리는 경우는 약 38% 수준이다(Statistics Korea, 2017). 이를 통해 나머지 더 많은 사람들이 성폭력 피해와 관련해서는 자신의 입장을 충분히 표현하지 못하고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또한 전통적인 한국사회의 가부장적 특성은 여성으로 하여금 상대방의 기분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을 미덕으로 수용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사회적 분위기는 자기표현을 억제하는 사회화된 언어와 메시지 속에서 타인은 물론 자신에게도 명확한 자기주장을 하기 어렵게 만든다(Jang, Cha, & Lee, 1992). 따라서 이미 알려진 일반적인 상황에서의 자기주장이나 의사소통 능력 이외에도 성적자기주장 촉진에 보다 효과적인 의사표현전략을 탐색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성적자기주장이 필요한 상황에서는 문제해결을 위한 보다 기능적이고 도전적인 표현방식이 중요할 것으로 예상되어 발언행동을 통해 그 가능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발언행동은 자신의 생각, 의견, 정보와 아이디어를 자발적으로 표현하는 적극적이고 건설적인 제안 행위에 속하기 때문이다(LePine & Van Dyne, 1998). 발언행동은 기존의 관점에 도전하고 저항하는 속성도 내포하고 있어 잠정적인 손해나 위험을 감수해야하는 상황 속에서의 도움행동의도와도 관련이 있었고(Woo & Park, 2019),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의 예측요인이기도 하였다(Park, Woo, & Kim, 2019). 그러므로 간호대학의 교육과정 속에 강조되고 있는 의사소통역량이 발언행동과 같은 적극적인 의사표현의 형태로 성적자기주장에 영향을 주는 요인일 가능성을 확인하여 교육방향을 재고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자아존중감은 자신을 가치 있다고 생각하고 존중해주는 자신에 대해 느끼는 태도로써 자아존중감이 높은 사람은 건전하고 만족한 인간관계를 유지하며 책임 있는 행동을 함으로써 자신과 타인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게 된다(Satir, 1972). 자아존중감은 청소년 및 대학생의 성적자기주장과 관련성이 높은 요인(Kim & Park, 2015; Lee, 2001)이기도 하여 자아존중감이 낮은 청소년은 성적자기주장 또한 낮아, 본인이 원치 않는 성 접촉 경험에 취약할 수도 있다(Lee, 2001). 성별에 따라서는 남자 대학생의 경우가 여자 대학생에 비해 자아존중감과 성적자기주장에서 좀 더 강한 상관관계를 보이기도 하며 성별 간 차이가 있을 수 있음을 보여주기도 하였다(Kim & Park, 2015). 하지만 보편적으로 자아존중감은 자신을 보호하는 자기주장적 방어적 기술로의 가치가 있어 보이므로(Lee, 2001), 간호대학생의 자아존중감을 높이는 전략이 성적자기주장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과 관계가 있는지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일부 선행연구에서는 성에 일반적인 지식과 임신·성병 등과 같은 정보를 많이 접할수록 성적자기주장이나 성적 자율성이 높은 편임을 보여주고 있다(Choi & Ha, 2004; Kim et al., 2013). 그러나 선행연구(Kang, 2009; Shim, 2016; Whang, 2009)의 결과는 지속적으로 성교육에 노출되어 왔다 하더라도 대학생들의 영역별 지식수준은 다양하여 일관성을 제시할 수 없는 실정이다. 일 연구에는 성폭력과 성역할 영역에 대한 이해수준이 높았다(Shim, 2016). 따라서 이러한 점들이 최근 전반적인 성교육 양상의 변화나 전공에 따라 성관련 지식을 교과목을 통해서도 습득하게 되면, 성지식이 성적자기주장에 다르게 작용하게 되는지 확인하고 간호대학생의 성적자기주장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발언행동과 자아존중감을 통합적으로 파악하여, 간호교육방향을 정교하게 정립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발언행동, 자아존중감과 성지식이 성적자기주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발언행동, 자아존중감, 성지식 및 성적자기주장의 정도를 파악한다.

  • ∙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성적자기주장의 차이를 확인한다.

  • ∙ 대상자의 발언행동, 자아존중감, 성지식과 성적자기주장 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한다.

  • ∙ 대상자의 발언행동, 자아존중감과 성지식이 성적자기주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다.

연구 방법

연구 설계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성지식, 자아존중감과 발언행동이 성적자기주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D시와 G시 소재 간호학과 재학 중인 학생으로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연구 참여에 동의한 학생을 대상으로 편의표집 하였다. 표본 수 산정은 효과크기 .15, 유의수준 .05, 검정력 95% 및 주요 예측변수 3개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119명이 산출되었고 약 20%의 탈락률을 고려하여 143명을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이 중 불성실한 응답 10부를 제외하고 최종 133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 도구

본 연구의 도구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일반적 특성 11개 문항, 발언행동 8개 문항, 자아존중감 10개 문항, 성지식 40개 문항과 성적자기주장 12개 문항으로 총 81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 발언행동

발언행동은 Van Dyne과 LePine (1998)이 개발한 친사회적 발언(Pro-social Voice) 5문항과 Farrell (1983)의 EVLN (Exit, Voice, Loyalty and Neglect) 모형에서 사용한 발언 3문항을 Chung (2014)이 8문항으로 통합한 도구를 대학생에 맞게 수정보완한 도구(Park et al., 2019)를 사용하였다. 본 도구는 5점 Likert식 척도로 ‘전혀 그렇지 않다’ 1점에서 ‘매우 그렇다’ 5점으로 채점하며 점수가 높을수록 발언행동 수준이 높음을 의미한다. Park 등(2019)의 연구에서 Cronbach's α=.90이었으며 본 연구의 Cronbach's α=.91이었다.

● 자아존중감

본 연구에서 자아존중감은 Rosenberg (1965)가 개발한 자아존중감 척도(Self-Esteem Scale)를 Lee와 Won (1995)이 번역한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이 척도는 긍정적 자아존중감 5문항과 부정적 자아존중감 5문항 등 총 10문항이며 5점 Likert 척도로 이루어져 있다. '전혀 그렇지 않다‘ 1점에서 '매우 그렇다’ 5점이며, 부정적 문항은 역으로 환산하였으며 총 점수가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음을 의미한다. Lee와 Won (1995)의 연구에서 신뢰도 Cronbach's α=.89였으며, 본 연구의 Cronbach's α=.88이었다.

● 성지식

성지식은 Kye (1998)가 개발하고 Whang (2009)이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하위 영역으로는 성 생리(10문항), 성 건강(10문항), 피임(10문항), 성폭력 및 성역할(10문항)으로 구성되어 총 40문항이다. 정답은 1점, 오답은 0점으로 처리되며 0점에서 40점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성에 대한 지식정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Polit, Beck과 Owen (2007)의 공식에 따라 Liket 4점 척도를 활용하여 Item-level Content Validity (I-CVI)를 구하였다. 간호대학 5인의 교수로부터 평가된 I-CVI 평균 값은 1.0이었다.

● 성적자기주장

성적자기주장은 Ha, Jun, Yoo, Lee와 Cho (2007)가 개발한 성발달 평가척도의 하위요인인 성적자기주장요인 척도를 사용한다. 이 척도의 문항은 총 12개이며, 청소년들의 이성교제나 이를 통한 성행동의 자기결정권, 성관련 행동의 합의적인 의사결정능력, 효과적인 의사소통과 자기주장 내용을 묻는 문항들로 구성되어 있다. 각 문항은 5점 Likert 척도로 이루어져있으며, '전혀 그렇지 않다 1점에서 '매우 그렇다‘ 5점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성적자기주장이 높음을 의미한다. Ha 등(2007)의 연구에서 Cronbach's α=.86이다. 본 연구에서 Cronbach's α=.80이었다.

자료 수집 방법 및 윤리적 고려

본 연구는 설문조사 대상 간호학과의 사전기관동의서를 첨부하여 대전 소재 대학기관의 생명윤리위원회(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의 심의를 거쳐 연구승인(IRB No. 2019-168-02)을 받은 후 진행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9년 3월 15일부터 3월 31일까지 이루어졌다. 학과 게시판에 공고문을 게시하여 대상자를 모집하며, 자발적으로 찾아오는 대상자에 한하여 연구자로부터 교육받은 연구보조자가 연구 대상자에게 연구의 목적 및 설문 내용에 대하여 설명하고 서면동의서를 작성한 대상자에게 설문지를 직접 배부하였다. 연구의 목적과 취지에 대한 내용 및 자료의 익명성과 비밀보장, 사생활 보장, 연구의 참여 과정에서 언제든지 원하지 않을 경우 중단할 자유가 있으며, 이로 인한 어떠한 불이익도 없음에 관한 내용 등을 설명하고 추가로 같은 내용을 설명문을 제시하여 필요 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작성한 설문지는 개인정보식별이 불가능한 수거박스에 본인이 직접 제출하도록 하고 연구보조자가 최종 수거하여 연구자에게 전달하였다. 설문에 참여한 대상자에게는 소정의 답례품을 제공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구체적인 통계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다.
  • ∙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발언행동, 자아존중감, 성지식과 성적자기주장은 빈도,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로 산출하였다.

  • ∙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성적자기주장의 차이는 t-test, ANOVA로 분석하였다.

  • ∙ 대상자의 발언행동, 자아존중감, 성지식 및 성적자기주장 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 ∙ 대상자의 발언행동, 자아존중감, 성지식이 성적자기주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일반적 특성에 따른 성적자기주장의 차이

연구대상자의 평균연령은 20.97±3.49세이며 성별은 여자가 110명(82.7%), 학년은 2학년과 3학년이 각각 50명(37.6%), 40명(30.1%)으로 다소 많았다. 종교는 없다고 응답한 대상자가 77명(57.9%), 성격은 자신을 외향적이라고 생각하는 대상자가 73명(54.9%)로 다소 많았으며, 가족과 동거 여부에서는 대부분 가족과 떨어져 자취나 기숙사에 거주하는 경향을 보였다(98명, 73.7%). 이성교제 경험이 있는 경우가 더 많았지만(96명, 72.2%), 키스 이상의 신체적 접촉 경험을 묻는 질문에는 없다고 응답한 대상자가 약간 더 많았다(70명, 52.6%). 가정경제수준은 중간 정도(70명, 52.6%), 아버지의 개방성에 대한 지각정도는 높거나 중간 정도라 느끼는 대상자가 각각 48명(36.1%), 어머니의 개방성에 대한 지각정도는 높다고 보는 경우가 59명(44.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Table 1).
Table 1.

Differences in Sexual Assertivenes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N=133)
Variables Categories n (%) or Mean±SD Sexual assertiveness
Mean±SD t/F (p)
Age (year) 20.97±3.49
Gender Male 23 (17.3) 4.46±0.30 0.18 (.859)
Female 110 (82.7) 4.45±0.47
Grade 1st 16 (12.0) 4.59±0.22 1.31 (.273)
2nd 50 (37.6) 4.46±0.38
3rd 40 (30.1) 4.38±0.43
4th 27 (20.3) 4.47±0.29
Religion Yes 56 (42.1) 4.44±0.34 -0.24 (.808)
None 77 (57.9) 4.46±0.38
Personality Extroverted 73 (54.9) 4.47±0.34 0.69 (.491)
Introverted 60 (45.1) 4.43±0.40
Residence type Live with family 35 (26.3) 4.54±0.21 2.29 (.024)
Dormitory/Living alone 98 (73.7) 4.42±0.40
Dating experience Yes 96 (72.2) 4.44±0.34 -0.45 (.656)
None 37 (27.8) 4.48±0.42
Physical contact (more than kiss) Yes 63 (47.4) 4.40±0.35 -1.39 (.167)
None 70 (52.6) 4.49±0.37
Economic status of parents High 43 (32.3) 4.47±0.38 1.75 (.179)
Middle 70 (52.6) 4.48±0.32
Low 20 (15.1) 4.31±0.44
Father’s openness High 48 (36.1) 4.40±0.39 0.72 (.487)
Average 48 (36.1) 4.49±0.40
Low 37 (27.8) 4.47±0.27
Mother’s openness High 59 (44.4) 4.45±0.37 0.28 (.758)
Average 44 (33.0) 4.48±0.41
Low 30 (22.6) 4.43±0.30
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성적자기주장의 차이는 거주형태에서 가족과의 동거를 하고 있는 대상자와 자취나 기숙사생활을 하고 있는 대상자에서 성적자기주장에 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t=2.29, p=.024). 그 외 개인적 특성인 성별(t=0.18, p=.859), 학년(t=1.31, p=.273), 종교(t=-0.24, p=.808), 성격(t=0.69, p=.491), 이성교제 경험(t=-0.45, p=.656), 키스 이상의 신체접촉 경험(t=-1.39, p=.167)을 비롯하여 가족적 특성의 지각된 아버지의 개방성(t=0.72, p=.487), 지각된 어머니의 개방성(t=0.28, p=.758)은 성적자기주장에 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Table 1).

대상자의 발언행동, 자아존중감, 성지식과 성적자기주장 정도

본 연구대상자의 발언행동은 5점 만점 중 3.39±0.68점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존중감은 3.91±0.58점, 성지식은 40점 만점 중 33.67±2.04점이었다. 성적자기주장은 5점 만점 중 4.45±0.37점이었다(Table 2).
Table 2.

Level of Voice Behavior, Self-esteem, Sexual Knowledge and Sexual Assertiveness

(N=133)
Variables Mean±SD Min Max
Voice behavior 3.39±0.68 1.75 5.00
Self-esteem 3.91±0.58 2.40 5.00
Sexual knowledge 33.67±2.04 28.00 37.00
Sexual assertiveness 4.45±0.37 3.00 5.00

발언행동, 자아존중감, 성지식과 성적자기주장의 관계

본 연구대상자의 성적자기주장에 대하여 자아존중감(r=.34, p<.001)과 발언행동(r=.24, p=.006)은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자아존중감은 발언행동과도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r=.42, p<.001)를 보였다. 성지식은 발언행동, 자아존중감 및 성적자기주장에 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는 확인되지 않았다(Table 3).
Table 3.

Correlation between Voice Behavior, Self-esteem, Sexual Knowledge and Sexual Assertiveness

(N=133)
Variables Voice behavior Self-esteem Sexual knowledge
r (p) r (p) r (p)
Self-esteem .42 (<.001)
Sexual knowledge .03 (.736) -.08 (.381)
Sexual assertiveness .24 (.006) .34 (<.001) .06 (.498)

대상자의 성적자기주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대상자의 성적자기주장에 미치는 관련요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오차항의 등분산성과 정규성을 검토하기 위해 표준화 잔차 정규 P-P도표(probability plot)를 확인한 결과 정규분포를 보였고, 잔차 산점도 상 등분산이 확인되었으며 잔차의 독립성 검토를 위해 Durbin-Watson값을 확인한 결과 1.98로 2에 가까워 자기상관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독립변수 간 다중공선성을 확인한 결과 회귀분석의 공차한계(tolerance)는 0.98, 분산팽창지수(Variation Inflation Factor, VIF)는 1.00으로 독립변수 간 다중공선성은 없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모형은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위한 가정을 충족하였다.
간호대학생의 성적자기주장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일반적 특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던 가족과의 동거 여부를 파악하는 거주형태와 발언행동, 자아존중감, 성지식 요인을 독립변수로 하여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한 결과, 자아존중감(β=.34, p<.001)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성적자기주장 정도가 높았다(F=17.46, p<.001). 간호대학생의 성적자기주장에 대한 자아존중감의 설명력은 12%였다(Table 4).
Table 4.

Influencing Factors on Sexual Assertiveness

(N=133)
Variables B SE β t p R2 Adjusted R2 F p
(Constant) 3.60 0.21 17.47 <.001 .12 .11 17.46 <.001
Self-esteem 0.22 0.05 .34 4.12 <.001

논 의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발언행동, 자아존중감, 성지식 및 성적자기주장 정도를 파악하고 성적자기주장의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발언행동은 5점 만점에 3.39점으로 이는 일 간호대학생의 발언행동 결과(Park et al., 2019)인 3.22점과 약간 높거나 비슷한 수준이었다. 비슷한 수준의 발언행동 수준을 보인 것은 교육과정 내 의사소통을 포함하고 있는 간호학을 전공하는 면에서 기인한 유사점일 수 있다. 하지만 일반대학생이 보여준 3.73점보다 낮은 수준(Lee & Park, 2017)인 면에서는 추가적인 관심이 요구된다. 선행연구에서 발언행동은 간호대학생 임상수행능력 예측요인이었으며(Park et al., 2019), 괴롭힘을 당하는 동료에게 도움행동을 할 수 있는 의지에도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기도 하였다(Woo & Park, 2019). 간호사에게는 때로 환자 옹호자로서 부서 간 건설적인 의견 교환 능력이 요구된다. 그러므로 의사소통능력을 기반으로 보다 적극적인 의견개진 능력을 함양하기 위한 발언행동 역량을 위한 교육방향이 검토될 필요가 있다.
자아존중감의 경우 5점 만점의 3.91점으로 일반 남녀 대학생의 성적자기주장영향요인 연구(Kim & Park, 2015)에서 보여준 5점 환산점수 4.06점과 3.96점과 비슷한 수준이고, 여대생의 성적자기주장영향요인 연구(Choi, 2005)에서 나타난 3.73점과는 약간 높거나 비슷한 수준이었다. 대체로 대학생의 성적자기주장과 관련이 높은 것으로 생각되고 있는 자아존중감 수준이 비교적 높은 수준을 보여준 것은 자신이 원하지 않은 성희롱이나 성폭력적 상황에서 자신을 보호할 능력(Lee, 2001)이 어느 정도는 있다고 해석될 수 있어 바람직한 것으로 여겨진다.
본 연구의 간호대학생 성지식 수준은 40점 만점에서 33.67점 수준이었다. 이는 중학생 28.4점, 고등학생 30.9점 및 대학생 31.6점이로 나타난 연구(Whang, 2009)나 보건계열 대학생의 성지식 30.7점(Shim, 2016)보다는 다소 높은 수준이라고 할 수 있다. Whang (2009)은 여학생은 31.6점, 남학생은 30.9점으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성지식 수준이 다소 높았는데, 이는 남학생의 비중이 34.4%였던 Shim (2016)의 연구에서도 같은 결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남학생보다는 여학생에게 성교육이 강조되고 있는 사회적 현실을 반영한 결과일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선행연구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다소 높았던 본 연구대상자의 성지식 수준은 대상자가 간호계열 학생이면서 특성 상 여학생이 많았던 점이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성교육목적의 성지식을 의도적으로 강조하지는 않지만 학문적 관련성과 성별에서 오는 차이를 배제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성적자기주장의 차이는 유일하게 주거유형에서 나타났다. 가족과 함께 살고 있는 집단과 혹은 가족과 분리되어 기숙사나 자취를 하고 있는 집단을 구분하여 보았을 때 가족과 함께 살고 있는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하여 성적자기주장 정도가 높았다. 성적자기주장을 할 수 있는 원천이라고 보는 성적 자율성에 거주형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던 반면, 성별, 전공, 종교, 성교경험에 따라 차이를 보인 연구와는 다른 결과이다(Kim et al., 2013). 일부 측정이 동일하지 않은 요인을 제외하고도 성별, 연령, 종교, 성교경험 및 거주형태에서 다른 결과를 보인 것이다. 이에 성적자기주장에 영향을 미치는 일반적 특성을 정교하게 구성하고 다양한 환경의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반복연구를 시도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대상자인 간호대학생의 성적자기주장에 대하여 자아존중감과 발언행동 순으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자아존중감은 일반대학생의 성적자기주장에 있어 관련성이 높은 요인(Choi, 2016)이며 특히 남학생이 더 높은 관련성을 보였다는 연구(Kim & Park, 2015)와 낮은 강도(r=.09)의 양의 상관성을 제시한 연구결과(Choi, 2005)를 지지하였다. 발언행동과 성적자기주장 간 관련성을 확인한 연구는 없어 직접비교가 어려워 다르지만 유사성을 가진 자기주장과 의사소통요인으로 살펴보았다. 일반 대학생들의 성적자기주장에 대하여 자기주장은 높은 양의 상관성을 보였다(Kim et al., 2013). 자기주장은 자신의 감정과 의견을 표현하고 상대방에게 합리적으로 요청하거나 비합리적인 요청을 거절하는 것 등을 의미하므로 발언행동과 비교적 유사한 개념이라 할 수 있다. 그 외 역기능적인 의사소통유형들과는 음의 상관성을, 기능적인 의사소통과는 양의 상관성을 보였거나(Choi, 2005), 부모-자녀 간 개방적 의사소통을 하는 경우는 남녀대학생 모두 양의 상관성을, 역기능적 의사소통은 남녀 대학생 모두 음의 상관성을 보였고, 성별 간 남학생이 더 강한 상관성을 보인 결과(Kim & Park, 2015)와 유사한 맥락이다. 한편 성지식은 보건계열 대학생의 혼전 성허용도에는 음의 상관성(Shim, 2016), 청소년기 대상의 성적 자율성과는 양의 상관성(Whang, 2009)을 보였던 선행연구들과는 다른 결과라 할 수 있다. 보건계열 전공의 특성이 반영된 결과이거나(Kim et al., 2013) 대상의 세분화 정도에 따른 차이(Whang, 2009)에서 기인한 것인지 교육수준과 연령을 세분화하여 청소년기의 성지식과 성적자기주장과의 관련성을 확인하는 반복연구는 성교육 관련 가이드라인을 마련하는데 의미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대상인 간호대학생의 성적자기주장에 자아존중감만이 유일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간호학과 여학생의 성적자기주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자아존중감이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는 점에서는 일 연구(Choi, 2016)와 같은 결과이다. 대학생의 성적자기주장에 자기주장이 유의한 예측요인이었던 연구(Cho & Kim, 2014; Kim et al., 2013)에서와 달리 본 연구에서는 발언행동은 예측요인에서 배제되었다. 한편 대학생 중 남학생의 모-자녀 간 개방적 및 역기능적 의사소통, 부-자녀 간 역기능적 의사소통, 종교와 자아존중감이 성적자기주장을 예측하였고, 여학생의 경우 자아존중감과 모-자녀 간 개방적 의사소통이 성적자기주장을 예측하였던 연구(Kim & Park, 2015)와는 의사소통 관련 요인이 포함된 부분은 불일치하였고, 자아존중감은 일치하는 요인이었다. 자아존중감은 청소년들의 비행행위와 높은 관련성을 가지며(Lee, 2001), 폭력을 줄이는데 긍정적인 기능도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Reasoner, 1994). 하지만 성적자기주장에 대한 자아존중감의 영향은 성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도 있기 때문에(Choi, 2016), 성별을 통제한 반복연구를 통해 신중한 해석이 요구된다.
간호대학생의 경우 의사소통역량을 핵심역량의 하나로 간주하고 교육과정에 다양하게 포함되어 교육하고, 성지식의 경우에도 간호학 학습과 더불어 자연스럽게 배양되는 것이므로 대부분의 학생들 간 수준 차이가 크지 않은 부분이다. 이와 같은 이유 때문에 발언행동이나 성지식이 간호대학생의 성적자기주장에 영향을 미치는지 통계적으로 확인할 수 없었다면 여전히 발언행동이나 성지식은 간호대학생의 성적자기주장 능력에는 잠재적인 힘일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의사소통능력이나 성지식 함양은 이미 교육과정에서 다루고 있는 수준에서 유지시켜나가는 것은 의미가 있을 것이다. 또한 높은 자아존중감은 청소년 및 대학생들에게 다양한 분야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교육과정 전반에서 다각적인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들이 마련된다면, 의사소통이나 성지식처럼 성교육에 초점화하는 형식을 갖추지 않아도 성적자기주장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발휘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성적자기주장 수준을 강화하기 위하여 무엇보다 자아존중감이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한 것에 의의가 있다. 그러나 일 지역의 2개 대학의 간호대학생만을 편의추출하였으므로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데는 제한적이며, 또한 12% 수준의 설명력이므로 해석에 신중을 기하여야 한다.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발언행동, 자아존중감, 성지식 및 성적자기주장과의 관련성을 확인하고 성적자기주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자아존중감만이 성적자기주장에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성적자기주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프로그램은 자아존중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요인들이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간호대학생의 성적자기주장의 영향요인은 보다 다양한 요인과 환경을 탐색하여 고려한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자아존중감은 다양한 결과변수의 설명변수로써 확인되고 있고, 간호대학생에게 있어 자아존중감을 향상하기 위한 노력은 개인이 성장하고 스스로 문제해결을 해나가는 핵심전략이 될 수 있으므로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개발 연구를 제언한다.

Acknowledgements

이 논문은 2018년도 정부(미래창조과학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기초연구사업임(NRF-2018R1C1B6002021).
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Basic Science Research Program through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funded by the Ministry of Science, ICT & Future Planning (NRF-2018R1C1B6002021).

References

Cho, G. Y., & Kim, Y. H. (2014). Factors influencing sexual assertiveness of wome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6(5), 2795-2806.

Choi, M. H, (2005). Factors influencing sexual assertiveness among women college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Choi, M. S., & Ha, N. (2004). A study on knowledge, attitude, and experience in sex and sexual autonomy of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Women Health Nursing, 10(4), 318-330.
crossref
Choi, S, H. (2016). Factors influencing sexual assertiveness of women university students in nursing. Journal of Korean Academy Psychiatry Mental Health Nursing, 25(4), 367-374.
crossref
Chung, G. E. (2014). The effect of person-team value congruence on voice behavior: Mediating effect of peer trust and peer targeted voice behavior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Farrell, D. (1983). Exit, voice, loyalty, and neglect as responses to job dissatisfaction: A multidimensional scaling study.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26(4), 596-607.
crossref
Faul, F., Erdfelder, E., Buchner, A., & Lang, A. (2009). Statistical power analyses using G*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Behavior Research Methods, 41(4), 1149-1160.
crossref
Ha, E. H., Jun, J. M., Yoo, M. S., Lee, S. H., & Cho, Y. J. (2007).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sexual development assessment scale for the high school student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4(6), 257-279.

Jang, S. J., Cha, D. H., & Lee, S. W. (1992). Woman and assertiveness training. The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21, 1-40.

Kang, H. S. (2009). Emergency contraceptive pills: Knowledge, attitude, and intention of high school girls in Korea.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5(4), 336-343.
crossref
Kim, B., & Park, J. S. (2015). Relationships among parent-child communication, self-esteem and sexual assertiveness for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Gender difference.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1(1), 11-22.
crossref
Kim, H. J. (2015). Female adolescents` sexual assertiveness types: Q methodology.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1(4), 272-283.
crossref
Kim, Y. H., Moon, S. T., & Kang, H. S. (2013). Factors influencing on sexual assertiveness of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9(3), 166-175.
crossref
Kye, S. Y. (1998). The study of change in knowledge and attitude as the result of sex education: focusing on the 1st grade students in girl's middle school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hwa Womans University, Seoul.

Lee, H., & Won, H. (1995). Self-concepts and paranoid tendency. Psychological Science, 4(2), 15-29.

Lee, J., & Lee, E. (2006).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Korea sexual self-assertiveness scale for female. The Korea Journal of Counseling, 7(1), 47-62.

Lee, K. H., & Park, Y. S. (2017). The influence of voice behavior on individual performance appraisal: Moderating effects of team conflict and team network density.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Research, 24(4), 153-174.
crossref
Lee, S. K. (2001).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sexual contacts and self-esteem, self-assertiveness of teenage girls who have or had boyfriend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7(2), 212-228.

Lee, Y., Kim, K. M., & Choi, S. (2013). Awareness levels and influencing factors of sexual harassment and gender egalitarianism amo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4(1), 40-50.
crossref
LePine, J. A., & Van Dyne, L. (1998). Predicting voice behavior in work group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3(6), 853-868.
crossref
Park, J. Y., Woo, C. H., & Kim, H. (2019). The effects of clinical practice stress, communication, voice behavior, silence behavior, and silence motivation on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in Korea Armed Forces nursing academy cadet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9(5), 473-498.
crossref
Polit, D. F., Beck, C. T., & Owen, S. V. (2007). Is the CVI an indicator of content validity? Appraisal and recommendations. Research in Nursing & Health, 30(4), 459-467.
crossref
Reasoner, R. W. (1994). Self-esteem as an antidote to crime and violence (ERIC No. ED373281). Retrieved from https://eric.ed.gov/?id=ED373281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crossref
Satir, V. (1972). People-making. Palo Alto, California: Science and Behavior Books, Inc.

Shim, C. (2016). The study on sexual knowledge, contraception knowledge and sexual permissiveness in health department college students.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6(8), 1-14.
crossref
Statistics Korea (2017). Survey of sexual violence in 2016. Retrieved from https://meta.narastat.kr/metasvc/index.do?orgId=154&confmNo=154012&kosisYn=Y

Van Dyne, L., & LePine, J. A. (1998). Helping and voice extra-role behaviors: evidence of construct and predictive validity. Th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41(1), 108-119.
crossref
Whang, I. (2009). A study of Korean students' sexual knowledge, self-regulation, attitude ,and their perception of unwed pregnancy (Unpublished Master's thesis). Eulji University, Daejeon.

Woo, C. H., & Park, J. Y. (2019). Mediating effect of voice behavior on relationships between empathy, fairness and intention in helping behavior of nursing students in assumed bullying situations.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Administration, 25(3), 229-238.
crossref


ABOUT
BROWSE ARTICLES
FOR CONTRIBUTORS
Editorial Office
Department of Nursing,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1 Chungdae-ro, Seowon-gu, Cheongju-si, Chungcheongbuk-do, 28644, Korea
Tel: +82-43-249-1712    E-mail: spark2020@chungbuk.ac.kr                

Copyright © 2024 by The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